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406&local_id=10014256
구체적 조작기 아동의 속담이해능력과 인지발달과의 관계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구체적 조작기 아동의 속담이해능력과 인지발달과의 관계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복희(경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C0049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아동기 후기 이후 급격한 발달경향을 보이는 대표적인 비유언어인 속담의 이해능력은 아동의 표현능력, 읽기능력은 물론, 인지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갖기 때문에 이 시기 아동의 인지발달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Mieder & Holmes, 2000).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동의 발달적 측면에서 수행된 속담연구를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후기 아동들의 속담이해능력을 조사하였다. 속담이해능력과 관련된 변인으로, 속담의 친숙도(familiarity)와 구체성(concreteness)에 따라 속담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속담이해능력에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속담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동의 특성 중 학년, 성별, 조부모와의 동거경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전주시 6개 초등학교로부터 표집한 4학년과 6학년 아동 529명이었다. 전체 아동 중 4학년이 205명(39%), 6학년 324명(61%)이었으며, 남아 279명(53%) 여아 241명(46%)이었다. 조부모와 동거경험이 없는 아동이 357명(68%), 있는 아동이 172명(약 33%)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속담이해능력은 아동이 속담의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는지의 여부로 측정하였다. 속담에 대한 친숙도와 구체성을 중심으로 4가지 속담유형(①친숙한 구체적 속담, ②친숙한 추상적 속담, ③친숙하지 않은 구체적 속담, 그리고 ④친숙하지 않은 추상적 속담)을 분류하고, 유형별로 각각 4개씩 총 16개의 속담에 대해 정답 1개와 오답 1개로 구성된 선택형의 응답항목 중 맞는 뜻을 고르게 하였다. 각 문항이 맞으면 1점 틀리면 0점으로 계산한 합산점수를 속담이해능력 점수로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반적으로 대상 아동들은 친숙하지 않은 속담에 비해 친숙한 속담을 더 정확히 이해하고 있었으며, 학년에 따라 4가지의 속담유형 모두에서 4학년 아동들에 비해 6학년 아동의 속담이해능력 점수가 높았다(t=-4.26, p<.001). 반면, 속담의 사용빈도 점수는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속담의 특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아동들은 친숙하지 않은 속담보다는 친숙한 속담의 뜻을(paired t=29.60, p<.001), 추상적 속담보다는 구체적 속담의 뜻을 더 정확히 알고 있었다(paired t=2.32, p<.05). 셋째, 아동의 특성 중, 학년변인과 더불어 아동의 성별 및 조부모와의 동거여부에 따라 속담이해능력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속담이해능력 점수의 선형조합에서 학년(Pillai T=.04, F=5.57, p<.001)과 성별(Pillai T=.02, F=2.94, p<.05) 각각의 주효과는 물론, 통계적으로 유의한 학년*성별의 상호작용효과(Pillai T=.03, F=3.25, p<.05)가 있었다. 즉, 4학년 아동에 비해 6학년 아동의 속담이해능력 점수가 높았고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이해능력점수를 보였으며, 남아와 달리 여아의 경우에는 4학년보다 6학년의 점수가 월등히 높았다. 반면, 조부모 동거여부의 주효과와 학년*조부모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속담의 친숙도 및 아동의 연령에 따른 속담이해능력에서의 차이결과는 속담의 뜻을 추론할 때 아동들이 속담에 포함된 명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분석을 시도한다는 초언어의미론적 가설(metasemantic hypothesis)을 지지한다(Nippold & Haq, 1996). 또한 속담이해능력이 연령에 따른 인지발달에서의 차이를 반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verb comprehens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explain what variables might be related to proverb comprehension. The relevant variables included both proverb's characteristics such as familiarity and concreteness and children's characteristics such as age, sex, and living experience with grandparents. From Seoul and Chonbuk areas, 529 forth and six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They completed an questionnaire probing their knowledge of 16 proverbs which are composed of four proverbs from each four categories (familiar-concrete, familiar-abstract, unfamiliar-concrete, and unfamiliar-abstract proverb).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reported high comprehension score in familiar and concrete proverbs. Second, sixth graders obtained higher comprehension score than forth graders in all four proverb categorie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sex in proverb comprehension; female sixth graders reported the highest score. These results may suggest a possibility of relationship between figurative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related to abstract thinking of late school-age childre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구체적 조작기 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비유언어에 대한 이해능력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인지발달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아동 529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속담이해능력과 활용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속담이해능력과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써 속담의 특성 중 친숙도와 구체성, 아동의 특성 중 학년과 성별, 조부모와의 동거여부에 따른 속담이해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속담의 친숙성 정도와 속담이 포함하는 명사의 구체성에 따라 4가지로 속담의 유형을 분류하여 각 속담들에 대한 정답비율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대상 아동들은 친숙한 속담들에 대해서는 구체성/추상성 여부에 관계없이 비슷한 정답비율을 보인 반면, 친숙하지 않은 속담의 이해능력 점수는 속담의 구체성과 추상성 여부에 따라 다소 다른 정답비율을 보였다. 둘째, 속담이해능력 점수에서의 학년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4가지의 속담유형 모두에서 4학년보다 6학년의 속담이해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속담의 두 가지 특성인 친숙도와 구체성의 기준에 따라 속담이해능력 점수를 비교한 결과, 아동들은 친숙한 속담일수록 그리고 구체적 속담일수록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추상적인 사고에는 비유언어와 인지발달간의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속담의 친숙성 정도와 속담이 포함하는 명사의 구체성에 따라 4가지로 속담의 유형을 분류하여 각 속담들에 대한 정답비율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대상 아동들은 친숙한 속담들에 대해서는 구체성/추상성 여부에 관계없이 비슷한 정답비율을 보인 반면, 친숙하지 않은 속담의 이해능력 점수는 속담의 구체성과 추상성 여부에 따라 다소 다른 정답비율을 보였다. 즉, 친숙하지 않은 속담의 경우, 속담에 포함된 명사가 구체명사일 때는 정답비율이 58-85%인 반면 추상명사만을 포함한 추상적 속담일 때는 43-70%의 상대적으로 낮은 정답비율을 보였다. 따라서 아동을 대상으로 속담교육을 실시할 때 속담이 포함하고 있는 단어(명사)를 기준으로 선별하여 제공한다면 추론능력과 관련된 아동의 인지발달에 도움을 줄 것이라 여겨진다.
    둘째, 속담이해능력 점수에서의 학년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4가지의 속담유형 모두에서 4학년보다 6학년의 속담이해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이러한 학년 간 차이가 대상 아동들의 연령에 따른 인지발달에서의 차이인지 혹은 교육적 경험에서 오는 차이인지 정확히 판단할 수는 없으며, 다만 두 가지 가능성 모두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즉, 6학년의 경우 4학년에 비해 인지발달면에서 구체적 조작사고에서 형식적 조작사고로의 전환이 이미 이루어진 아동들을 포함할 확률이 높으며, 그러한 인지발달의 차이로 인해 속담이해능력에서 학년 간 차이가 나타났을 수 있다.
    셋째, 속담의 두 가지 특성인 친숙도와 구체성의 기준에 따라 속담이해능력 점수를 비교한 결과, 아동들은 친숙한 속담일수록 그리고 구체적 속담일수록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었다. 특히 4학년과 6학년 아동 모두 친숙한 속담에 대해서는 3점 이상(4점 만점)의 이해능력 점수를 보임으로써 속담의 뜻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속담의 친숙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아동의 연령, 성별, 일상경험 등의 개별적인 특성에 따라 속담을 이해하는 정도에 차이가 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먼저, 본 연구의 결과 전체적인 속담이해능력 점수에서 아동의 학년과 성별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속담이해능력이 연령에 의한 차이와 함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며 그 결과의 방향이 남아보다는 여아에게서 더 우수하게 나타남으로써 언어능력에서의 성차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들(Hedges & Nowell, 1995; Hyde & Linn, 1986; Rosenthal & Rubin, 1982)의 결과를 지지한다. 따라서 4학년에 비해 6학년이 그리고 남아에 비해 여아가 이러한 추론적이 사고에서 앞서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속담이해능력은 아동의 연령과 성별 등 생물학적 요인들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속담노출 경험과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그러한 속담이해능력은 속담의 특성인 친숙도와 구체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개별 아동들이 개별 속담에 대해 얼마만큼 친숙한가하는 것이 그들의 속담이해능력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고 하겠다.
  • 색인어
  • 속담, 비유언어, 구체성과 추상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