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960&local_id=10017874
가족 사회자본이 대인, 시민사회, 정부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ㆍ중ㆍ일 3국의 가족 사회자본 형성과 결과 비교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가족 사회자본이 대인, 시민사회, 정부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ㆍ중ㆍ일 3국의 가족 사회자본 형성과 결과 비교 분석 | 2006 년 | 박희봉(중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50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1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게재논문 1: 가족 사회자본이 대인, 시민사회, 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중,일 3국 비교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족 사회자본이 공동체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즉 가족신뢰, 자녀교육, 가족행사 참여, 가족관계 등의 가족 사회자본이 사적신뢰, 일반인신뢰, 시민사회신뢰, 정부신뢰 등 공동체 기반을 형성하는 신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국가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개 국가를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과 중국, 일본은 기본적으로 같은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고 사회를 지배하는 규범이나 관습, 조직문화 등이 유사하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가족 사회자본이 사회 전체의 공동체 또는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협소한 사적관계에 일차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서구 사회자본이론가들이 가족과 같은 일차적 공동체를 중심으로 발전한 폐쇄적(closed)이며 수직적(hierarchical)인 사회자본과 개방적(open)이며 수평적(horizontal)인 사회자본을 구분한 이유일 것이다. 한편, 가족 사회자본은 사회 전반 또는 정부신뢰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측면은 본 연구결과에서 가족 사회자본이 사적신뢰와 시민사회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사적신뢰와 시민사회신뢰가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에서 나타난다.

    게재논문2: 가족 사회자본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일 양국 간 비교 분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가족 사회자본이 단체참여와 정치참여 등 사회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단체참여와 정치참여에도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족 사회자본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한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즉 사회자본 유형을 강한 연결과 느슨한 연결, 수직적 조직과 수평적 조직, 조직에 대한 신뢰와 개인에 대한 신뢰, 동질적 조직과 이질적 조직 등 발생 특성에 의해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족 사회자본의 성격이 어떤가에 따라, 사회참여 역시 참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관계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 각각 3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설문을 바탕으로 비교한 결과, 가족 사회자본은 사회참여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가족 사회자본과 사회참여 유형의 관계가 공통점도 있었고 차이점도 나타났다. 이 연구는 어떤 가족 사회자본 유형이 어떤 사회참여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발표논문: 가족 사회자본이 집단가치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집단가치가 어린 시절부터 형성된다는 것을 바탕으로 기본적으로 가족으로부터 배태된 사회관계가 가치관과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토대로 수행되었다. 논의의 초점은 가족 사회자본이 집단가치와 삶의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다. 기존의 사회자본 접근방법이 현재 상태에서의 사회자본에 주목을 한 반면, 가족 사회자본은 성장기라는 과거에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집단의 가치관에 영향을 크게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이것이 현재의 삶의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집단가치는 모두 가족 사회자본에 의해 매우 깊은 영향을 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삶의 만족 역시 가족 사회자본과 깊은 인과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를 토대로 가족 사회자본 증가를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amily social capital affects community building.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analyzes how family social capital factors including family trust, children education, family activity participation, and family relationship affect interpersonal, civil society, and government trust. More than 2,600 surveys are used for data in Korea, China, and Japan. This research finds that family social capital directly affects closed personal relationships. That is, it has no impact general personal trust, but a positive impact on closely related personal trust. It means that closed and hierarchical social capital generated from closed community like family is different from open and horizontal social capital. Meanwhile, family social capital indirectly affects government trust. That is, family social capital affects closed personal trust and civil society trust, and these trust affect government trust. Overall, this paper discusses research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연구과제의 개요

    본 연구는 한,중,일 3국 가족 사회자본의 전반적인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시론적 성격을 갖는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구와는 달리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사회 연구는 매우 단편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는 가족사회자본 연구에 필요한 재원부족으로 인해 조사대상이나 관련 변수들이 광범위하게 조사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양을 대표하는 한,중,일 3국을 대상으로 가족 사회자본의 현황과 특성을 종합적인 시각에서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가족 사회자본의 영구영역과 그 대상이 광범위하여 본 과제를 3개 주제로 구분하여 3개의 논문을 작성하였다.
    이들 중 2편은 한국행정논집과 한국행정연구 게재논문이고, 1편은 한국정책과학학회 발표논문이다.

    게재논문 1: 가족 사회자본이 대인, 시민사회, 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중,일 3국 비교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족 사회자본이 공동체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즉 가족신뢰, 자녀교육, 가족행사 참여, 가족관계 등의 가족 사회자본이 사적신뢰, 일반인신뢰, 시민사회신뢰, 정부신뢰 등 공동체 기반을 형성하는 신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국가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개 국가를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과 중국, 일본은 기본적으로 같은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고 사회를 지배하는 규범이나 관습, 조직문화 등이 유사하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가족 사회자본이 사회 전체의 공동체 또는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협소한 사적관계에 일차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서구 사회자본이론가들이 가족과 같은 일차적 공동체를 중심으로 발전한 폐쇄적(closed)이며 수직적(hierarchical)인 사회자본과 개방적(open)이며 수평적(horizontal)인 사회자본을 구분한 이유일 것이다. 한편, 가족 사회자본은 사회 전반 또는 정부신뢰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측면은 본 연구결과에서 가족 사회자본이 사적신뢰와 시민사회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사적신뢰와 시민사회신뢰가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에서 나타난다.

    게재논문2: 가족 사회자본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일 양국 간 비교 분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가족 사회자본이 단체참여와 정치참여 등 사회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단체참여와 정치참여에도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족 사회자본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한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즉 사회자본 유형을 강한 연결과 느슨한 연결, 수직적 조직과 수평적 조직, 조직에 대한 신뢰와 개인에 대한 신뢰, 동질적 조직과 이질적 조직 등 발생 특성에 의해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족 사회자본의 성격이 어떤가에 따라, 사회참여 역시 참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관계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 각각 3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설문을 바탕으로 비교한 결과, 가족 사회자본은 사회참여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가족 사회자본과 사회참여 유형의 관계가 공통점도 있었고 차이점도 나타났다. 이 연구는 어떤 가족 사회자본 유형이 어떤 사회참여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발표논문: 가족 사회자본이 집단가치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집단가치가 어린 시절부터 형성된다는 것을 바탕으로 기본적으로 가족으로부터 배태된 사회관계가 가치관과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토대로 수행되었다. 논의의 초점은 가족 사회자본이 집단가치와 삶의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다. 기존의 사회자본 접근방법이 현재 상태에서의 사회자본에 주목을 한 반면, 가족 사회자본은 성장기라는 과거에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집단의 가치관에 영향을 크게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이것이 현재의 삶의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집단가치는 모두 가족 사회자본에 의해 매우 깊은 영향을 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삶의 만족 역시 가족 사회자본과 깊은 인과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를 토대로 가족 사회자본 증가를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사회활동의 근간이 되는 가족 사회자본의 수준과 특성을 규명하여 동양 3국의 가족 사회자본 양상이 서구 사회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들 3국 간에는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보다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분석된 결과 및 활용방안을 연구성과 측면에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측면의 성과
    1) 가족 사회자본에 관한 학문적 기초수립
    2) 가족 사회자본의 수준 및 특성파악
    3) 가족 사회자본과 신뢰(대인, 시민사회, 정부) 및 사회참여와의 관계 검증
    2. 사회적 효용성 측면의 성과
    1) 가족과 사회활동 사이에서 제기되는 마찰과 갈등 이해
    2) 가족 사회자본을 통한 대인신뢰, 사회참여와 정부신뢰 증진 방안 모색
    3) 가족이 개인가치 생성의 시발점이요, 인간의 궁극적 목적인 삶의 만족 근간임을 재확인
  • 색인어
  • 가족 사회자본, 신뢰, 단체참여, 정치참여, 집단가치, 삶의 만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