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437&local_id=10027411
기점과 착점 논항의 통사-의미 구조에 대한 유형론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기점과 착점 논항의 통사-의미 구조에 대한 유형론적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남승호(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260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술어의 논항 구조가 한 문장의 사건 구조해석에 어떠한 방식으로 기여하는지를 밝히려는 광범위한 연구의 한 부분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행위주(agent)와 대상(theme), 수혜자(benefactive)와 같은 술어의 필수 논항들의 통사-의미론적 특성이 주된 연구 대상이었다. 따라서 이들 논항이 통사 구조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가 하는 문제와 함께(VP-internal subject, VP-shell, l-syntax/s-syntax, unaccusativity, linking theory), 한 문장의 의미를 사건 구조로 표상할 때 이들 논항이 사건 구조 해석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하는 문제를 다뤄 왔다 (Lexical conceptual structure (Jackendoff 1990), Generative Lexicon (Pustejovsky 1995)).

    본 논문은 두 가지 목적을 갖고 있다. 첫째는 기점(Source)과 착점(Goal) 논항의 형태-통사론을 유형론적으로 기술하는 것이며, 둘째는 기점과 착점 논항의 통사-의미 구조 대응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최근 부사어와 부가어(adjuncts)에 대한 통사-의미 대응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면서 공간 및 시간 표현의 통사론과 의미론이 관심을 끌고 있다 (Cinque 1999, 2002). 본 연구는 이 가운데 공간 표현의 처소 논항인 ‘기점’과 ‘착점’에 집중하여 이들의 형태-통사론적 특성과 의미 해석의 상관성을 보이려고, 술어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를 밝히려 하였다.

    1.1 기점/착점 논항의 형태-통사론
    자연언어의 기점과 착점 논항들을 형태-통사론적으로 분석하여 기점/착점 논항을 포함한 처소 논항을 네 부류(기점 Source, 착점 Goal, 경로 Path, 장소 Place = stative locative)로 나누고 형태-통사적으로 기술하였다. 유형론적인 검증을 위해 15 개 자연언어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기점과 착점 논항의 표면 형식을 기존에 보고된 공간 표현의 형태-통사 구조 (전치사구, 후치사구, 첨사어구, 전치사 편입preposition/applicative incorporation 등)에서 확인하고, 각각의 유형이 보이는 의미 특성을 세밀히 기술하였다. 이를 기초로 기점과 착점 논항의 의미구조와 통사구조 대응 관계를 2절에서 제안하였다.
    예를 들면 Dutch와 같은 언어에서 기점과 장소 논항은 전치사구의 구조에만, 착점과 경로의 논항은 후치사구의 구조에 나타나며, 아프리카 Bantu어군 (Kinyarwanda, Chichewa 등)과 아메리카인디언 언어(Chickasaw, Choctaw 등)는 전치사 편입 구조에서 기점과 착점 논항이 동사에의 편입 가능성이나 순서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1.2 기점/착점 논항의 통사-의미 구조 대응
    여기에서는 사건의미론의 틀에서 기점과 착점 논항이 문장의 의미 해석에 기여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이를 위해 한 문장의 의미 구조를 (단순/복합) 사건 구조로 표상하고 해석하는 이론을 토대로 하였다. 이러한 유형별 의미 분석을 위해서 앞에서 언급한 형태-통사론적 특성과 함께 통합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부사어 수식의 통사-의미 interface에 대한 연구를 확대하여(Levin & Rappaport Hovav 2005, Hale & Keyser 2002, Pustejovsky 1995, Travis 2000, Ernst 1998 등), 기점과 착점 논항의 사건 구조와 통사 구조 대응에 대한 원리를 규명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is a part of the broader research project of event theoretic study on argument realization. Previous studies mostly focused on the "major" arguments such as Agent, Theme, and Benefactive, so characterized their syntax (VP-internal subject, VP-shell, l-syntax/s-syntax, unaccusativity, linking theory) and semantics (Lexical conceptual structure (Jackendoff 1990), Generative Lexicon (Pustejovsky 1995)).
    The paper is written under two main purposes: (i) to properly describe the morpho-syntactic features of Source and Goal arguments in typological perspective, and (ii) to identify the structural correspondence between argument structure and event structure of Source and Goal. Recent growth of the typological research on adverbials and adjuncts has brought about much interest in syntax and semantics of spatial and temporal expressions (Cinque 1999, 2002). Focusing on the expressions of Source and Goal, the paper account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morpho-syntax and semantics, i.e., the relation between their argument structures and their event structur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술어의 논항 구조가 한 문장의 사건 구조해석에 어떠한 방식으로 기여하는지를 밝히려는 광범위한 연구의 한 부분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행위주(agent)와 대상(theme), 수혜자(benefactive)와 같은 술어의 필수 논항들의 통사-의미론적 특성이 주된 연구 대상이었다. 따라서 이들 논항이 통사 구조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가 하는 문제와 함께(VP-internal subject, VP-shell, l-syntax/s-syntax, unaccusativity, linking theory), 한 문장의 의미를 사건 구조로 표상할 때 이들 논항이 사건 구조 해석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하는 문제를 다뤄 왔다 (Lexical conceptual structure (Jackendoff 1990), Generative Lexicon (Pustejovsky 1995)).

    본 논문은 두 가지 목적을 갖고 있다. 첫째는 기점(Source)과 착점(Goal) 논항의 형태-통사론을 유형론적으로 기술하는 것이며, 둘째는 기점과 착점 논항의 통사-의미 구조 대응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최근 부사어와 부가어(adjuncts)에 대한 통사-의미 대응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면서 공간 및 시간 표현의 통사론과 의미론이 관심을 끌고 있다 (Cinque 1999, 2002). 본 연구는 이 가운데 공간 표현의 처소 논항인 ‘기점’과 ‘착점’에 집중하여 이들의 형태-통사론적 특성과 의미 해석의 상관성을 보이려고, 술어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를 밝히려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는 연구논문의 형태로 완성한다. 현재 학술지에 투고할 예정이다.
    조사 자료를 포함한 연구결과 보고서를 제출하며, 관련 연구자들이 공개적으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본 연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연구 분야의 활성화를 꾀한다.
    특히 원어민 제보자 면담을 통해 수집, 분석, 분류된 자료들은 데이터베이스로 입력되어, 이후 다른 연구자들도 함께 참여하는 자료 집적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연구결과는 언어학 교육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외국어 교육에도 활용될 것이다. 특히 소수 개별언어의 교육에 활용될 가능성이 많은데, 왜냐하면 처소 논항 표현을 다른 여러 언어의 경우와 함께 비교하여 더욱 보편성 있는 분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논항 구조 argument structure, 사건 구조 event structure, 의미역 semantic role, 기점 Source, 착점 Goal, 유형론, 통사-의미 인터페이스 syntax-semantics interfac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