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375&local_id=10016517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에 대한 종단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에 대한 종단 분석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영신(인하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9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종단 자료의 분석을 통해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012명 표집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을 거쳐, 중학교 3학년까지 3차에 모두 응답한 739명이 최종 분석대상이었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청소년의 일탈행동을 의미있게 예언하는 변인은 폭력가해행동, 과거 일탈행동, 학교처벌경험, 폭력피해경험, 사회성효능감, 도덕적 이탈이었다. 경로분석 결과, 6개 예언변인들의 일탈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외에도, 인간관계 변인들의 간접적인 영향과, 도덕적 이탈 및 사회성효능감의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이 확인되었다. 친구 따돌림은 사회성효능감을 감소시키며, 낮아진 사회성효능감은 폭력피해경험을 증가시키고,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폭력가해행동을 많이 하며, 가해행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다양한 일탈행동을 하였다. 부모의 거부, 친구의 따돌림, 교사의 적대 및 과거의 일탈행동은 도덕적 이탈을 증진시키며, 도덕적 이탈은 폭력가해행동과 일탈행동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성적이 낮을수록 학교에서 처벌경험이 많고, 처벌을 받을수록 폭력가해행동과 일탈행동에 더욱 개입하였다.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과 관련된 이러한 결과들에 토대하여, 일탈행동 형성과정에서 도덕적 이탈과 사회성효능감의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 부정적 경험의 누적을 통한 일탈적 삶의 구성, 일탈행동을 가속화시키는 친구 따돌림의 다양한 심리적 기제들, 부모의 거부가 청소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탈행동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경로로서 낮은 학업성취가 논의되었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s factors that influence delinquent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using longitudinal analysis. A total of 1,012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when they were Grade 6 and 739 students completed a follow-up questionnaire when they became Grade 9.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predicted delinquent behavior of Grade 9 students: Bullying, previous delinquency, experience of punishment, victimization, social efficacy, and moral disengagement. The above six variables have direct and mediating influence of delinquent behavior. Relational factors also influenced delinquent behavior. Social exclusion from friends reduce social efficacy, which increases victimization and which in turn increases bullying, leading to greater delinquency. Parental rejection, social exclusion from friends and hostility from teachers increase moral disengagement, which increases bullying, leading to delinquency. Low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being punished, which increases bullying, leading to delinquency. The results indicate that moral disengagement and social efficacy are mediating factors of delinquency and negative life-events (i.e., social exclusion from friends, rejection from teachers, hostility from parents and low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Korean adolescents will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종단 자료의 분석을 통해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012명 표집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을 거쳐, 중학교 3학년까지 3차에 모두 응답한 739명이 최종 분석대상이었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청소년의 일탈행동을 의미있게 예언하는 변인은 폭력가해행동, 과거 일탈행동, 학교처벌경험, 폭력피해경험, 사회성효능감, 도덕적 이탈이었다. 경로분석 결과, 6개 예언변인들의 일탈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외에도, 인간관계 변인들의 간접적인 영향과, 도덕적 이탈 및 사회성효능감의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이 확인되었다. 친구 따돌림은 사회성효능감을 감소시키며, 낮아진 사회성효능감은 폭력피해경험을 증가시키고,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폭력가해행동을 많이 하며, 가해행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다양한 일탈행동을 하였다. 부모의 거부, 친구의 따돌림, 교사의 적대 및 과거의 일탈행동은 도덕적 이탈을 증진시키며, 도덕적 이탈은 폭력가해행동과 일탈행동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성적이 낮을수록 학교에서 처벌경험이 많고, 처벌을 받을수록 폭력가해행동과 일탈행동에 더욱 개입하였다.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과 관련된 이러한 결과들에 토대하여, 일탈행동 형성과정에서 도덕적 이탈과 사회성효능감의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 부정적 경험의 누적을 통한 일탈적 삶의 구성, 일탈행동을 가속화시키는 친구 따돌림의 다양한 심리적 기제들, 부모의 거부가 청소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탈행동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경로로서 낮은 학업성취가 논의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목차>
    연구 목적: 청소년들이 왜 일탈행동을 하게 되는가
    연구 내용: 청소년 일탈행동 형성과정에서 무엇을 다룰 것인가
    인간관계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의미있는 타인의 거부가 남기는 상처들
    심리특성과 일탈행동의 관계: 도덕적 이탈,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일탈행동의 경험, 그리고 누적의 메커니즘
    방법
    표집대상: 표 1. 표집대상
    측정도구: 표 2. 측정변인의 구성과 신뢰도
    실시방법
    결과
    일탈행동과 인간관계, 심리특성, 행동특성의 관계
    표 3. 일탈행동, 인간관계, 심리특성, 행동특성의 상관관계
    일탈행동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변인들
    그림 1. 일탈행동과 학업성취 요인의 요인구조
    일탈행동을 의미있게 예측하는 변인들
    표 4. 일탈행동을 예측하는 변인 탐색을 위한 중다회귀분석
    표 5. 일탈행동을 예측하는 변인들과 인간관계, 심리특성, 행동특성 변인들간의 관계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에 대한 경로분석
    그림 2.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정 기본모형
    그림 3.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정 대안모형
    그림 4.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정 기본모형: 경로분석
    그림 5.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정 대안모형: 경로분석
    논의
    도덕적 이탈: 일탈행동 형성과정에서의 매개변인
    삶의 양식으로서 일탈: 반복되는 부정적 경험
    친구 따돌림의 다양한 심리적 기제들
    부모의 거부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낮은 학업성취: 일탈행동으로 연결되는 또 하나의 경로
    후속연구 제안: ‘생각의 주머니’

    결론: 마음의 진주를 찾아서
    청소년 일탈행동 지도를 위한 시사: 개별적 일탈행동 지도에서 학습환경 리모델링으로
    마음의 진주를 찾아서
    한국 사회의 관계문화 맥락 속에서 청소년 일탈행동의 토착심리 탐구

    2.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 한국의 토착적인 인간관계에 초점을 둔 구체적인 청소년 지도 방안
    * 부모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에 적극적인 활용
    * 도덕적 이탈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방략의 제시
  • 색인어
  • 청소년 일탈행동, 도덕적 이탈, 사회성효능감, 폭력가해행동, 폭력피해경험, 학교처벌경험, 친구 따돌림, 인간관계, 종단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