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364&local_id=10027375
공공조직에서 멘토동기의 선행요인: 조직시민행동이론의 적용과 확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공공조직에서 멘토동기의 선행요인: 조직시민행동이론의 적용과 확장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윤길(동국대학교 WISE& #40;와이즈& #41;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740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정부관료제를 포함한 공공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이 다른 구성원의 멘토가 되고자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살펴보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였다.멘토링이란 멘토(상사) 가 멘티(부하)에게 조직에서의 경력개발에 도움을 주면서 동시에 사회심리적인 지지를 제공해 주는 것을 말한다. 멘토로 활동한다는 것은 멘토 자신에게도 여러가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기는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상당한 봉사이며 희생적인 측면도 있는 것이다. 조직의 입장에서는 가능하면 많은 사람들이 멘토로 나서서 멘토링의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 시켜주는 것이 조직의 성과향상을 도움울 줄 것이다.
    그런데 이에 관한 연구는 기능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충분한 이론적인 근거를 갖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멘토가 되고자 하는 동기를 조직시민행동의 하나로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는 조직시민행동의 이론을 원용하여 멘토동기에 관한 이해도 높이고 더 많은 새로운 선행요인을 밝힐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멘도동기의 영향요인으로는 멘토링의 경험, 조직기반 자긍심, 조직공정성, 지속적 학습문화, 지각된 조직지원, 집단응집력을 살펴보았다. 기초자치단체에 근무하는 공무원 350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앞에서 제시한 선행변수들은 모두 멘토동기와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분배공정성보다는 절차공정성이 멘토동기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행정조직에서의 정책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on the motivation to mentor among local public service. In this study, motivation to mentor were manipulated one of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ata were obtained from 350 employee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ults indicated that motivation to mentor were positively related to experience of mentoring,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organizational justice, continuous learning cultur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group cohesiveness. And procedural justice were more positively related to motivition to mentor than distributive justice. Limitation of the stud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논문은 공공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이 멘토가 되고자 하는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직시민행동이론에 근거하여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조직에서 다른 구성원의 멘토가 되고자 하는 행동을 조직시민행동의 하나로 개념화 하여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는 이 분야의 선행연구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멘토가 되고자 하는 동기의 영향요인으로는 멘토링의 경험, 조직기반 자긍심, 조직공정성, 지속적 학습문화, 지각된 조직지원, 집단응집력을 살펴보았다. 기초자치단체에 근무하는 공무원 350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앞에서 제시한 선행변수들은 모두 멘토동기와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분배공정성보다는 절차공정성이 멘토동기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행정조직에서의 정책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 및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결과를 보면, 본 연구에서 살펴 본 멘토링의 경험, 조직기반 자긍심, 조직공정성, 지속적 학습문화, 지각된 조직지원, 집단응집력이라는 멘토동기의 선행요인은 모두 멘토동기와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공정성 중에서 절차공정성은 분배공정성보다 멘토동기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과 멘토가 되고자 하는 동기를 조직시민행동의 하나로 개념화함으로써 멘토링에 관한 연구들 단순히 그것이 제공하는 기능을 중심으로 한 논의에서 하나의 역할이론으로 한 단계 격상시켰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둘째, 멘토링과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1980년대 초반으로 거의 동일한 시기였다. 그러나 각각의 연구는 서로의 장점을 취하기 위한 별다른 교류 없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졌으며, 1990년대 후반에 멘토동기에 관한 연구에 조직시민행동의 관점을 도입한 연구가 있기는 하였지만(예, Aryee, Chay, & Chew, 1996; McManus & Russell, 1997) 이러한 시도와 실증적인 연구는 물론 규범적인 논의조차도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는 상당한 각광을 받으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멘토동기를 이타적 행위의 하나로 개념화함으로써 멘토링에 관한 연구에 조직시민행동에서 이루어진 방대한 선행연구를 원용할 수 있게 되어 더 폭넓고 깊이 있는 이론적 기반을 갖춘 논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셋째, 조직 내에서 구성원간의 친소관계는 그 관계가 형성되고 유지되는 동기에 따라 조직정치, 학연이나 지연에 의한 파당의 형성 등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또한 멘토링이 멘토관계를 형성하지 않은 구성원에게 박탈감이나 불공정성을 유발할 수도 있다. 하지만 멘토링은 주변환경이 급속히 변화하고 정보와 지식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대조직 환경에서는 매우 중요한 활동임을 부인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멘토가 되고자 하는 동기를 많이 유발할 수 있는 조직은 매우 바람직하며 발전적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조직시민행동에서 연구되었던 다양한 선행요인을 멘토동기에도 적용하여 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상당한 순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멘토링에 관한 적실성 있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여 실무에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멘토동기, 조직시민행동, 조직기반 자긍심, 조직공정성, 집단응집력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