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329&local_id=10014255
사이버공간의 사회적 분리와 사회적 자본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사이버공간의 사회적 분리와 사회적 자본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동기(동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97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개인화되는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의 개인화가 사이버공간의 사회적 분리(social divide) 및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사회적 혼합(social mix)의 방식과 사회통합을 촉진할 수 있는 인터넷 기술/서비스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P2P 기술에 기반한 메신저, 미니홈피, 블로그 등과 같은 개인적 인터넷 기술/서비스의 특성을 사이버공간의 사회적 분리 경향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고, 개인적 사이버공동체의 특성과 동학을 일반적인 공동체 연구에서 사용되는 미시적 변수 및 거시적 변수를 고려하여 개인 중심 사이버공동체의 특성과 동학 분석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의 측면에서 사이버공간의 사회적 자본을 살펴보면 비공식적 연결망과 유대의 측면에서는 사이버공간을 통해 연결망 관리비용의 증가 없이 연결망의 규모 확대 가능하다. 연결망의 밀도와 다양성도 사이버공간을 통해 확대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이 일반화된 신뢰의 확장과 결합되지 못하는 경우 폐쇄적으로 흐를 가능성도 높다. 자발적 결사체의 측면에서 보자면 관심이나 취미의 공유에 기초한 온라인 결사체 형성이 활성화되고 있다. 현실공간에서 결정적인 제약이 되고 있는 공간적 거리나 시간의 제약이 극복되기 때문이다. 사이버공간을 통한 공적인 참여도 확대되는 추세이다. 일반화된 신뢰의 측면에서는 사이버공간에서도 익명성 등에 따라 타인에 대한 신뢰가 낮은 편이다. 신뢰의 반경 범위도 오프라인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비공식 규범과 호혜성의 측면에서는 사이버공간의 공유문화는 상당 부분 호혜성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현실공간에서보다 사회적 자본이 축적될 가능성이 더 높다.
    연결 사회적 자본과 유대 사회적 자본의 측면에서 사이버공간의 사회적 자본을 살펴보면, 연결 사회적 자본은 새로운 만남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이버공간을 통해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는 현실 공동체의 시공간적 제약을 벗어나게 하여 새로운 만남을 가능하게 해준다. 유대 사회적 자본은 기존의 만남이나 관계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는데, 기존의 연고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교류 활성화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폐쇄적 연줄망을 강화하는 부정적인 측면도 내포하고 있다. 사회적 참여의 측면에서 사이버공간의 사회적 자본을 분석해 보면 사이버공간에서는 사회적 참여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참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회적 참여기회가 다양화되고, 다양한 목소리의 전파가 용이해졌다. 사이버공간의 이러한 측면은 나아가서 다양한 집단들이 시공간적 제약을 벗어나서 집합행동을 효과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고 있다.
    현실공간에 존재하는 이러한 분리가 사이버공간의 기술 변화에 따라 쉽게 소멸될 것으로 예상하기는 힘들다. 다시 말해서 기술 자체가 기존의 사회적 분리나 사회적 자본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보다는 현실공간의 분리를 반영하여 출발되었다고 하더라도 사이버공간에서 구현되고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새로운 사회적 자본의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최근의 웹2.0 서비스는 연결망의 범위와 다양성 증진, 공적 결사체에 대한 참여, 호혜성의 확산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이 제대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서버-클라언트라는 웹서비스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이용자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개방적인 시스템 환경 조성이 요구된다. 이용자들이 가치 부가를 창출하도록 유도해야 하며 이용자를 신뢰하고 가능하면 이용자들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 이용자들을 공동의 개발자로 활용하여 "군중의 지혜", 즉 집합 지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Internet service on the social capital and social divide, and to explore their implications for the social mix in Korea. Using the case study method, a couple of the major social network services(SNSs) were analyzed. Social capital, conceptualized as "the relationship among actors and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conducive to the common goals and projects", consists of four elements: informal networks, voluntary associations, generalized trust, and reciproc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echnology, commonly called Web2.0 service, provides a great opportunity for proliferation of social capital and bridging of social divide. The Internet can expand the scale and diversity of social networks, and it will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to the voluntary associations. The Internet will also enhance the reciprocity of the Internet users since the Internet culture intrinsically related to "culture of sharing". To further the potential of the Web2.0 service, provision of more user-centered services and various measures to induce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users will be necessa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O 본 연구는 개인화되는 인터넷 기술/서비스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인터넷 기술/서비스의 개인화가 사이버공간의 사회적 분리(social divide) 및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사회적 혼합(social mix)의 방식과 사회통합을 촉진할 수 있는 인터넷 기술/서비스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화된 기술 및 서비스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학문적 분석을 시도한다. P2P 기술에 기반한 메신저, 미니홈피, 블로그 등과 같은 개인적 인터넷 기술/서비스의 특성을 사이버공간의 사회적 분리 경향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고, 개인적 사이버공동체의 특성과 동학을 일반적인 공동체 연구에서 사용되는 미시적 변수 및 거시적 변수를 고려하여 개인 중심 사이버공동체의 특성과 동학 분석하였다.
    O 본 연구에서는 블로그, 미니홈피, 인스턴트 메신저의 활용실태와 사회적 영향을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들 개인화된 인터넷 기술/서비스는 모두 성별, 연령, 학력, 직업 등에 따라 활용의 유형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인스턴트 메신저의 경우는 연령대에 따라 이용 업체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대표적인 사례를 선정하여 이들의 기술/서비스 이용실태, 유형, 특성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미니홈피, 블로그, 메신저, 파일공유 서비스로 대표되는 개인화된 인터넷 기술/서비스의 매체적인 특성은 메신저가 동기적이며 주로 일대일(one-to-one) 상호작용에 사용되고 공개성이 낮은 반면에, 미니홈피나 블로그는 비동기적이며 일대다(one-to-many) 상호작용에 주로 사용되고 공개성은 중간 정도라 할 수 있다.
    O 사회적 자본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개념화되고 있는데, 하나는 연결망의 관점으로서, 연결망의 구조나 연결망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중요하게 고려된다. 다른 하나는 시민참여의 관점으로서, 다양한 시민사회 조직에 대한 개인의 참여 정도나 공동체 성원이 상호작용하는 정도가 중요한 관심사가 된다. 연줄망을 강조하는 전통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획득 가능한 자원으로서의 사회적 자본을 강조한다.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다양한 시민사회 조직에 대한 개인의 참여 정도가 사회적 자본의 지표가 된다고 본다.
    O 사회적 자본은 성향(orientation)에 따라 연결 사회적 자본과 유대 사회적 자본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이질적인 행위자들 간의 새로운 연결을 만들어내는 반면에 후자는 유사한 행위자들 간의 유대를 강화한다. 유대 사회적 자본과 연결 사회적 자본은 적절한 결합을 통해 참여적 공동체 행위를 창출할 수 있다. 연결 사회적 자본에 비해 유대 사회적 자본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내부적인 분파주의나 외부와의 갈등이 초래되기 쉽고, 반대로 연결 사회적 자본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지역적 엘리트나 집단의 우두머리에 의한 외부적 통제가 강화될 수 있다.
    O 사이버공동체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연결망을 제공해 줄 수도 있고, 물리적인 공간은 제공되지 않지만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제3의 장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한계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사이버공동체는 사람들 간의 연결망을 확장시켜 주고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해 줌으로써 성원들 간의 호혜적 협력을 촉진시켜 준다. 사이버공동체는 또한 친밀한 교제를 위한 물리적 공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관심과 아이디어를 매개로 공동체의식을 느끼는 장을 제공하고 있다.
    O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의 측면에서 사이버공간의 사회적 자본을 살펴보면 비공식적 연결망과 유대의 측면에서는 사이버공간을 통해 연결망 관리비용의 증가 없이 연결망의 규모 확대 가능하다. 연결망의 밀도와 다양성도 사이버공간을 통해 확대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이 일반화된 신뢰의 확장과 결합되지 못하는 경우 폐쇄적으로 흐를 가능성도 높다. 자발적 결사체의 측면에서 보자면 관심이나 취미의 공유에 기초한 온라인 결사체 형성이 활성화되고 있다. 현실공간에서 결정적인 제약이 되고 있는 공간적 거리나 시간의 제약이 극복되기 때문이다. 사이버공간을 통한 공적인 참여도 확대되는 추세이다. 일반화된 신뢰의 측면에서는 사이버공간에서도 익명성 등에 따라 타인에 대한 신뢰가 낮은 편이다. 신뢰의 반경 범위도 오프라인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비공식 규범과 호혜성의 측면에서는 사이버공간의 공유문화는 상당 부분 호혜성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현실공간에서보다 사회적 자본이 축적될 가능성이 더 높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O 현실공간에 존재하는 이러한 분리가 사이버공간의 기술 변화에 따라 쉽게 소멸될 것으로 예상하기는 힘들다. 사회적 연결망 서비스 중에서 보다 공개적인 블로그가 활성화된 미국에 비해 사적인 미니홈피가 활성화된 한국사회를 비교해 보면 기술의 선택 과정에서 사회적 분리가 작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기술 자체가 기존의 사회적 분리나 사회적 자본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보다는 현실공간의 분리를 반영하여 출발되었다고 하더라도 사이버공간에서 구현되고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새로운 사회적 자본의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UCC, 위키서비스, 오픈소스 운동과 같은 최근의 웹2.0 서비스는 연결망의 범위와 다양성 증진, 공적 결사체에 대한 참여, 호혜성의 확산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이 제대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서버-클라언트라는 웹서비스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이용자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서버는 이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역할만 제공하면 되며, 이용자들간의 협력을 이끌어내되 통제하지 말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개방적인 시스템 환경 조성이 요구된다. 또한 이용자들이 가치 부가를 창출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기존의 내용에 이용자들이 스스로 새로운 자료와 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기회를 개방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용자를 신뢰하고 가능하면 이용자들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 이용자들을 공동의 개발자로 활용하여 "군중의 지혜", 즉 집합 지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O 개인화된 인터넷 기술/서비스에 기초한 개인 중심의 사이버공동체의 동학과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통해 확산되거나 조장되는 불건전 정보나 반사회적 정보의 유통 등과 같은 사회적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 모색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우리 사회의 당면 과제의 하나인 사회통합의 촉진을 위해 인터넷을 활용하는 정책 마련의 기초 자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인터넷 기술/서비스를 통해 현실공간의 연고주의가 가지는 부정적 측면을 탈각할 수 있는 기제를 밝혀냄으로써 사회통합 촉진 방안 도출될 수 있다. 네티즌들이 개인적 사이버공동체에서 새로운 연결망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개인화된 인터넷 기술/서비스의 이용이 사적인 경험에 그치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정보나 의견의 공유를 통해 공적인 경험으로 인식되고 나아가서 민주사회의 시민으로서 적극적 사회참여 방안으로 모색하는 기초 자료 제공할 것이다. 인터넷 기술/서비스의 개인화가 사이버공동체의 동학과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사이버공동체 및 사이버문화의 활성화 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인터넷, 사이버공간, 사회적 자본, 사회적 분리, 사이버공동체, 연결, 유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