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418&local_id=10013777
유아들의 복사물체의 상징적 기능에 대한 이해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유아들의 복사물체의 상징적 기능에 대한 이해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영신(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26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유아들의 삶에 아주 많이 등장하는 중요한 상징물은 실제 물체를 축소하거나 확대한 복사물체(replica objects)이다. 유아들은 가정에서 일찍부터 이런 복사물체에 접하게 된다. 유아들이 가지고 노는 대부분의 장난감은 실제 물체를 나타내는 상징물이고, 유아교육기관에서도 유아들이 추상적 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림, 비디오 자료 뿐 아니라 복사물체를 많이 사용하여 교육한다. 이처럼 복사물체는 유아들의 삶의 어디에나 존재하는 보편적 상징물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복사물체의 상징적 의미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발달하며, 어떤 요인들의 영향을 받으며, 또 다른 상징에 대한 이해와는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발달하는지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연구1과 1a에서는 24개월과 30개월 집단 유아들을 대상으로 복사물체의 상징적 의미를 이해하는지를 알아보고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를 다른 상징들- 단어, 사진과 그림, 제스처-에 대한 이해와 비교하였다. 유아들에게 네 개의 물체를 동시에 보여주고 특정 상징으로 물체를 지시한 다음 해당하는 물체를 선택하게 하였다. 두 연령 집단의 유아들이 모두 복사물체를 이해하였으나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는 다른 상징들에 대한 이해보다 더 어려웠다. 이는 복사물체가 물체로서 너무 두드러져서 유아들이 복사물체를 다른 대상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으로 DeLoache(1987, 1991, 2000)의 이중표상가설을 지지한다. 또한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는 다른 상징 특히 제스처에 대한 이해와 높은 관련성을 보였고 이 밖에도 제스처와 사진, 그림과 단어 이해도 높은 관련성을 보였으며 이런 관련성은 24개월 집단보다 30개월 집단에서 더 나타나서 연령이 증가하면서 상징들에 대한 이해가 서로 더 깊은 관련성을 가지게 됨을 시사한다. 연구2에서는 24개월과 30개월 집단을 대상으로 복사물체와 참조물의 유사성이 상징으로서 복사물체를 이해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유아들에게 세 개의 물체를 동시에 보여주고 참조물과 더 유사한 복사물체나 덜 유사한 복사물체를 제시하고 해당하는 물체를 선택하게 하였다. 두 연령 집단 유아들이 모두 복사물체가 참조물과 더 유사할 때 복사물체를 더 잘 이해하였는데 이는 유아들이 상징과 참조물 사이의 표상적 관계를 이해하는데 상징과 참조물의 유사성이 도움을 줌을 시사한다.
  • 영문
  • Replica objects are very common symbolic artifacts in toddler's life. Children are surrounded with numerous replica objects either in home or in educational institutions. Especially, teachers quite often employ replica objects to explain abstract concepts, which are difficult for children to understand.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f replica objects was examined with 24-month-old and 30-month-old toddlers in three Experiments. In Experiment 1 and 1a, children were asked to select an object which is designated with replica objects and other symbols such as words, photographs or pictures, and gestures to examine whether they understand the symbolic function of replica objects and to compare the understanding of replica objects with other symbols. Children from both age groups understand the replica objects. However, they understand replica objects less well than other symbols. These results support the DeLoache's dual representation hypothesis(1987, 1991, 2000) in that children are difficult to see reliplica objects as symbols because they are so dominant as an objects. Understanding of replica object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understanding of other symbols, particularly gesture. Besides, gesture and photographs as well as pictures and word are related to each other significantly.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are more prevalent in an older age group. This fact indicates that understanding of different symbols show deeper relationship with age. In Experiment 2, the role of iconicity in understanding of replica objects was examined. Children from both age groups understand replica objects better when they are similar to the referents in physical appearance.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iconicity plays an important role when children learn the represent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symbols and their refer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24개월과 30개월 집단 유아들을 대상으로 복사물체의 상징적 기능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발달하고, 다른 상징에 대한 이해와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세 연구에서 검토하였다. 연구1에서는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를 단어, 사진, 제스처에 대한 이해와 비교하였다. 유아들에게 네 개의 물체를 보여주고 복사물체, 단어, 사진, 제스처를 제시한 다음 해당하는 물체를 선택하게 하였다. 두 연령 집단의 유아들은 모두 복사물체뿐 아니라 단어, 사진과 제스처의 상징적 기능을 이해하였다. 또한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는 제스처에 대한 이해와는 차이가 없었으나 단어나 사진에 대한 이해보다 더 어려웠다. 또한 두 연령 집단에서 복사물체와 제스처에 대한 이해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30개월 집단에서는 복사물체와 사진, 사진과 제스처에 대한 이해도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1a에서는 연구1과 달리 사회경제적 배경과 교육적 경험이 비슷한 유아들을 대상으로 연구1의 결과를 다시 확인하였을 뿐 아니라 사진 대신 그림을 사용하여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를 단어, 그림과 제스처에 대한 이해와 비교하였다. 30개월 집단은 복사물체 뿐 아니라 단어, 그림과 제스처를 이해하였으나 24개월 집단은 복사물체와 그림은 이해하지 못했고 단어와 제스처는 이해하였다.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는 24개월 집단에서는 단어와 제스처보다, 그리고 30개월 집단에서는 단어, 그림과 제스처보다 더 어려웠다. 또한 24개월 집단에서는 제스처와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가, 30개월 집단에서는 제스처와 복사물체 뿐 아니라 단어와 그림에 대한 이해도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1과 1a의 결과들은 모형에 대한 이해를 설명하기 위해 DeLoache가 제안한 이중표상가설(1987, 1991, 2000)이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도 잘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2에서는 복사물체와 참조물 사이의 유사성이 복사물체의 상징적 기능에 대한 이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유아들에게 세 개의 물체를 제시한 다음 그 물체와 유사한 복사물체나 유사하지 않은 복사물체를 보여주고 해당하는 물체를 찾게 하였다. 두 연령 집단의 유아들은 모두 복사물체가 참조물과 유사하지 않을 때보다 유사할 때 복사물체를 더 잘 이해하였는데 이는 유아들이 상징과 참조물 사이의 표상적 관계를 이해하는데 둘 사이의 유사성이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에서는 크게 네 가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우리나라 유아들이 24개월 경에 복사물체의 상징적 기능을 이해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단어, 사진, 그림, 제스처와 같은 다른 상징의 의미도 잘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상징으로서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는 단어, 제스처, 그림이나 사진에 대한 이해보다 더 어려웠다. 세째,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는 다른 상징, 특히 제스처에 대한 이해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네째, 유아들은 복사물체가 참조물과 유사할 때 그 상징적 기능을 더 잘 이해하였다.
    이 연구는 유아들의 인지능력의 기본이 되는 상징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발달하는지, 또 그와 관련된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문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여러가지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 국외에서는 오래 전 부터 상징이해의 발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온 반면 우리 나라에서는 마음이론에 대한 연구를 제외하고는 복사물체, 그림, 모형, 제스처 등 다양한 상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는데 본 연구는 "한국심리학회지: 발달"에 출판을 앞두고 있어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환기시키고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현재까지 영유아들, 특히 2세 이하의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복사물체를 연구의 자극으로 많이 사용하여 왔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이 연구들의 결과를 재평가하고 또 2세 이하 영유아들에게 적절한 연구 자극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교육 전문가들이 영유아들에게 더 적합한 보육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또 현장 교사들이 영유아들을 교육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2세 정도가 되어야 유아들이 복사물체의 의미를 이해하기 때문에 그 이전의 유아들에게는 복사물체보다 실제 물체를 사용하는 것이 더 교육적으로 효과적일 것이다. 4) 상징이해의 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영유아들을 평가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그림과 사진, 단어, 복사물체, 상징적 기능, 상징이해, 이중표상가설, 제스처, 유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