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380&local_id=10013856
스포츠하는 人間의 意味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스포츠하는 人間의 意味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남중웅(한국교통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80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0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스포츠하는 인간’에 대한 이론과 실천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그들이 전형적으로 추구하는 가치 속에서 체육인의 본질을 탐구하고, 다학문적 접근을 통해 궁극적으로 체육학 연구에서 발굴되지 않은 ‘스포츠인간학’의 세계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결국 이 연구는 다학문적 관점에서 스포츠인간학을 고찰하고, 스포츠하는 인간이 체육(학)에서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지향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스포츠하는 인간의 철학적, 사회적, 통합적인 접근을 통한 다학문적 접근이 이루어 졌으며, 스포츠하는 전형성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체험의 새로운 지평으로써의 의미와 가치를 찾을 수 있었다. 둘째, 고통과 즐거움이 혼재하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즐거움에 따른 창조적인 고통을 찾을 수 있었다. 넷째, 보편된 가치 추구와 실존적 행복감을 찾을 수 있었다. 결국 스포츠하는 인간학에 있어서 최종적인 목표는 ‘행복추구’이다. 즐거움과 고통을 넘어 자기실현 및 새로운 지평으로써의 스포츠인간학의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 영문
  • This research, starting with a consciousness of the problems in theories and practices on homo sportivus, is to explore the essence of those homo sportivus in the perspective they typically pursue, and organize the world of sport anthropology that have been ultimately estranged and not excavated in gymnastics researches through multi-lateral approach. Sport anthropology is a branch of study that seeks to clarify various phenomena occurring to homo sportivus in multi-lateral standpoint. Therefor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amine sport anthropology in multi-lateral standpoint, and consequently clarify what meanings and values people pursues about gymnastics. Through multi-lateral approaches like philosophy and sociology, etc, this research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sport anthropology can find meanings and values as a new horizon of experience. Secondly, it can find socio-cultural meanings blended with pain and joy. Thirdly, it can find creative pain by joy. And lastly, it can find universal value and existential sense of happiness. After all, the ultimate goal of people engaged in sport is 'pursuit of happiness'. It will be necessary to approach sports anthropology as self realization and new horizon beyond joy and pai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스포츠하는 인간(homo sportivus)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왜 스포츠를 하는가? 라는당위적이고 불가피한 물음에서 출발하여 ‘스포츠하는 인간’에 대한 이론과 실천이라는 문제의식을 내포하면서, 그들이 전형적으로 추구하는 가치 속에서 스포츠하는 인간에 대한 본질을 탐구하고, 다학문적 접근을 통해 궁극적으로 체육학 연구에서 발굴되지 않은 ‘스포츠인간학’의 세계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즉 스포츠인간학적 접근은 스포츠철학의 한 분과를 넘어서서 스포츠하는 인간을 초점으로 하는 ‘다학문적 이해’이다. 스포츠인간학은 그 안에 매우 다양한 입장들이 내재한다는 점에서 한마디로 정의 내리기 어렵지만, 스포츠현상을 인간학적인 관점에서 정립하고자 하는 체육학의 독특한 연구영역으로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종래 스포츠현상에서 무엇을 문제점으로 인식·비판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다른 한편으로 체육학 연구에서 스포츠하는 인간을 어떻게 수용하고 전개시키고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스포츠현상에서 발견되는 ‘스포츠인간학적 문제제기’는 어떠한 점에서 기존 체육(학)의 인식체계를 넘어서고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하는 인간이란 어떤 것인가?’ ‘스포츠하는 인간이란 무엇인가?’의 의문에서 출발하여 스포츠하는 인간의 본질과 존재방식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학문적 관점에서 스포츠인간학을 고찰하고, 스포츠하는 인간이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지향하는가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체험의 새로운 지평으로써의 의미와 가치를 찾을 수 있었다. 둘째, 고통과 즐거움이 혼재하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즐거움에 따른 창조적인 고통을 찾을 수 있었다. 넷째, 보편된 가치 추구와 실존적 행복감을 찾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스포츠하는 인간에 있어서 최종적인 목표는 ‘행복추구’라는 것이다. 즉 즐거움과 고통을 넘어 자기실현 및 새로운 지평으로써 스포츠를 통한 참 행복을 추구하는 "스포츠하는 인간"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스포츠하는 인간의 철학적, 사회적, 통합적인 접근을 통한 다학문적 접근이 이루어 졌으며, 스포츠하는 인간의 전형성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체험의 새로운 지평으로써의 의미와 가치를 찾을 수 있었다. 둘째, 고통과 즐거움이 혼재하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즐거움에 따른 창조적인 고통을 찾을 수 있었다. 넷째, 보편된 가치 추구와 실존적 행복감을 찾을 수 있었다. 결국 스포츠하는 인간학에 있어서 최종적인 목표는 ‘행복추구’이다. 즐거움과 고통을 넘어 자기실현 및 새로운 지평으로써의 스포츠인간학의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스포츠현상에서 스포츠하는 인간에 대한 본질적 고통과 즐거움을 다룬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중차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동양과 서양에서 스포츠가 정착된 국가를 대상으로 ‘엘리트 스포츠’와 ‘대중스포츠’의 영역에서 스포츠하는 인간의 본질을 대조적으로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미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스포츠하는 인간을 대상으로 탐방하고 인터뷰를 하면서 자료수집과 심층면담 등을 통하여 스포츠하는 인간의 본질을 논의 하였다.
    과학도 기술도 경제도 자본도 모두 문화 현상들이다. 인간은 한편으로는 분명히 이 문화현상들을 필요로 하며, 또 필요로 하는 만큼 그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인간은 이들에 대한 통제권과 제어력을 점점 더 상실해 가고 있으며, 바로 이 점이 오늘날 우리가 처해 있는 위기의 원인이 되고 있다(김성진, 1999). 따라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이제까지 체육학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스포츠 인간학’의 새로운 지평을 드러내고 해석하고자 하였다. 스포츠현상에서 스포츠하는 인간의 즐거움, 고통, 신체성 등에 의미가 있었다. 근대 체육(학)을 넘어서서 스포츠하는 인간의 즐거움과 실현을 향한 새로운 구성이라는 측면에서 학문적 접근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둘째, 스포츠현상에서 스포츠하는 인간의 새로운 지평은 부와 명예, 권력의 승리지상주의를 향한 무한경쟁으로부터, 삶의 질적 차원에서 즐거움을 향유하는 성찰성으로써의 관점과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 엘리트 스포츠의 권력지향적이며 수단적 가치와 노동인 스포츠현상의 흐름으로부터 즐거움과 성장이라는 주관적인 의미인 즐김과 향유로 전환하는 관점이다. 즉 상품화, 획일화, 규격화, 등급화된 스포츠현상에 대한 비판으로서 스포츠가 가지는 즐거움의 향유라는 성격을 되살리는 것이다. ‘메달주의’와 ‘일등주의’를 강요하는 결과로 내모는 스포츠현상의 흐름으로부터 스포츠하는 인간의 삶과 세계를 공동체적 시너지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즐거움의 세계를 확산하는 놀이의 차원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셋째, 스포츠인간학의 테마가 인간학 비판 및 분석적·경험적 스포츠과학이나 비판적·행위적 스포츠과학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 관심의 초점에서 멀어졌다고 할지라도, 인간학적 문제제기는 체육학의 테두리 안에서 중요성을 지니게 될 것이다. 더욱이 그 자체의 본질적 속성인 개방성으로 인하여 학문적 사상적 흐름의 다양화를 인정하더라도 결국 체육학의 통합적 사유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학문적 흐름은 스포츠인간학이 지닌 학문적 토대의 결함을 의미하기보다는 오히려 체육학의 학문적 성숙을 드러내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스포츠인간학은 "오늘날 복수주의와 다양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체육학적 지식의 중심영역"으로 위치할 것이다.

    넷째, 이 연구는 이제까지 스포츠현상에서 스포츠하는 인간의 세계를 학문적으로 개척되지 않았음을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스포츠현상에서 스포츠하는 인간은 어느 한 순간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즐거움을 통해 삶의 질적 향상과 행복을 추구하는 과정이다. 스포츠현상에서 사장되는 무수한 즐거움의 가능성을 다확산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과정을 개인적,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재조명하고 해석할 수 있었다.

    다섯째, 스포츠현상에서 스포츠하는 인간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체육학의 모든 이론과 실천은 인간학적 통찰과 인간학적 지식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는 지식적 체계를 정립하였다. 따라서 스포츠하는 인간의 연구는 변화하는 스포츠현상 속에서 체육학의 인간학적 전제들을 새롭게 만들어냄으로써 학문적 타당성을 지니게 될 초석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스포츠, 스포츠하는 인간, 스포츠인간학(sport, homo spotivus, sport anthropolog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