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350&local_id=10013828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행동 모형 검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행동 모형 검증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용각(부산외국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13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Deci와 Ryan(1985)의 자결성 이론을 근거로 한 Vallerand(1997, 2001)의 동기의 위계모형을 본 연구자가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행동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건강운동 프로그램(달리기, 피트니스, 수영 등)과 레저스포츠(골프, 모험스포츠, 라켓운동 등)의 참가자로 만18세-64세(M=36.77세, SD=9.60)의 1,160명을 조사하였으며, 최종분석은 887명(남 535명, 여 352명)을 분석하였다. 운동에서의 심리적 욕구척도는 Deci(1992), Vlachopoulos와 Michailidou(2006) 등을 참고 본 연구자가 수정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참여동기는 Pelletier 등(1995)의 SMS를 참고로 정용각(1997)이 수정개발한 척도를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정서(affects)의 척도는 Watson과 Clark(1994)의 PANAS-X을 우리문화와 스포츠에 맞도록 정용각(1997)이 수정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인지척도는 인지관여와 지속의도에 대한 문항을 본 연구자가 수정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참여행동은 참여기간, 빈도,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계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모형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 AMOS 5.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스포츠 참여행동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적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요인이 참여동기에 미치는 효과는 β=.98로 매우 높았으며, 자율성, 관계성, 유능성 요인 순으로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는 IM이 가장 주요한 요인이었으며, AM는 부적관계를 보였다. 참여동기가 정서에 미치는 효과는 β=.82로 매우 높았으며, 인지는 β=1.00, 참여행동은 β=.70으로 참여동기가 결과변인에 미치는 효과는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욕구가 각 변인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인지 β=.98, 정서 β=.80, 참여행동 β=.69로 결과변인에 미치는 효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A β=.80, NA β=-.34의 관계를 보였으며, 동기는 IM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높았다. 참여동기가 결과변인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지속의도와 PA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is study was performed by myself in order to verify the participation behavior model in sports of participants who are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 and exercises by applying Vallerand's a hierarchical model of motivation (1997, 2001) in the basi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by Deci & Ryan(1985).
    I examined 1,160 participants who is bracked into 18 to 64, 36.77(M), 9.60(SD), who are also the participants in health exercise program(running, fitness, swimming) and leisure sports (golf, adventure sports, racket sports) as well. I analysed 887 participants who consisted of both 535 male and 352 female as the object of final analysis for this study.
    As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measurement, I used the measurements which were designed in the creatively revised by myself referring to Vlachopoulos & Michailidou(2006) et al. In the par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modified, developed measurement scale(1997, Jung) was used complementarily referring to SMS by Pelletier et al(1995). In the measure of affects, the revised measurement(1997, Jung) was used in order to adjust PANAS-X by Watson & Clark(1994) to our culture and sports as well.
    In the measurement of cognition, I modified and developed the items about cognitive relation as well as continued intention. I also measure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frequency, and time in the part of participation behavior.
    As the result of examin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bach's α-coefficien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ll the results were clearly proved, this performance was for the purpose of provi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ing apparatus.
    I verified this research modeling a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atistic program AMOS 5.0 was used for this performance.
    through this facts, it was shown that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nfluencing on the variables of result can be very major one.
    In terms of an According to the rults of the research, it was true that the participating behavior modeling was suitable one. The factor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belonging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β=.98, it is very high, and it is referred to the effectiveness influencing on participation motivation.
    When we make reference to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M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but it was cleared that amotivation was inappropriate. In the effectiveness which participation motivation can influence on one's affects, the result was β=.82, very high, but modulus of cognition β=1.00, participation behavior β=.70, indirect effect which psychological needs influences on each the variable, the effects on the result variables were high from the point of cognition, β=.98, affects β=.80, participation behavior β=.69, also we can recognize PA β=.80, NA β=-.34, in the part of motivation, the effectiveness of motivation influencing on IM was the most high.
    In the indirect effectiveness which participation motivation influences on the result variables, it was shown that both continued intention and the effectiveness on PA were the most hig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자결성 이론(Deci & Ryan, 1985)을 근거로 한 동기의 위계모형(Vallerand, 1997, 2001)을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설정한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참여 행동모형을 검증한 것이다. 여가운동 영역에서 기본적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그리고 관계성의 요인이 참여동기(IM, Em, AM)에 미치는 영향과 참여동기가 정서, 인지, 그리고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여가운동 참가자의 참여행동의 심리적 과정을 이해하고 운동참여의 지속을 예측하는 모형을 설명하기 위하여 연구가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건강운동 프로그램(달리기, 피트니스, 수영 등)과 레저스포츠(골프, 모험스포츠, 라켓운동 등)의 참가자로 만18세-64세(M=36.77세, SD=9.60)의 1,160명을 조사하였으나 최종분석은 887명(남 535명, 여 352명)을 분석하였다. 운동에서의 심리적 욕구척도는 Deci(1992), Vallerand, Fortier, 그리고 Guay(1997), Vlachopoulos와 Michailidou(2006) 등을 참고 본 연구자가 수정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참여동기는 Pelletier 등(1995)의 SMS를 참고로 정용각(1997)이 수정개발한 척도를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정서(affects)의 척도는 Watson과 Clark(1994)의 PANAS-X을 우리 문화에 맞게 정용각(1997)이 수정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인지척도는 인지관여와 지속의도에 대한 문항을 본 연구자가 수정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참여행동은 참여기간, 빈도,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알파계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모형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 AMOS 5.0을 사용하였다.
    스포츠 참여행동 모형에 대한 검증 결과 초기모형은 적합한 모형으로 검증되지 않았으나 오차항 간의 새로운 경로가 발견되어 수정지수를 사용한 수정모형을 검증한 결과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잠재변수 간의 관계를 보면 심리적 욕구가 참여동기에 미치는 효과는 .98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동기가 결과변인인 정서에 미치는 효과는 .82, 인지 1.00, 그리고 참여정도에 미치는 효과는 .7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과관계로 볼 때 스포츠 참여행동을 설명하는 이 연구모형은 매우 의미있는 결과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의 설정된 스포츠 참여행동 모형 검증 결과 초기모형은 RMR=.051, GFI=.836, NFI=.777 등 적합도가 다소 낮았으나 수정지수를 사용한 오차항 간의 새로운 경로를 확인한 결과 수정모형은 RMR=.043, GFI=.926, NFI=.900 등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에서의 잠재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보면 심리적 욕구가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β=.98), 참여동기가 결과변인인 정서(β=.82), 인지(β=1.00), 참여정도(β=.70)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욕구가 참여동기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보면 내적동기(β=.79), 외적동기(β=.64), 무동기(β=-.44) 순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 변인은 인지(.98), 정서(.80), 참여정도(.69) 순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가 결과변인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보면, 지속의도와 긍정적 정서(β=.81)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인지관여(β=.63)으로 높은 효과를 보였다. 참여정도에 미치는 효과는 기간(β=.31), 시간(β=.28), 빈도(β=.15) 순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와 부정적 정서의 관계는 -.35의 부적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요인은 참여동기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매개변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심리적 욕구는 특히, 내적동기에 미치는 효과가 크며, 무동기는 부적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참여동기가 결과변인에 미치는 영향으로 볼 때 참여동기에 따라 지속의도와 인지관여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정서와 참여정도에 미치는 효과도 매우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모형의 검증결과로 보아 운동참여자의 참여지속을 높이기 위해서는 참여하는 운동상황에서 심리적 욕구 충족이 이루어지면 내적동기가 높아져 긍정적 정서 경험을 많이 할뿐만 아니라 인지관여와 지속의도가 높아져 운동참여 정도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2. 활용방안
    첫째, 스포츠에서 자결성 이론과 동기의 위계모형에 의한 스포츠 참여행동 연구모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운동을 통한 웰빙연구의 경험적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여가운동 참가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지도하는 데 주요한 이론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자결성(self-determination), 심리적 욕구,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참여동기, 내적동기(IM), 외적동기(EM), 무동기(AM), 정서, 긍정적 정서(PA), 부정적 정서(NA), 인지, 인지관여, 지속의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