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336&local_id=10016078
유아 주도적인 놀이 상황과 교사 주도적인 일 상황에서 인지적 협력 구성 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유아 주도적인 놀이 상황과 교사 주도적인 일 상황에서 인지적 협력 구성 비교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엄정애(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528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발달에 적합하지 않은 과도한 성인중심의 조기 유아교육이 성행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유아 주도적인 놀이 상황과 교사 주도적인 일 상황에서 대상유아, 상대유아, 교사의 인지적 협력구성 - 행동의 수, 상호주관적 협력 유형, 인지적 도약 수준 - 과 상호주관적 협력 유형에 따른 인지적 도약수준은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두 상황에서 상호주관적 협력 유형에 따른 대상유아의 인지적 도약수준과 상대유아 및 교사의 인지적 도약 수준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 3곳에 다니고 있는 만 4세 3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 주도적인 놀이 상황과 교사 주도적인 일 상황에서 연구대상의 행동, 연구대상과 관련 있는 상대유아 및 교사의 행동을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녹화된 내용을 전사본화하고 다차원적인 인지적 협력구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유아와 상대유아의 전체 행동 수 뿐 아니라 대상유아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 수와 상대유아의 비언어적 행동 수는 모두 일 상황에 비해 놀이 상황에서 많이 나타났다. 상호주관적 협력 유형을 살펴보면, 놀이상황에서 대상유아와 상대유아는 놀이상황에서 협력적이고 주도적인 행동을 많이 보였고, 상대유아는 방해적인 행동도 많이 보였다. 일 상황에서는 대상유아의 단독행동이 놀이 상황보다 많이 나타났다. 또한 유아들은 모두 일 상황에 비해 놀이 상황에서 중간 및 높은 수준의 인지적 도약 행동을 많이 보인 반면 절차적 행동은 적게 보였다. 교사의 행동 수는 전체 행동 수 뿐 아니라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 수에 있어서 모두 놀이 상황에 비해 일 상황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상호주관적 협력 유형별로 살펴보면 참여교사는 주도적, 협력적, 방해적 유형을 일 상황에서 많이 보였다. 또한 참여교사는 일 상황에서 절차적인 행동 뿐 아니라 낮은 수준 및 중간수준의 인지적 도약 행동을 많이 보였으나, 높은 수준의 인지적 도약행동은 놀이와 일 두 상황에서 차이 없이 많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상유아의 인지적 도약 점수는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방식 모두 일 상황보다 놀이 상황에서 높았으며 특히 주도적이거나 협력적 유형의 행동인 경우 놀이와 일 상황에서의 인지적 도약 점수가 차이를 보였다. 상호주관적 협력 유형은 협력, 주도, 단독 순으로 인지적 도약 점수가 높았다. 상대유아의 경우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 방식 모두 주도적 유형과 협력적 유형에 따른 인지적 도약 점수가 일 상황보다 놀이 상황에서 높았다. 또한 놀이 상황에서 협력적 유형의 인지적 도약 점수가 주도적 유형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 상황에서는 주도적 유형과 협력적 유형의 인지적 도약 점수 간에 차이가 없었다. 참여 교사는 언어적 행동과 비언어적 행동방식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언어적 행동의 경우에는 두 상황에서의 인지적 도약 점수와 협력유형에 따른 인지적 도약 점수가 모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비언어적 행동의 경우에는 놀이 상황에서 협력적 유형이 주도적 유형에 비해 인지적 도약 점수가 높았다. 셋째, 놀이와 일 두 상황 모두에서 상대유아의 인지적 도약 수준은 대상유아의 인지적 도약 수준과 대체로 강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유아의 인지적 도약 수준이 높을수록 대상유아의 인지적 도약 수준이 높고, 또한 대상유아의 인지적 도약 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유아의 인지적 도약 수준이 높다는 것이다. 교사의 인지적 도약 수준 역시 대상유아의 인지적 도약 수준과 놀이와 일 두 상황 모두에서 대체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교사 주도적인 일을 수행하는 상황보다 또래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유아 주도적인 놀이를 하는 상황에서 유아들은 인지적 협력 구성이 좀 더 수준 높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즉 Piaget와 Vygotsky가 제시한 학습이론을 실제 유아교육현장의 교육활동과 연계시켜 살펴봄으로써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자유롭게 유아들이 주도하는 놀이의 중요성을 보다 실증적인 차원에서 검증해보았다는 데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보육, 특수유아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유아 주도적인 놀이 상황에서 유아들이 협력적으로 구성해가는 인지과정을 이해하게 되고, 이를 확장시켜주기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및 교사의 전략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인지적 차원에서의 조기교육에 큰 관심이 쏠려 있는 유아기 부모들을 대상으로 유아주도적인 놀이 중심 유아교육의 실제에 대한 현장 중심의 부모교육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review any difference in the cognitive co-construction and the cognitive distancing level according to the intersubjective cooperation pattern of the target children, other children, and teachers under a children-directed play situation and a teacher-directed work situation and to analyz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distancing level of the target children and the cognitive distancing level of other children and teachers according to the intersubjective cooperation pattern under the two situations. With this aim, the study videotaped the behavior of the target children under the children-directed play situation and teacher-directed work situation, and the behavior of other children and teachers related to the target children aimed at 30 children of four years-old attending three early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The videotaped contents were analyzed by using a measuring tool for multi-dimensional cognitive co-construction after transcribing all the videotaped contents. In the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co-construction(the number of behavior types, intersubjective cooperation, and cognitive distancing level) and the cognitive distancing level according to the intersubjective cooperation pattern of the target children, other children, and teachers in the play and work situation. Also, the cognitive distancing level of other children and teacher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cognitive distancing level of the target children both under the play and work situations in genera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유아 주도적인 놀이 상황과 교사 주도적인 일 상황에서 대상유아, 상대유아, 교사의 인지적 협력구성 - 행동의 수, 상호주관적 협력 유형, 인지적 도약 수준 - 과 상호주관적 협력 유형에 따른 인지적 도약수준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두 상황에서 상호주관적 협력 유형에 따른 대상유아의 인지적 도약수준과 상대유아 및 교사의 인지적 도약 수준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 3곳에 다니고 있는 만 4세 3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 주도적인 놀이 상황과 교사 주도적인 일 상황에서 연구대상의 행동, 연구대상과 관련 있는 상대유아 및 교사의 행동을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녹화된 내용을 전사본화하고 다차원적인 인지적 협력구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와 일 상황에서 대상유아, 상대유아, 교사의 행동 수, 상호주관적 협력 유형, 인지적 도약수준 및 상호주관적 협력 유형에 따른 인지적 도약수준은 차이가 있었다. 또한 놀이와 일 두 상황 모두에서 상대유아 및 교사의 인지적 도약 수준은 대상유아의 인지적 도약 수준과 대체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교사 주도적인 일을 수행하는 상황보다 또래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유아 주도적인 놀이를 하는 상황에서 유아들은 인지적 협력 구성이 좀 더 수준 높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즉 Piaget와 Vygotsky가 제시한 학습이론을 실제 유아교육현장의 교육활동과 연계시켜 살펴봄으로써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자유롭게 유아들이 주도하는 놀이의 중요성을 보다 실증적인 차원에서 검증해보았다는 데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보육, 특수유아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유아 주도적인 놀이 상황에서 유아들이 협력적으로 구성해가는 인지과정을 이해하게 되고, 이를 확장시켜주기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및 교사의 전략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인지적 차원에서의 조기교육에 큰 관심이 쏠려 있는 유아기 부모들을 대상으로 유아주도적인 놀이 중심 유아교육의 실제에 대한 현장 중심의 부모교육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색인어
  • 놀이 상황(play situation), 일 상황(work situation), 인지적 협력구성(cognitive co-construc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