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404&local_id=10013051
패션디자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식창조모델 -색상, 소재, 형태별 경쟁력 강화-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패션디자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식창조모델 -색상, 소재, 형태별 경쟁력 강화-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죽형(동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59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환경변화에 따른 패션산업의 대응을 패션디자인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그러면 패션 디자인의 경쟁력은 어떻게 결정될 수 있을 것인가 디자인은 감성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가기 다른 평가가 가능한 주관적인 것이다. 따라서 이를 객관적인 지표로 평가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창조적 디자인이 도출되는 과정은 새로운 지식이 창출되는 과정이기도 하다. 예컨대, 경쟁력 있는 패션디자인의 창조는 지식창조모델에 따라 암묵적인 지식(tacit knowledge)과 형식적인 지식(explicit knowledge)이 보완적으로 전환되는 과정이다. 패션디자인도 결국 디자이너가 지닌 암묵적인 지식과 유행경향으로 인식되는 외부의 형식적인 지식들이 결합하는 과정이다.
    경쟁력 있는 패션디자인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두 가지 종류의 지식이 효율적으로 결합되는 지식창조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지식창조모델은 패션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할 것이다. 예컨대, 인터넷이 상용화되기 이전의 패션디자인 지식창출모델과 상용화된 이후의 모델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산업의 지식창조모델의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선도적인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창조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분석대상사례로는 스페인의 ZARA와 스웨덴의 H&M을 선정하였다.
  • 영문
  • This research is on the knowledge creating process for fashion desig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패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근원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패션디자인 분야의 경쟁력이 축적되어야 한다는 대전제에서 논의를 진행시키고자 한다. 예컨대, 본 연구에서는 환경변화에 따른 패션산업의 대응을 패션디자인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그러면 패션 디자인의 경쟁력은 어떻게 결정될 수 있을 것인가 디자인은 감성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가기 다른 평가가 가능한 주관적인 것이다. 따라서 이를 객관적인 지표로 평가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창조적 디자인이 도출되는 과정은 새로운 지식이 창출되는 과정이기도 하다. 예컨대, 경쟁력 있는 패션디자인의 창조는 지식창조모델에 따라 암묵적인 지식(tacit knowledge)과 형식적인 지식(explicit knowledge)이 보완적으로 전환되는 과정이다. 패션디자인도 결국 디자이너가 지닌 암묵적인 지식과 유행경향으로 인식되는 외부의 형식적인 지식들이 결합하는 과정이다.
    경쟁력 있는 패션디자인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두 가지 종류의 지식이 효율적으로 결합되는 지식창조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지식창조모델은 패션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할 것이다. 예컨대, 인터넷이 상용화되기 이전의 패션디자인 지식창출모델과 상용화된 이후의 모델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산업의 지식창조모델의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선도적인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창조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분석대상사례로는 스페인의 ZARA와 스웨덴의 H&M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패션디자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패션디자인은 지식집약적인 연구영역이다. 따라서 이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학제적인 접근으로 경영학에서 응용되어 지는 지식창조모델을 패션디자인에 적용시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21세기의 패션산업은 이전과는 매우 다른 양상으로 변화할 것이다.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변화동인으로 제시한 거시적 환경변화는 끊임없이 패션산업의 변화를 유도할 것이고, 변화에 가장 민감한 패션산업은 다양한 형태의 변신을 거듭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듯 변화하는 패션산업에서 한국기업들이 가장 중요한 디자인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어떤 지식창조모델을 적용해야 할지를 제시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크게 정부정책수립과 기업전략수립의 두 가지 차원에서 활용되어지리라 기대된다.
    먼저 정부의 패션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지리라 기대된다. 예컨대, 정부의 패션정책을 저부가가치 생산위주 정책에서 고부가가치의 디자인 경쟁력 강화정책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방향이 유효한지를 설명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정부정책은 변화하는 환경 하에서 패션기업들이 경쟁력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해 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경쟁력 있는 디자인 창조모델을 위해서 정부는 어떤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지의 방향성을 제공함으로써, 정부정책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둘째, 패션기업의 경영은 이런 모델에 근거해서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치열한 경쟁관계에 있는 패션산업에서 디자인 경쟁력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식창조모델을 채택해야 할지를 제시하는 본 연구는 디자인 경쟁력이 전반적으로 뒤떨어진 한국 패션기업에게는 실질적으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색인어
  • 패션디자인, 경쟁력, 지식창조, 암묵지, 형식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