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371&local_id=10012973
여성의 모성경험 분석을 통한 배려교육의 재음미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여성의 모성경험 분석을 통한 배려교육의 재음미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고미숙(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70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재 배려는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비도덕화, 비인간화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강력한 대안책으로 모색되고 있다.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에서 자연적인 배려가 파생된다고 보기 때문에, 본 연구는 어머니의 모성경험을 분석함으로써 배려교육의 의미 및 방향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여성의 모성경험을 분석하여 여성에게 어머니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주고, 모성경험은 여성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며, 특히 도덕관에서는 어떤 변화를 미치게 되는지를 탐구한다. 둘째, 여성의 모성경험에서 배려의 특징을 추출해내어, 배려의 의미를 재해석한다. 셋째, 여성의 모성경험을 기초로 학교교육에서는 배려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재고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질적인 조사방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해보면, 여성에게 어머니가 된다는 것은 책임이라는 말로 나타낼 수 있다. 모성경험은 어머니에게 나라는 독립적인 존재로부터 벗어나 우리라는 존재적 경험, 즉 관계의 망을 경험하도록 한다. 여성들은 어머니가 되면서 강한 어머니로서의 주체성을 형성하며, 모든 삶이 아이를 위주로 하여 변하게 된다. 모성경험은 어머니의 가치관, 성격, 태도, 도덕적인 면에서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그리하여 어머니가 됨으로써 여성들은 사람을 보는 관점이 변화되고, 사교적이 되며, 인내심과 자제력, 부드러움과 너그러움이 증가되며, 부모에 대한 태도에서 변화가 나타난다. 어머니는 아이들에게 좋은 엄마가 되기 위해서 도덕적이 되려고 노력하고, 모성경험은 남을 배려하도록 하는 법을 배우게 하는 결정적인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성경험은 여성을 도덕적이게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여성이 도덕적이 되도록 하는데 반작용을 하기도 한다. 어머니들의 모성경험은 타인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져 타인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 또한 어머니들은 아이를 선한 아이로 기르는데 목적을 두기 보다는 아이가 자기 자신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현실적인 방향에서 아이를 교육시키며, 내 아이를 위해서라면, 도덕적인 면에서 무감각해지는 것이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어머니의 모성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어머니들은 caring의 의미를 이중적인 의미로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소극적 배려와 적극적 배려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는데, 소극적 배려는 아이를 보호해주려는 차원에서 어머니가 보기에 아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해주는 것이다. 이에 비해 적극적 배려는 아이의 마음을 살피고 아이의 입장에서 아이를 이해하며 아이가 하고자 하는 것을 존중하고 인정해주는 것이다. 또한 배려의 양태를 보면, 어머니와 아버지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여성은 공감적 배려를 하는 반면, 남성은 분리적 배려를 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공감적 배려는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고 함께 나누려는 배려인데 반해서, 분리적 배려는 거리를 두고 지켜보며, 문제해결식의 배려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려의 의미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바, 학교에서의 교육은 학생들에게 자신의 배려의 의미와 배려의 방식에 대해서 반성해보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들의 모성경험을 토대로 할 때, 배려교육을 위해서는 관계의 망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학교교육이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또한 배려교육의 요소로 타자의 입장에서 타자 이해, 타자의 말에 대한 경청, 타자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배려의 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재조정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배려는 실천을 통해서 습득되는 지속적인 과정이며, 도덕적인 배려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거리두기 역시 배울 필요가 있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eanings of caring an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caring through women's experiences of motherhood. Three main objects of the study are: First, the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being a mother for women trough women's experiences of motherhood and their influences on women, in particular, the change of moral perspective. Second, it tries to draw the meaning of caring in women's experiences of motherhood. Third, it is to reconsider how to educate caring in school. The main research methods adopted in this study are theoretical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s and interviews. Being mother for women means responsibility. Women's experiences of motherhood have the experience of weness, that is, the web of relationship from independent being of I. Women's experiences of motherhood make to form the subjectivity as a strong mother and children-centered lives. They bring about the changes on sense of value, character, attitude and moral perspective for mother. Mother tries to be a good mother, and women's experiences as a mother give the critical experience to learn caring for others. Women's experiences as a mother also prevent being moral women. Understanding for others of women also disturbs the objective judgment. Mother chooses the realities of useful life rather than the good life for children. Mother uses the dual meaning of caring: negative caring and positive caring. Negative caring means responding the need of children based on position of mother to protect children. Positive caring means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the mind of children based on position of them. Women and men think differently the meaning and ways of caring. Women use sympathetic caring, men separate caring. Sympathetic caring means caring as feeling with others, understanding the other side, and separate caring means caring as problem-solving, the setting at a distance. Educating caring in school has to gi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the meaning and ways of caring for students.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around experiencing the web of relationship. The elements of the education of caring are understanding others in other side, listening others and continual regulation according to response of the other. Moral caring needs the setting at the distance as well as sympathetic car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모성경험을 분석함으로써 배려교육의 의미 및 방향을 탐구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여성의 모성경험을 분석하여 여성에게 어머니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주고, 모성경험은 여성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며, 특히 도덕관에서는 어떤 변화를 미치게 되는지를 탐구한다. 둘째, 여성의 모성경험에서 배려의 특징을 추출해내어, 배려의 의미를 재해석한다. 셋째, 여성의 모성경험을 기초로 학교교육에서는 배려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재고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질적인 조사방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해보면, 여성에게 어머니가 된다는 것은 책임이라는 말로 나타낼 수 있다. 모성경험은 어머니에게 '나'라는 독립적인 존재로부터 벗어나 '우리'라는 존재적 경험, 즉 관계의 망을 경험하도록 한다. 여성들은 어머니가 되면서 강한 어머니로서의 주체성을 형성하며, 모든 삶이 아이를 위주로 하여 변하게 된다. 모성경험은 어머니의 가치관, 성격, 태도, 도덕적인 면에서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그리하여 어머니가 됨으로써 여성들은 사람을 보는 관점이 변화되고, 사교적이 되며, 인내심과 자제력, 부드러움과 너그러움이 증가되며, 부모에 대한 태도에서 변화가 나타난다. 어머니는 아이들에게 좋은 엄마가 되기 위해서 도덕적이 되려고 노력하고, 모성경험은 남을 배려하도록 하는 법을 배우게 하는 결정적인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성경험은 여성을 도덕적이게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여성이 도덕적이 되도록 하는데 반작용을 하기도 한다. 어머니들의 모성경험은 타인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져 타인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 또한 어머니들은 아이를 선한 아이로 기르는데 목적을 두기 보다는 아이가 자기 자신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현실적인 방향에서 아이를 교육시키려고 하며, 내 아이를 위해서라면, 도덕적인 면에서 무감각해지는 것이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어머니의 모성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어머니들은 caring의 의미를 이중적인 의미로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소극적 배려와 적극적 배려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는데, 소극적 배려는 아이를 보호해주려는 차원에서 어머니가 보기에 아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해주는 것이다. 이에 비해 적극적 배려는 아이의 마음을 살피고 아이의 입장에서 아이를 이해하며 아이가 하고자 하는 것을 존중하고 인정해주는 것이다. 또한 배려의 양태를 보면, 어머니와 아버지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여성은 공감적 배려를 하는 반면, 남성은 분리적 배려를 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공감적 배려는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고 함께 나누려는 배려인데 반해서, 분리적 배려는 거리를 두고 지켜보며, 문제해결식의 배려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려의 의미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바, 학교에서의 교육은 학생들에게 자신의 배려의 의미와 배려의 방식에 대해서 반성해보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들의 모성경험을 토대로 할 때, 배려교육을 위해서는 관계의 망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학교교육이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또한 배려교육의 요소로 타자의 입장에서 타자 이해, 타자의 말에 대한 경청, 타자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배려의 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재조정의 과정을 들 수 있다. 배려는 실천을 통해서 습득되는 지속적인 과정이며, 도덕적인 배려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거리두기 역시 배울 필요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도 가. 지금까지 경시되어 왔던 여성의 도덕적 경험, 특히 모성경험에 대한 면접을 통해 여성의 도덕이론을 체계화시키도록 한다. 여성은 도덕적인 주체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 왔지만, 여성의 모성경험을 통해서 여성이 어떻게 도덕적인 주체가 되는지, 도덕관에 있어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면접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해냄으로써 여성의 도덕관을 설득력있게 설명해내고, 여성학계에서조차 거의 소외되어왔던 ‘여성의 도덕적 접근’을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나. 배려교육은 현재 학교에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주제이기는 하나, 구체적으로 배려교육이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는 애매한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모성경험에 기초한 배려의 구체화는 우리에게 배려교육을 체계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 도덕이론을 구축하는데 면접이라는 연구방법의 사용은 질적인 연구방법론을 체계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라. 본 연구가 여성학, 교육학, 윤리학 등 다양한 학문을 연계하는 간학문적인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파급효과 또한 단지 여성학만이 아니라 윤리학, 교육학, 철학 등 많은 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2) 사회적 기여도 가. 현재 우리 나라에서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는 도덕적인 문제들을 배려 및 배려교육의 구체화를 통해서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나. 남성을 통해서 여성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아니라, 소외되어왔던 여성 자신의 목소리를 통해서 여성의 도덕적 접근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여성의 가치관을 확인하고 양성평등을 위한 토대로 작용할 수 있다. 다. 모성경험은 사적인 영역에서 일어나는 일로 간주되어 그 중요성이 인정되지 못하였는데, 이와 같은 경험이 공론화되고, 배려교육을 위한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적인 경험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3) 교육현장에의 활용방안 가. 여성의 도덕적 경험을 토대로 도덕교육, 특히 배려교육의 방향을 재조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배려의 의미 및 배려교육을 체계화시킴으로써, 현재 우리의 배려교육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도록 하고, 그 문제점을 보완하는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 도덕교육에서 소외된 여성의 도덕적 경험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폭넓고 종합적인 도덕교육을 구축하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배려, 모성경험, 배려윤리, 여성, 배려교육, 도덕, 페미니즘, 모성, 나딩스, 길리건, 공감적 배려, 분리적 배려, 소극적 배려, 적극적 배려, 도덕적 배려, 도덕교육 caring, the experiences of motherhood, ethic of caring, women, education of caring, feminism, motherhood, Nel Noddings, Carol Gilligan, sympathetic caring, separate caring, negative caring, positive caring, moral caring, moral educa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