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913&local_id=10014735
사회과교육에서 미디어 활용을 통한 환경 문화 교육 - 환경 영화와 환경 영화제 활용 방안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사회과교육에서 미디어 활용을 통한 환경 문화 교육 - 환경 영화와 환경 영화제 활용 방안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윤주(한국교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43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중단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4월 0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4가지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연구문제 1. 환경 미디어교육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기존의 환경교육 방식(현장 체험 학습, 교재 학습)과 비교해서 환경 영화와 환경 영화제를 통한 환경 미디어교육이 가지는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환경 미디어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목표 및 이유는 무엇인가 왜 환경 미디어교육이 필요한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외국의 환경 미디어교육에서 환경 영화와 환경 영화제는 어떤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가
    외국의 환경 미디어교육의 목표 및 실행 방안, 커리큘럼 및 교재들을 수집하고 이를 살펴봄으로써, 국내 환경 미디어교육 실행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토대를 이루고자 한다. 따라서 각국의 환경교육의 목표와 환경 미디어교육이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연구문제 3. 국내 환경교육에서 환경 영화와 환경 영화제는 어떤 형태로 포함되고 있는가
    여기서는 현재 국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교사연수 및 교재들을 분석할 것이다. 이미 환경교육 교재로 발간된 다양한 교재들 속에서 환경의 어떤 주제들을 다루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외국 사례와 비교를 통해서 교재를 메타 분석할 것이다.

    연구문제 4. 국내 환경 미디어교육의 커리큘럼 및 실행 방안은 무엇인가
    환경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느끼고, 필요로 하는 환경 미디어교육을 조사함으로써, 사전수요조사를 실행하고, 이를 통해서 국내 환경 미디어교육을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연구자는 3개월에 걸쳐 기존 환경교육방식과 환경영화제를 활용한 미디어 교육 방식 비교 및 환경영화제 관객 반응 조사를 통한 환경영화의 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 작업을 시행하였으며 특히 환경영화제 관객 반응 조사를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9월초부터는 기존 환경교육방식과 환경영화제를 활용한 미디어 교육 방식 비교 및 환경영화제 관객 반응 조사를 통한 환경영화의 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 작업을 했다. 또한 기존 환경교육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문화 교과서 7종에 나타난 환경교육방식을 분석했고 교과서뿐 아니라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환경교육방식 연구를 위해 참여 관찰 및 심층 면접 계획을 짰다. 이 심층 면접은 방학이 시작되기 전인 11월 경 진행되어 12월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다음번 연구 과제인 "외국의 환경 미디어교육에서 환경 영화와 환경 영화제는 어떤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가 "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외국 환경 미디어교육의 목표 및 실행 방안, 커리큘럼 및 교재들을 수집하였고 이를 살펴봄으로써, 국내 환경 미디어교육 실행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토대를 이루고자 했다. 이를 통해 각국의 환경교육의 목표와 환경 미디어교육이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자는 1월 한달 간 수집한 외국 환경 미디어교육 교재 (주로 독일과 미국) 를 분석하여 각국의 특징을 잡아내고 이를 도표로 정리하는 일에 주로 매진하였으며 2월에는 수집한 외국 환경 미디어교육 교재 (주로 독일과 미국) 를 분석하였다. 각국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도표로 정리하는 일에 주로 매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 영문
  • The subjec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Subject 1. How should we define the environmental media education

    In comparison with existing metho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such as on-site visits or textbooks, how should we define advantages or disadvantages of teaching the environment via media including environmental films or environment film festivals Are there any particular purpose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media education If any, what are the reasons Why do we need to teach students environmental values through media

    Subject 2. In what ways are other countries using environmental films or environment film festivals

    The paper collects objectives, plans, curricula and resources from other countries to examine how each country utilizes media to teach the environment. Based on the founding of those resources, the study seeks to discover measures to facilitate the use of media for domestic environmental education. In short, the study examines how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linked with the environmental media education in each country.

    Subject 3. In case of Korea, how are environmental films or environment film festivals included in the school programs

    The paper analyses current programs to train teachers and various resources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paper studies environmental textbooks and issues covered. To compare with overseas cases, meta-analysis is used.

    Subject 4. What are those curricula and plans for the environmental media education in Korea

    The author surveyed teachers to find out how they teach students the environment and what kind of media they need. After analysing current demands, the paper evaluates current media education and suggests proper directions.

    For the three-month period, the author had analysed curren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based on environment film festivals. The author also surveyed the audiences at an environment film festival to find out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ilms.

    From early September, by conducting a survey with audiences at the environment film festival, the author carried out the groundwork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ilms. For the purpose of figuring out how the environment is taught in schools, the author analysed seven Society/Culture textbooks. The author also planned the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s, and successfully had interviews with teachers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order to see how other countries utilize environment-themed films and film festivals, the author collected objectives, plans, curricula and resources used for teaching the environment through media. Through the study, the author discovered how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re related with environmental media education in each country.

    For the whole month of January, the author had worked on discovering each country's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resources, mostly from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and generated charts based on those resources. The month of February was spent on analysing environmental resources mostly from Germany and the US. A report was created as the outcome of analysi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연구자는 3개월에 걸쳐 기존 환경교육방식과 환경영화제를 활용한 미디어 교육 방식 비교 및 환경영화제 관객 반응 조사를 통한 환경영화의 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 작업을 시행하였으며 특히 환경영화제 관객 반응 조사를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9월초부터는 기존 환경교육방식과 환경영화제를 활용한 미디어 교육 방식 비교 및 환경영화제 관객 반응 조사를 통한 환경영화의 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 작업을 했다. 또한 기존 환경교육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문화 교과서 7종에 나타난 환경교육방식을 분석했고 교과서뿐 아니라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환경교육방식 연구를 위해 참여 관찰 및 심층 면접 계획을 짰다. 이 심층 면접은 방학이 시작되기 전인 11월 경 진행되어 12월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다음번 연구 과제인 "외국의 환경 미디어교육에서 환경 영화와 환경 영화제는 어떤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가 "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외국 환경 미디어교육의 목표 및 실행 방안, 커리큘럼 및 교재들을 수집하였고 이를 살펴봄으로써, 국내 환경 미디어교육 실행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토대를 이루고자 했다. 이를 통해 각국의 환경교육의 목표와 환경 미디어교육이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자는 1월 한달 간 수집한 외국 환경 미디어교육 교재 (주로 독일과 미국) 를 분석하여 각국의 특징을 잡아내고 이를 도표로 정리하는 일에 주로 매진하였으며 2월에는 수집한 외국 환경 미디어교육 교재 (주로 독일과 미국) 를 분석하였다. 각국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도표로 정리하는 일에 주로 매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앞으로 점점 더 중요해지게 될 환경 교육을 사회과 교육에서 정치, 경제, 사회적 콘텍스트 안에 받아들여 환경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다각도로 바라보게 하기 위한 효과적 환경 문화 교육 방식을 찾아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기존의 환경교육이 미처 활용하지 못했던 환경 영화 및 환경영화제를 활용한 환경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기술하고 이론과 체험 위주의 환경교육 방식을 문화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환경 문제를 문화적으로 해석하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환경 미디어교육을 시행함으로써, 환경이란 계몽적이고 어렵다는 선입견을 깨게 될 것이며 사회과 교육에서 환경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될 것이다.

    ■ 기존 환경교육의 폭 좁은 교육 방식을 탈피하여 새로운 환경 미디어교육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다시금 다른 과목이나 테마의 미디어교육 방법론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교육 콘텐츠로서의 환경 영화와 환경 영화제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환경 영화라는 개념은 국내에서는 서울환경영화제의 출범과 더불어 비로소 부각되기 시작된 개념으로 이제 갓 3년을 넘긴 신생어라고 할 수 있다. 환경 영화의 영화로서의 미학과 교육 콘텐츠로서의 의미 분석은 새로운 장르의 영화 만들기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 이런 관점에서 학교에서의 환경 미디어교육이 상당 부문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 체험 학습이 아닌 학교 안에서 실행 가능 한 미디어를 통한 환경교육은 일시적인 환경교육이 아닌 정기적 수업으로 승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 연구결과는 후속 교안작업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커리큘럼을 토대로 교사들을 위한 후속 교안 작업의 연구들이 진행된다면, 구체적으로 환경 미디어교육 교재의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교사연수 프로그램에서도 커리큘럼 및 정보문화교육을 위해 필요한 구체적 목표의 설정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환경 문화 교육, 환경 미디어 교육, 환경 영화, 환경 영화제, 사회과 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