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431&local_id=10017033
『 성주네』: ‘감동’과 ‘상상'’의 미학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 성주네』: ‘감동’과 ‘상상& #39;’의 미학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윤정임(중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676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사르트르의 초기 저작인 [감동이론 소묘](1939), [상상력](1936), [상상적인 것](1940)을 중심으로 그의 예술이론을 살펴보고, 그것이 실제로 적용된 [성 주네](1952)의 분석을 통해 사르트르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감동이론 소묘]에서 사르트르는 고전적 감동이론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고, 감동이란 극히 의식적인 행위, 즉 의미도 있고 목적도 가지고 있는, 그리하여 세계를 구성하는 힘으로 이어지는 의식행위라고 주장한다.
    현상학적 감동이론을 그려내는 사르트르에게 있어 감동은 ‘세계를 이해하는 어떤 방식’인 것이다. 익숙하지 않은 어떤 상황을 마주할 때, 우리는 그런 곤란한 상황에 그냥 머물러 있지 않고 일상적인 과정과는 다른 방식으로 세계 안의 사물과의 관계를 바꾸려는 시도를 한다. 그것은 새로운 관계 파악이고 새로운 요구이다. 대상의 파악이 불가능하거나 견딜 수 없는 긴장을 낳게 되면 의식은 그 대상을 다르게 파악하려고 하는데 그것이 바로 감동이라는 것이다. 그 감동은 믿음을 동반하며, 의식은 자기가 새로 구축한 세계를 살게 된다. 그 의식은 새로운 세계 앞에서의 새로운 의식이다. 그러므로 감동의 원천에는 세계 앞에서의 의식의 자발적인 그리고 체험적인 강하가 따르게 된다. 감동이란 결국 의식이 세계를 다르게 이해하는 방식이다.
    [상상적인 것]에서는 지각 행위와 상상 행위의 차이를 설명하면서 실재하는 대상을 상정하는 지각행위와 달리, 상상행위는 부재하는 비현실적인 대상에 대한 의식의 작용이라고 보았다. 상상행위는 실재보다는 상상적인 것에, 진짜보다는 심리적 만족에, 행위보다는 제스처에 몰두하는 것으로 이는 실재에 대한 반감에서 비롯하며 상징적 복수에서 만족감을 찾는 행위라는 것이다. 이러한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은 결국 모든 예술 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이어지는데, 현실을 그 출발점으로 삼는다는 데 그 중요한 특징이 있다. 상상이론의 출발점이 현실이론이라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면, 상상력은 세계를 다르게 비현실화시키는 의식의 기능이 된다.
    [성 주네]에서 사르트르는 주네의 작품 속에서 일어나는 감동의 하강, 시와 산문 속의 이미지, 글쓰기를 통한 상상 행위, 상상행위를 통한 현실 전복의 효과를 읽어낸다. 초반부터 사르트르는 "상상한다는 일은 갉아댈 현실 한 귀퉁이를 상상적인 것에 부여하는 일이다"고 주장한다. 상상 행위가 현실로부터 시작되는 어떤 것임을 밝히는 이 문장은 [상상적인 것]에서 사르트르가 역설했던 ‘상상 의식의 기반이 현실로부터 비롯되는 것’을 다시금 환기하고 있다. 결정적인 출발점으로 도입된 이 개념은 이후 주네의 삶과 작품을 설명하고 분석하는 논지의 중심축을 이루어나간다.
    사르트르가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주네의 악행은 도둑질, 동성애, 배반이다. 주네의 도둑질은 거짓 소유를 통한 거짓 존재 획득이라는 비현실적이며 불가능하고 상상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목표와 의미화가 ‘비현실성’에 머무는 이러한 도둑질은 ‘존재’보다는 ‘무’를, 실제보다는 상상을, 쾌락보다는 긴장을 더 즐기며 거기에 더 많은 중요성을 부여하는 행위이다. 결국 주네의 도둑질은 현실의 현실성을 없애버리고 상상을 통해 현실을 상상으로 끌어당기는 ‘시적 행위’에 연결된다.
  • 영문
  • This article aims to analysis Saint Genet, comedien et martyr of Sartre, in reference to his earlier aesthetic theory in Imagination, Esquisse d'une theorie des emotions and Imaginaire.

    In Esquisse d'une theorie des emotions, Sartre defends a view of the emotions as conscious acts, as purposive and meaningful ways of constituting our world, for which we must accept responsibility. Its basic structures are prominent throughout L'Etre et le Neant and his later psychoanalytic studies. In his brilliant analysis of the career of Jean Genet, the conception of an emotional transformation of the world, the key to the theory of his early Esquisse d'une theorie des emotions is also the key to Genet's world magic and his poetic use of language.

    Saint Genet lies about half-way between Imaginaire and Etre et le Neant. Sartre uses his study of Genet to develop further his earlier aesthetic criteria ; distinction between an act and a gesture, between the real and attitude toward it, which seems to drain it of its reality, transform it into mere appearance, irrealize it, to use Sartre's term. The groundwork of this theme had already been laid in Imaginaire which demonstrated the basic incompatibility between the act of perceiving and the act of imagining. Sartre discusses Genet's relations with imagination, and declares that Genet himself is imaginary. It is through the imaginary that Genet is led to art and paradoxically to the rea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사르트르의 초기 저작인 [감동이론 소묘], [상상력], [상상적인 것] 에 나타난 감동과 상상력에 관한 이론을 정리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사르트르의 주네 론(論)인 [성 주네]에서 전개되고 있는 선과 악, 행위와 제스처, 현실과 비현실화의 이분법적 논리의 점검을 목표로 한다.
    [감동이론 소묘]는 현상학적 감동이론을 그려내려는 사르트르의 시도이다. 사르트르가 보기에 감동이란 ‘세계를 이해하는 어떤 방식’이다. 익숙하지 않은 상황을 마주할 때, 우리는 일상적인 태도와는 다른 방식으로 그 상황에 대처하려고 한다. 즉 사물과의 관계를 바꾸려고 하거나, 대상과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내려고 하는 것이다. 대상의 파악이 불가능하거나 견딜 수 없는 긴장을 낳게 될 때, 의식이 취하게 되는 태도가 바로 감동을 만들어낸다. 그 감동은 믿음을 동반하며, 의식은 자기가 새로 구축한 세계를 살게 된다. 그 때의 의식은 새로운 세계 앞에서의 새로운 의식이다. 그러므로 감동의 원천에는 세계 앞에서의 의식의 자발적인 그리고 체험적인 강하가 따르게 된다. 요컨대 감동이란 의식이 세계를 다르게 이해하는 어떤 방식이다.
    [상상적인 것]에서는 지각 행위와 상상 행위의 차이를 설명하면서 실재하는 대상을 상정하는 지각행위와 달리, 상상 행위는 부재하는 비현실적 대상에 대한 의식의 작용이라고 보았다. 상상 행위는 실재보다는 상상적인 것에, 진짜보다는 심리적 만족에, 행위보다는 제스처에 몰두하는 것으로 이는 실재에 대한 반감에서 비롯하며 상징적 복수에서 만족감을 찾는 행위라는 것이다. 이러한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은 결국 모든 예술 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이어지는데, 현실을 그 출발점으로 삼는다는 데 그 중요한 특징이 있다. 상상이론의 출발점이 현실이론이라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면, 상상력은 세계를 다르게 비현실화시키는 의식의 기능이 된다.
    [성 주네]에서 사르트르는 주네의 작품 속에서 일어나는 감동의 하강, 시와 산문 속의 이미지, 글쓰기를 통한 상상 행위, 상상행위를 통한 현실 전복의 효과를 읽어낸다. 초반부터 사르트르는 "상상한다는 일은 갉아댈 현실 한 귀퉁이를 상상적인 것에 부여하는 일Imaginer c'est donner à l'imaginaire un bout de réel à ronger"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상상 행위가 현실로부터 시작되는 어떤 것임을 밝히는 이 문장은 [상상적인 것]에서 사르트르가 역설했던 ‘상상 의식의 기반이 현실로부터 비롯되는 것’을 다시금 환기하고 있다. 결정적인 출발점으로 도입된 이 개념은 이후 주네의 삶과 작품을 설명하고 분석하는 논지의 중심축을 이루어나간다.
    사르트르가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주네의 악행은 도둑질, 동성애, 배반이다. 주네의 도둑질은 거짓 소유를 통한 거짓 존재 획득이라는 비현실적이며 불가능하고 상상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목표와 의미화가 ‘비현실성’에 머무는 이러한 도둑질은 존재Etre보다는 무Néant를, 실제보다는 상상을, 쾌락보다는 긴장을 더 즐기며 거기에 더 많은 중요성을 부여하는 행위이다. 결국 주네의 도둑질은 현실의 현실성을 없애버리고 상상을 통해 현실을 상상으로 끌어당기는 ‘시적 행위acte poétique’에 연결된다.
    ‘상상 속에서의 존재 찾기’란 현실의 비현실화 작업에 다름 아니다. 그것은 [상상적인 것]에서 사르트르가 ‘아날로공’으로 예술의 창작 행위와 감상 행위를 설명했던 바로 그 개념이다. [성 주네]에서 사르트르는 [상상적인 것]에서의 논리를 적용함으로서 두 작품 사이의 연계성을 스스로 입증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사르트르의 초기 저작들에 나타난 예술론의 연구를 통해 참여문학론의 이미지로만 굳어진 사르트르 미학의 이론적 바탕을 새롭게 조명하고, 이러한 이론이 적용된 [성 주네]의 분석을 통해 이론의 적합성과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2. 국내에 별로 소개되지 않았던 사르트르의 중요한 작품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르트르 이해의 한 부분을 보충해 줄 수 있을 것이다.
    3. 사르트르의 예술론은 영상세대의 문화론에 인문학적 바탕을 공고히 해 줄 것이다. 사르트르는 작품 창작의 의미화와 그것이 관객(독자)에게 불러일으키는 미적 쾌감을 존재론으로 승화시키면서, 작가와 독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존재미학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이러한 그의 예술론은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을 풍요롭게 해 줄 것이고, 나아가 문화의 이데올로기적 역할까지 사유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 색인어
  • 사르트르, 상상적인 것, 상상력, 감동이론소묘, 성 주네, 장 주네, 예술이론, 참여문학, 실존주의, 미학이론, 희곡, 문학비평, 예술비평 Sartre, Imaginary, Imagination, Esquisse d'une theorie des emotions, emotion, Saint Genet, Jean Genet, existentialism, literature of commitement, aesthetics, theatre, literary criticism.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