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449&local_id=10015191
패싱, 경계와 차이의 서사: 제임스 W. 존슨과 넬라 라선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패싱, 경계와 차이의 서사: 제임스 W. 존슨과 넬라 라선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희(대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9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인종담론의 맥락 내에서 패싱(passing)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인종 정체성의 진실이 노출되지 않은 채 인종간의 경계를 가로지른다는 의미로, 주로 혼혈(흑)인이 백인으로 패싱하는 경우를 두고 정의되어 왔다. 하지만 20세기 초 미국 흑인작가들의 문학에서 드러나고 있는 패싱의 의미는 단순히 흑․백의 인종적 차원을 넘어, 다양한 사회적․문화적 의미체계를 형성해내고 있다. 이 글은 1912년에 출판된 존슨(James Weldon Johnson)의 『전-흑인 남자의 자서전』(The Autobiography of an Ex-Colored Man)과 1929년에 출판된 라선(Nella Larsen)의 『패싱』(Passing)을 중심으로, 20세기를 들어선 흑인작가의 픽션들에서 드러나는 패싱의 의미와 그것이 야기하고 있는 다양한 범주들의 경계와 차이를 탐색하면서, 당시 미국 사회와 문화 맥락에서 두 작가는 어떤 성차적 패싱 서사를 형성해내는 지를 주목한다. 20세기 초 흑인문학에서 드러나고 있는 패싱 서사는 미국 역사 속에 내재하고 있는 미국인의 정체성, 즉 그 역사의 시발점에서 이미 존재해온 미국인의 혼혈 정체성뿐만 아니라 미국사회가 안고 있는 인종성의 다중적인 의미층과 그 문화읽기를 모색케 한다.
    패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필자는 정체성의 다양한 경계들 간을 오가는 실존의 서사로서 존슨과 라선의 패싱 서사를 면밀히 살피고 인종성의 의미화 구도와 그 차이를 탐색한다. 또한 자서전과 픽션간의 경계적 글쓰기뿐만 아니라 남녀 작가가 창조해내는 차별적 서사구도 등, 두 작가의 서사가 품어내는 복합적인 텍스트성이 패싱의 의미뿐만 아니라 20세기 흑인문학의 폭을 어떻게 확장하고 있는 지에도 관심을 가진다. 그리하여 작품의 남녀 주인공들의 패싱이 단순히 인종적 패싱에 국한되지 않고 계층적(경제적), 문화적, 성적 차원들에서도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20세기 초 패싱이라는 "문화현상"은 단순히 혼혈 정체성의 경계 가로지르기의 차원을 넘어, 심리적으로도 분열된 내면의 의식세계를 정교히 드러내면서, 현대인의 실존에 새로운 담론적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 영문
  • When W. E. B. Du Bois says that "the problem of the twentieth century is the problem of the color line," such a statement clearly recognizes the significance of the issue of racial identity, a cultural phenomenon called ‘passing.’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ne in which racial boundaries and differences among passing blacks became unstable, and especially during the Harlem Renaissance in which Afro-Americans in northern cities were very much aware of the ideal of the "New Negro" movement and of "racial uplift," Afro-American writers had made great efforts to tackle the theme of "the color line." Both Johnson in The Autobiography of an Ex-Colored Man and Larsen in Passing also confront this issue. Both novels, using the metaphor of passing, not only trace the racial anxiety and race politics of the time but also expose the unstable landscape of the established social and cultural boundaries of racial identity. Mapping out multiple meanings and various dimensions of passing, this paper argues how Johnson's and Larsen's narrative display the ambivalence of color line while they at the same time complicate, problematize, and destabilize the mainstream racial boundaries and differences. It furthers to delineate how the two writers, with difference, deal with the problem of passing, the significance of racial identity, and black middle class values along with its intraracial differences. Rather than draw a clear definition of and a definitive closure on passing narrative, this paper focuses on its complexities and undecidability, challenging every dimension of its established significations. It also explores the complex dynamic between passing act and individual identity, for passing here is not just a racially signified term but extends its significance in the other factors of identity, such as class and even sexuality. Both novels further reveal how the texts themselves ‘pass’ narratively as well as thematically. Johnson and Larsen open up a site for a newly emergent, modern racial identity for black middle class in the twentieth century American urban spaces; it is indeed quite different from the black identity of the previous century, the stereotypical and "pastoral" black image. Both writers, illuminating the subversive and slippery nature of language in their passing narrative, clearly herald new, different forms of Afro-American writings and themes for the different century they face. Poignantly addressing the impossibility of cultural reading of the color line/passing identity, they open up an alternative space for Afro-Americans where a new modern black identity is produced, an identity in-between, constantly fluctuating between black and white (either black or white, "neither black nor white"), constructing and deconstructing, contradicting and contesting each oth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When W. E. B. Du Bois says that "the problem of the twentieth century is the problem of the color line," such a statement clearly recognizes the significance of the issue of racial identity, a cultural phenomenon called ‘passing.’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ne in which racial boundaries and differences among passing blacks became unstable, and especially during the Harlem Renaissance in which Afro-Americans in northern cities were very much aware of the ideal of the "New Negro" movement and of "racial uplift," Afro-American writers had made great efforts to tackle the theme of "the color line." Both Johnson in The Autobiography of an Ex-Colored Man and Larsen in Passing also confront this issue. Both novels, using the metaphor of passing, not only trace the racial anxiety and race politics of the time but also expose the unstable landscape of the established social and cultural boundaries of racial identity.
    Mapping out multiple meanings and various dimensions of passing, this paper argues how Johnson's and Larsen's narrative display the ambivalence of color line while they at the same time complicate, problematize, and destabilize the mainstream racial boundaries and differences. It furthers to delineate how the two writers, with difference, deal with the problem of passing, the significance of racial identity, and black middle class values along with its intraracial differences. Rather than draw a clear definition of and a definitive closure on passing narrative, this paper focuses on its complexities and undecidability, challenging every dimension of its established significations. It also explores the complex dynamic between passing act and individual identity, for passing here is not just a racially signified term but extends its significance in the other factors of identity, such as class and even sexuality. Both novels further reveal how the texts themselves ‘pass’ narratively as well as thematically. Johnson and Larsen open up a site for a newly emergent, modern racial identity for black middle class in the twentieth century American urban spaces; it is indeed quite different from the black identity of the previous century, the stereotypical and "pastoral" black image. Both writers, illuminating the subversive and slippery nature of language in their passing narrative, clearly herald new, different forms of Afro-American writings and themes for the different century they face. Poignantly addressing the impossibility of cultural reading of the color line/passing identity, they open up an alternative space for Afro-Americans where a new modern black identity is produced, an identity in-between, constantly fluctuating between black and white (either black or white, "neither black nor white"), constructing and deconstructing, contradicting and contesting each other.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국내 학계에 20세기 초 미국의 흑인문학, 특히 패싱 서사를 심도 있게 분석하면서, 제임스 W. 존슨과 넬라 라선의 작품세계에 대한 알찬 해석의 공간을 제공하고, 본 과제를 시작으로 이 분야에서 더욱 다양한 글쓰기를 앞으로 국내학계에 유도할 수 있는 장을 여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또한 초기 흑인문학(노예서사)에서 20세기 흑인문학의 전성기(할렘 르네상스)로 이어지는 그 중요한 전환점에 위치하고 있는 작품들을 국내에 소개함으로써, 미국 흑인문학사의 중요한 흐름을 국내의 독자가 이해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근거도 제공해 줄 것으로 사려된다.
    나아가 본 연구가 어떻게 교육현장에서 실천적 차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도 주목하고 싶다. 여기 두 작가는 패싱이라는 경계와 정체성의 서사를 통해, 주류문화가 정의하고 있는 인종적/계층적/성적 정체성의 안정된 의미화에 문제를 제기하고, 유동적이고 다중적이며 수행적 차원으로까지 정체성의 의미를 확장하면서, 인종/성/계층 차별적인 현대사회에서 현대인의 정체성의 개념에 커다란 화두를 던지며 인간 실존의 의미를 숙고하게 하는 단초를 마련해주고 있다. 때문에 강의실에서 본 연구가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문학 독해력은, 인종과 성 그리고 계층의 차별구도에 대한 의식화와 문제제기서부터 개인 실존의 내면을 깊숙이 들여다보게 하는 자아 성찰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비판적인 대화와 담론의 장을 형성하면서, 문학을 통해 드러나고 있는 타자(미국 흑인들)의 삶에 대한 이해가 그 바탕이 되어 그들 사회와 문화에 대한 독해력을 모색하고, 인종과 성 그리고 계층 등의 차별구도에 대한 우리의 의식구도 또한 점검케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미국 흑인문학과 미국문화에 대한 우리 학생들의 심도 있는 이해와 함께, 대학에서의 문학 연구와 교육의 장에 창조성, 주체성, 비판적 대화성 등을 불어넣을 수 있는 것이다.
  • 색인어
  • James W. Johnson, Nella Larsen, The Autobiography of Ex-colored Man, Passing, boundary, difference, identit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