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901&local_id=10015274
전남방언 자음의 음운변화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전남방언 자음의 음운변화 연구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위진(조선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72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2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고의 목적은 전남방언에서 실현되는 자음과 관련한 음운현상의 역사성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거쳤다.

    (1) 현재 전남에서 통용되고 있는 방언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전남방언사전>에 등재된 방언형을 자세히 검토하였다. 그래서 전남방언의 자음체계를 정립하고, 해당 자음의 조음위치와 방법, 각 음소의 변이음과 출현환경, 그에 해당하는 방언형을 기술하였다.
    (2) <전남방언사전> 등재된 방언형을 토대로, 전남방언의 특징이라고 생각되는 자음과 관련한 음운현상(어두경음화, 유성음 사이에서의 ㄱ,ㅅ유지, 구개음화)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음운현상에 해당하는 방언형을 목록으로 작성하고, 음운현상이 적용되는 환경과 전남방언 내에서의 지역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3) 연구대상으로 삼은 음운현상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기 위해, 전남에서 간행된 고문헌을 찾아 전산화하였다. 그리고 음운현상이 반영된 어휘를 목록으로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목록을 토대로, 음운현상의 발생원인․발생시기․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게 되었다.
    (1) 현재 통용되고 있는 전남방언의 자음체계는 표준어와 다르지 않다. 다만 어두경음화나 구개음화, 유성음 사이에서 탈락하지 않은 ㄱ,ㅅ로 인해, 중앙방언보다 경음과 치찰음(ㅅ, ㅈ, ㅊ, ㅉ), ㄱ의 사용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2) 어두경음화가 적용되는 환경은 조음거리와 관련된다. 경음은 후두와 조음기관이 긴장하면서 내는 소리이므로, 후두와 조음위치가 멀수록 발음의 경제성은 떨어진다. 어두자음으로는 연구개음 ㄱ가, 결합된 모음으로는 후설 단모음이 후두와 가깝기 때문에, 어두경음화가 높은 빈도로 적용된다. 그리고 본고는 전남을 어두경음화의 발생지역이거나 근접한 지역이라고 추정하였다. 전남 고문헌이 어두경음화를 반영하는 데에 개신적인 태도를 보이고, 현재 전남방언에서 어두경음화가 높은 빈도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3) 전남방언에 나타난 유성음 사이의 ㄱ유지는 유성음화에 의한 ㄱ의 탈락의 영향을 받지 않은 방언형으로, 전남 동부방언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서쪽에서 발생한 ㄱ탈락의 개신파가 전남 동부까지 확산되지 못하고 소멸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ㄱ유지형은 12세기 이전의 국어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 유성음 사이의 ㄱ는 이미 12세기경에 약화,탈락되기 때문이다.
    (4) 전남방언에 나타난 유성음 사이의 ㅅ 유지형은 유성음화에 의한 ㅅ탈락을 적용받지 않는 보수적인 방언형이다. ㅅ유지형은 전남 전역에서 확인되며, 서남,동부방언에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국어사에서 유성음 사이의 ㅅ는 15세기 중기 이전에 유성음화되기 때문에, 전남방언의 ㅅ유지형은 15세기 이전의 음운형을 내포하고 있다.
    다섯째, 현재 전남방언에서는 ㄱ,ㅎ구개음화만 실현된다. ㄱ,ㅎ구개음화는 1음절에서만 적용되며, ㄱ구개음화는 후행모음이 ㅣ, ㅑ, ㅕ인 경우에, ㅎ구개음화는 후행모음이 ㅣ, ㅕ, ㅛ, ㅠ인 환경에서 적용된다. ㄷ구개음화는 18세기 초기에 이미 완성되어, 현재 전남방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통시적 관점에서 보면, ㄷ,ㄱ,ㅎ구개음화는 17세기에 일어나기 시작하며, 출현빈도는 ㄷ구개음화>ㄱ구개음화>ㅎ구개음화 순서이다. 과도교정을 근거로 추정한 결과, ㄷ구개음화는 17세기부터, ㄱ구개음화는 17세기 후기~18세기에 확산된 것으로 결론지었다.
  • 영문
  • This research aims to prove the existence and history of a Jeollanam-do consonantal phonological phenomenon, using the following research process:
    (1) Verified the Jeonnam dialect forms in 'Jeonnam Dialect Dictionary' to outline features of the dialect. Thus, we made system of consonants and described each allophone, their environment, and place and way of articulation.
    (2) We selected the research target of critical consonant phonological phenomenon, based on dialect of 'Jeonnam Dialect Dictionary'
    (3) After that, we computerized old documentary records for studying the history of changing process of phonological phenomenon. Consequently, we made a list of linguistic variations, and in using the list, analyzed phoneme's occurrence cause, occurrence stage, and variation proces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such a research process.
    (1) The Jeonnam dialect's consonant system is not divergent from that of the standard Korean consonant system. But this research expected difference of phoneme using frequency between Jeonnam dialect and standard Korean because Jeonnam dialect phonological phenomenon. That means tension sound and sibilant(s, ʧ, ʧʰ, ʧʾ), [g], [s] of Jeonnam dialect's using frequency would be higher than Gyeonggi-do dialect, because [g], [s] didn't delete between voiced sounds.
    (2) Word-initial tensification originated gradually from the beginning of tension sounds to modernconsonant system. And there is possibility that Jeonnam is the birthplace of the word-initial tensification or the place around that birthplace. The first evidence that suggests this can be found in that the Jeonnam tensification stage was 16C, the stage of tension sound was 14C. Secondly,there were three types of variation consisting of: the pre-existing record of tensification form, the transient form, and the hyper-correction form. These three types show thattensification already progressed to notice by speakers in Jeonnam dialect. Finally, the current Jeonnam dialect tensification appears with a high frequency.
    Meanwhile, the word-initial tensification environment connects with distant of place articulation. Tension sound outs with tension of larynx. If there is long distance between larynx and place articulation, that means low-economical efficiency. Back simple vowel, vowel connected with [g] as word-initial consonant, is closed by larynx therefore there were high frequent word-initial tensification.
    (3) The preservation of theoriginal consonants [g], [s] between voiced sounds is conservative linguistic variations without effective from the deletion of voiced sound [g], [s] by vocalization.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consonant [k] spreads to the east of Jeonnam because ondes d'innovaion of the deletion of original consonant [g] based on the west Jeonnam couldn't spread to the east Jeonnam. So the preservation of original consonant [k] of Jeonnam dialect is keeping the forms of former 12C so far because[g] between voiced sounds were weakened after 12C.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consonant [s] is showed in west-south, east of Jeonnam dialect frequently. It may have same way to spread with ondes d'innovation and the deletion of voiced consonant [g], but occurrence stage is earlier than the deletion of voiced consonant [g]. The preservation of original consonant [s] was vocalization at 15C, so it may keep the former form 15C.
    (4) The [t], [k], [h] palatalization established in the17C on Jeonnam dialect, the frequency rate is [t] palatalization > [k] palatalization > [h] palatalization. It presumed that [t] palatalization spread from 17C, [k] palatalization spread from 18C based on hyper correction.
    Currently, the Jeonnam dialect has only the [k], [h] palatalization. Accordingly the [t] palatalization has been deleted from the Jeonnam dialect as result of the evolution of this regional diale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고는 전남방언에서 실현되는 자음과 관련한 음운현상을 공시적, 통시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전남방언을 공시적 관점에서 검토하여, 전남방언의 특징이라 생각되는 자음과 관련한 음운현상(어두경음화, 유성음 사이에서의 ㄱ, ㅅ유지, 구개음화)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음운현상에 해당하는 방언형을 목록으로 작성하여, 음운현상이 적용되는 환경과 전남 내에서의 지역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통시적 관점에서는 전남지역에서 간행된 고문헌에 반영된 음운현상을 검토하고, 그것을 목록화하였다. 작성한 목록을 토대로, 음운현상의 발생시기·발생원인·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궁극적으로 전남방언에 내재한 자음과 관련한 음운현상의 역사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제2부에서는 전남방언의 자음체계와 전남방언 자음과 관련한 음운변화를 기술하였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전남방언의 자음체계는 표준어와 다르지 않았으며, 다만 어두경음화나 구개음화, 유성음 사이에서 탈락하지 않은 ㄱ, ㅅ로 인해, 중앙방언보다 경음과 치찰음(ㅅ, ㅈ, ㅊ, ㅉ), ㄱ의 사용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리고 전남방언 자음과 관련한 음운변화에서는 어두경음화와 유성음 사이의 ㄱ·ㅅ유지, 구개음화의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두경음화의 발생지역을 전남 또는 전남과 근접한 곳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어두경음화는 후두와 조음위치가 가까울수록 높은 빈도로 적용되는 것을 밝혀냈다. 둘째, 유성음 사이의 ㄱ·ㅅ유지는 유성음화에 의한 ㄱ·ㅿ탈락의 영향을 받지 않은 보수적인 방언형으로, ㄱ유지형은 12세기 이전의 국어 특징을, ㅅ유지형은 15세기 이전의 음운형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ㄱ·ㅅ유지형은 전남의 동남쪽에 분포되어 있다. 그래서 서쪽에서 발생한 ㄱ·ㅿ탈락의 개신파가 동부까지 확산되지 못하고 소멸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셋째, 전남방언에서 ㄷ구개음화는 17세기부터, ㄱ구개음화는 17세기 후기~18세기에 확산된 것으로 결론지었다. 그러나 ㄷ구개음화는 18세기 30년대에 이미 완성되어, 현재 전남방언에서는 ㄱ, ㅎ구개음화만 실현됨을 확인하였다.
    제3부에서는 전남방언 자음과 관련한 음운현상 중, 어두경음화를 세밀히 분석하여 ‘전남방언에 나타난 어두경음화’를 작성하였다. 본고는 어두경음화가 발생하기 시작한 시기를 14세기 이후~15세기 중기로 추정했으며, 발생원인의 하나로 의미분화를 상정했다. 그리고 통시적 자료를 통해서, 전남이 어두경음화가 발생한 지역이거나 그곳과 근접한 지역일 것으로 추정했다. 전남 고문헌이 어두경음화를 반영하는 데에 개신적인 태도를 보이고, 현재 전남방언에서 어두경음화가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근거로 들었다. 공시적 자료를 통해서, ‘평음 ㄱ, ㄷ, ㅂ, ㅅ, ㅈ+후설 단모음’이거나 어두음의 조음위치가 후두와 가까울수록 어두경음화의 적용빈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밝혀냈다.
    제4부에서는 ‘전남방언에 나타난 어두경음화’를 작성하는 데에 토대가 된, <전남방언사전>에서 어두경음화한 단어 목록과 전남에서 간행된 고문헌에서 어두경음화한 단어 목록 전체를 게재하였다. 그리고 전남의 고문헌 중에서 문헌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선암사판 <類合>(17세기, 전남 순천 선암사)과 <佛說大報父母恩重經諺解>(1563년, 전남 순천 송광사)의 원문을 실었다.
    제5부에서는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고, 활용방안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고의 연구결과는 전남방언사·음운사·비교방언학 연구에 기여할 것이며, 그에 관련된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고는 전남방언에서 실현되는 자음과 관련한 음운현상을 공시적, 통시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전남방언을 공시적 관점에서 검토하여, 전남방언의 특징이라 생각되는 자음과 관련한 음운현상(어두경음화, 유성음 사이에서의 ㄱ, ㅅ유지, 구개음화)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음운현상에 해당하는 방언형을 목록으로 작성하여, 음운현상이 적용되는 환경과 전남 내에서의 지역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통시적 관점에서는 전남지역에서 간행된 고문헌에 반영된 음운현상을 검토하고, 그것을 목록화하였다. 작성한 목록을 토대로, 음운현상의 발생시기, 발생원인,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궁극적으로 전남방언에 내재한 자음과 관련한 음운현상의 역사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현재 통용되고 있는 전남방언의 자음체계는 표준어와 다르지 않다. 어두경음화나 구개음화, 유성음 사이에서 탈락하지 않은 ㄱ, ㅅ로 인해, 중앙방언보다 경음과 치찰음(ㅅ, ㅈ, ㅊ, ㅉ), ㄱ의 사용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둘째, 어두경음화가 적용되는 환경은 조음거리와 관련된다. 경음은 후두와 조음기관이 긴장하면서 내는 소리이므로, 후두와 조음위치가 멀수록 발음의 경제성은 떨어진다. 어두자음으로는 연구개음 ㄱ가, 결합된 모음으로는 후설 단모음이 후두와 가깝기 때문에, 어두경음화가 높은 빈도로 적용된다. 그리고 본고는 전남을 어두경음화의 발생지역이거나 근접한 지역이라고 추정하였다. 전남 고문헌이 어두경음화를 반영하는 데에 개신적인 태도를 보이고, 현재 전남방언에서 어두경음화가 높은 빈도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셋째, 전남방언에 나타난 유성음 사이의 ㄱ유지는 유성음화에 의한 ㄱ의 탈락의 영향을 받지 않은 방언형으로, 전남 동부방언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서쪽에서 발생한 ㄱ탈락의 개신파가 전남 동부까지 확산되지 못하고 소멸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ㄱ유지형은 12세기 이전의 국어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 유성음 사이의 ㄱ는 이미 12세기부터 약화, 탈락되기 때문이다.
    넷째, 전남방언에 나타난 유성음 사이의 ㅅ유지는 유성음화에 의한 ㅅ탈락을 적용받지 않는 보수적인 방언형이다. ㅅ유지형은 전남 전역에서 확인되며, 서남, 동부방언에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국어사에서 유성음 사이의 ㅅ는 15세기 중기 이전에 유성음화되기 때문에, 전남방언의 ㅅ유지형은 15세기 이전의 음운형을 내포한 것이다.
    다섯째, 현재 전남방언에서는 ㄱ, ㅎ구개음화만 실현된다. ㄱ, ㅎ구개음화는 1음절에서만 적용되며, ㄱ구개음화는 후행모음이 ㅣ, ㅑ, ㅕ인 경우에, ㅎ구개음화는 후행모음이 ㅣ, ㅕ, ㅛ, ㅠ인 환경에서 적용된다. ㄷ구개음화는 18세기 초기에 이미 완성되어, 현재 전남방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통시적 관점에서 보면, ㄷ, ㄱ, ㅎ구개음화는 17세기에 일어나기 시작하며, 출현빈도는 ㄷ구개음화>ㄱ구개음화>ㅎ구개음화 순서이다. 과도교정을 근거로 추정한 결과, ㄷ구개음화는 17세기부터, ㄱ구개음화는 17세기 후기~18세기에 확산된 것으로 결론지었다.

    본고의 결과는 음운사와 방언학 연구에 기여할 것이며,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첫째, 전남방언사 연구와 교육에 도움을 줄 것이다. 전남방언 자음의 음운변화에 대한 연구는 전남방언사의 한 축을 차지하는 작업이다. 만약 후속연구로 ‘전남방언 모음과 관련한 음운변화 연구’를 가정한다면, 전남방언사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또한 전남방언에 나타난 음운현상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는 전남방언사를 가르치는 자료로 쓰일 수 있다.
    둘째, 음운사 연구와 교육에 기여할 것이다. 방언은 언어의 역사를 내포한다. 그래서 전남방언의 음운변화에 대한 자료는 음운사를 연구하는데 도움을 주며, 나아가 음운사 교육의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셋째, 비교방언학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방언의 비교연구는 지역방언의 연구 결과물을 토대로 이루어지기 마련이다. 곧 전남방언 자음의 음운변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결과물을 다른 지역방언의 결과물과 비교함으로써, 한국어의 본질을 추적하는 자료로 쓸 수 있다.
  • 색인어
  • 전남방언, 자음체계, 어두경음화, 유성음 사이의 ㄱ유지, 유성음 사이의 ㅅ유지, ㄷ구개음화, ㄱ구개음화, ㅎ구개음화, 공시적 관점, 통시적 관점, 음운현상, 음운변화, 발생시기, 발생원인, 적용환경, 변화과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