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405&local_id=10016608
‘구별사’의 분석을 통한 중국어 품사의 전형성에 대한 기능적, 동태적 고찰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구별사’의 분석을 통한 중국어 품사의 전형성에 대한 기능적, 동태적 고찰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정구(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411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구별사의 분석에서 각 구별사는 다양한 통사적 기능을 보여주었다. 학자들이 제시한 구별사들도 그들의 기능이 일치하지 않았지만, 어느 한 학자가 제시한 구별사들도 그들의 기능이 일치하지 않았다. 또한, 800여개의 구별사의 기능이 모두 다소간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구별사는 명사의 성격도 갖고 있으며, 형용사의 성격도 갖고 있다 따라서 다음에 보는 바와 같이 점이적 성격의 비전형적 어휘가 많이 출현하게 된다.
    또 한 가지 재미 있는 사실은 이들이 부사어로도 기능한다는 것이다. 이를 부사와의 겸류나 활용으로 봐야 할지 아니면 품사가 전이된 것인지 쉽게 단정하기 힘들다. 가장 설득력 있는 관점은 이들 어휘들이 명사성과 술어성의 두 가지 극단에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다만, 이들이 새로운 범주를 가질 수 있는 근거는 이들이 어떤 사물의 속성을 나타낼 수 있는 의미적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적 특성은 형용사적이고, 그들의 형태적 특징은 명사적이이서 그 둘 사이에서 방황하고 있는 어휘들이라 판단한다.
    우리는 이들을 하나의 품사류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 무엇보다도 앞에서 분석했듯이 그것들의 통사적 속성이 일정하지 않고, 공통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큰 무리의 동일속성의 어휘들을 설정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그들을 하나의 독립된 품사로 설정할 경우, 그러한 품사가 다른 언어에도 존재한다는 보편적인 사실을 보여주어야하지만 그 또한 쉽지 않다. 또 하나는 그러한 어휘가 비록 최근에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도 그 예는 1000 개가 되지 않는다. 실사의 한 부류라면 그 수는 명사, 형용사, 동사와 같은 실사에 비해서 엄청나게 적은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어휘를 명사와 형용사의 두 전형적 어휘 사이에 존재하는 점이적 속성의 어휘들이라 설정하는 것이 나을 것이며, 대부분은 형용사보다는 명사에 가깝다고 보여진다.
  • 영문
  • 'Qubieci' is a very extraordinary type of word of which function is not the same as any other parts of speech. Its function is similar to noun but not the same as noun, and similar to adjective but not the same as ajective. Most of them which belong to this category are more similar to noun rather than ajective. It cannot be regard as one of subsets of ajective. Our analysis shows that it has a intermediate property between noun and ajective. It has not sufficient distinctive feature to identify its own grammatical property. And we cannot easily find out Universal concept which can license the existence of the part of speech which can be shown in other languag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중국인들의 직관을 검증해본 결과 이러한 어휘들은 명사 혹은 형용사의 특징을 가진 것으로 느끼면서도 일반 명사나 형용사와 완전히 같지는 않다고 느낀다. 중국인이 품사에 대한 직관을 가진다는 것은 그들의 어법능력 속에 해당 품사의 전형적인 특징에 대한 인식이 잠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는 구별사가 형용사, 명사 등 주요 품사의 특성을 다소간 지니고 있는 어휘들의 집합이라고 가정하고, 그들의 어법특징을 세밀히 관찰하여 구별사가 전형적인 형용사, 전형적 명사 등과 어떠한 속성을 공유하는지,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어떻게 일련이 점이적 특성을 가진 어휘들이 배열되는지를 관찰하고, 그들이 형용사나 명사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어법 특징을 가지는지를 분석했다.
    구별사의 분석에서 각 구별사는 다양한 통사적 기능을 보여주었다. 학자들이 제시한 구별사들도 그들의 기능이 일치하지 않았지만, 어느 한 학자가 제시한 구별사들도 그들의 기능이 일치하지 않았다. 또한, 800여개의 구별사의 기능이 모두 다소간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구별사는 명사의 성격도 갖고 있으며, 형용사의 성격도 갖고 있다 따라서 다음에 보는 바와 같이 점이적 성격의 비전형적 어휘가 많이 출현하게 된다.

    (1) 전형적 명사 [비전형적 어휘] 전형적 형용사
    N n1 n2 n3 … … a3 a2 a1 A

    또 한 가지 재미 있는 사실은 이들이 부사어로도 기능한다는 것이다. 이를 부사와의 겸류나 활용으로 봐야 할지 아니면 품사가 전이된 것인지 쉽게 단정하기 힘들다. 가장 설득력 있는 관점은 이들 어휘들이 명사성과 술어성의 두 가지 극단에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다만, 이들이 새로운 범주를 가질 수 있는 근거는 이들이 어떤 사물의 속성을 나타낼 수 있는 의미적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적 특성은 형용사적이고, 그들의 형태적 특징은 명사적이이서 그 둘 사이에서 방황하고 있는 어휘들이라 판단한다.
    또 한가지 흥미 있는 사실은 이러한 특성의 어휘들이 비약적으로 생성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들 구별사가 품사가 아니라 형태소라고 제시한 학자들의 견해를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 구별사와 피수식어의 결합이 마치 하나의 새로운 사물을 지시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그러한 견해를 완전히 뒤집기는 쉽지 않다. 이는 또한 중국어에서 단어와 구의 경계가 불명확하다는 사실에서 쉽게 증명하기 힘들다. 그러나, 구별사가 조사인 ‘的’의 부가로 자유롭게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은 그것을 어휘로 보는 것에 무리를 가져다 준다.
    또한, 기존에 형용사의 하위범주로 이들 어휘를 분류한 것은 문제가 있다. 앞에서 살펴본 대부분의 어휘들은 일반 형용사의 특징을 갖지 않는다. 우리는 이들을 하나의 품사류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 무엇보다도 앞에서 분석했듯이 그것들의 통사적 속성이 일정하지 않고, 공통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큰 무리의 동일속성의 어휘들을 설정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그들을 하나의 독립된 품사로 설정할 경우, 그러한 품사가 다른 언어에도 존재한다는 보편적인 사실을 보여주어야하지만 그 또한 쉽지 않다. 또 하나는 그러한 어휘가 비록 최근에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도 그 예는 1000 개가 되지 않는다. 실사의 한 부류라면 그 수는 명사, 형용사, 동사와 같은 실사에 비해서 엄청나게 적은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어휘를 명사와 형용사의 두 전형적 어휘 사이에 존재하는 점이적 속성의 어휘들이라 설정하는 것이 나을 것이며, 대부분은 형용사보다는 명사에 가깝다고 보여진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고의 연구는 새롭게 그 범주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일군의 어휘에 대해서 그 품사적 특성과 지위를 논의함으로써, 중국어 품사의 전형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는 지금까지 품사구분에 대한 맹목적 수용을 지양하고, 어법체계 속에서 각 품사가 어떻게 상호 역할과 기능을 하며, 그들의 품사적 지위를 어떻게 확보하는지를 보여주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한다. 이는 언어마다 다양한 품사체계가 어떻게 인간 언어의 보편성을 확보하고 있는지를 설명하고, 보편적 품사의 존재를 바탕으로 개별언어에 존재하는 특별한 품사가 주요 품사의 사이에서 어떻게 그들의 존재 영역을 확보하는지를 설명해야 하는 새로운 품사 구분론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이제까지 형태적으로 품사 구분이 뚜렷한 인구어 분석방식에 의거한 품사구분에 대해서 문제점을 제기하고, 형태보다는 기능을 중시하고 전형성의 규명이 더 중요한 중국어 품사 체계의 확립은 언어보편적인 품사관에 접근할 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생각한다.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품사의 구분과 인식은 어법의 이해를 위한 기본적 요구조건이다. 이론을 위한 이론이 아니라, 본고의 연구 성과는 실증적 자료에 바탕을 둔 원리적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중국어 문법 교육에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것이다. 전형적인 품사를 우선적으로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비전형적이고 애매한 어휘들의 점이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개별 현상에 대한 나열식 묘사방법을 지양하고, 문법의 단계를 설정하고, 문법의 원리를 차근차근 이해할 수 있는 교안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는 보다 기능화된 사전이 요구되는 만큼, 본 연구와 같은 이론적 성과가 많이 반영해야 한다. 사전편찬에 있어서 품사의 구별과 그의 의미, 통사적 특성이 더욱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기술되도록 하기 위해서 본고의 연구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 색인어
  • 명사, 형용사, 구별사, 품사, 전형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