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974&local_id=10026156
에듀테인먼트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디자인교육 개선 방향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교육용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에듀테인먼트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디자인교육 개선 방향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교육용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2006 년 | 방경란(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07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2월 2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유아 및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교육에 있어서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교육방식은 ‘놀이와 재미’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 교육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육방식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교육방식은 점차 그 범위가 넓어지면서 온라인에서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교육과정에서 채택되고 있다. 이는 즐겁고 신나는 교육과정을 통하여 아동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교육의 효과를 보다 긍정적으로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교육방식의 하나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미술교과에서의 디자인교육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보다 효과적인 교육의 형태로서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디자인교육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즉 현행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과과정에서 진행되고 있는 디자인교육과정에 대하여 분석하고 새로운 디자인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는 21세기 국가경쟁력에서 중요한 항목으로서의 디자인에 대한 학문적 위치와 조기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이며,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의 방법론으로서 에듀테인먼트 형식을 통한 효과적인 교육방식에 대한 연구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의 논의는 국가경쟁력 측면에서 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거론되고 있다. 즉 한 시대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많은 관계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에 대한 초등교육의 중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디자인교육이 가지고 있는 통합적이고 다학문적인 특성과 창의적인 교육내용은 미래사회를 위한 초등교육의 방향과 그 맥을 함께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세대 디자인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및 방법 개발의 자료로서 적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 차세대 디자인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사용 지침서 개발에 있어서 그들의 디자인의식과 이해도를 파악하고 분석한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적용가능한 내용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내용은 앞으로 공교육에서 진행되는 디자인교육에 대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영문
  • Edutainment-based education with play and fun elements is widely employed in online educational programs for infants and children. As this kind of method is applied in wider and wider range, it is chosen not only for online programs, but also for many other educational courses. It is used as a new teaching method because it arouse interests of children through exciting learning process, and therefore better educational results are expected.
    In this study, I first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design content that is included in the elementary art educational courses, and then develop the study into the edutainment-based education dealing it as an educational method of higher efficacy. Also I researched the general design educations conducted in elementary courses to explore a new direction for future design education.
    Academic positioning of design and necessity of early design education will be discussed first, and then I will further develop the discussion on if edutainment-based design education would be one useful methodology.

    In modern society, it is discussed very often how important design is not only for national competitive power, but also for every day life. Desig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society and culture of the time in many ways. Design educ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creative contents and integration with other fields, is inseparable with the path of elementary education to follow for the futur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to be considered for the developments of curriculums and educational methods to activate design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nd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primary source for developing teaching guidelines of the design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on the teachers’sense of design and their understanding on design education will be used as a sourc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guidelines, so that the pedagogical purpose and methods can directly be applied to the design education of the future generation.
    I expect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discussions made surrounding this subject to be valuable methodological resources for the public educa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의 디자인교육 형태는 '즐거운 생활' 및 '미술'교과과정 내에서의 만들기, 꾸미기형식의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렇듯 교육과정 내에 구성된 디자인관련 교과내용은 전체의 조형활동 가운데 비교적 많은 부분에 할애되어 구성되어 있는 실정이다.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디자인교육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것에는 여러 가지의 원인이 있음이 분석된다. 이를 살펴보면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는 디자인의 교육목표가 학년수준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즉, 디자인에 대한 중요한 목적을 지나치게 비중을 두고 있어서 현실적이고 실용적이며 아름다운 제작과정과 결과물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디자인개념에 대한 인식과 이해과정 없이 결과물에만 치중하고 있는 측면이 있다. 둘째, 교육의 내용이 디자인전문가 양성을 위한 기초교육 위주로 편성되어 있다. 즉, 초등학교에서의 디자인교육의 목적은 디자인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이론 및 실기교육을 위한 과정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직접적인 디자인제작을 통한 아름다움과 효용성을 위한 제작중심의 교육은 지양되어야 하며 디자인교육과정에서 진행되는 사고과정의 재현, 아이디어 발상과정의 경험, 실험하고 토론하는 문제해결과정의 이해를 비중있게 구성해야 한다.
    셋째, 디자인 비전문가인 교사를 위한 교육지도가 미흡하다. 즉, 디자인에 대한 비전문가인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상세한 교육지도안이나 교육현실에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한 내용구성이 비교적 미흡하다. 다시말해 디자인교육에 대한 접근이 대체적으로 장식하고 만드는 과정으로 인식되어 있어서 수업과정에서는 조형물의 표면장식이나 아름답게 꾸미거나 제작하는 내용에 집중되어 있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측면이 현행 우리나라 초등 디자인교육이 그 관심이나 중요도에 비하여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있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현장에서 교사나 학생들은 제시되어 있는 교사용지도안이나 교육활용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초등 디자인교육이 실질적인 내용이나 교육의 적용 측면에서 초등디자인교육의 중요성을 오해하고 왜곡되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먼저, 연구의 1단계에서는 연구의 범위와 방법 그리고 연구개발을 위한 사전분석 및 개념을 설계하였다. 초등디자인교육에서의 개념으로서는 논리적 사고력의 향상, 구조적 사고력의 배양, 문제해결력 함양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전달과정, 실험과정, 계획과정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통합적인 사고력과 비평적인 분석력, 창의력을 위한 교육내용이 진행될 수 있도록 중심개념을 설정하였다. 이는 탄력적으로 활용가능한 직관적인 형태로 되어 있고 표현중심의 내용을 지양하고 자유롭고 흥미로운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2단계에서는 교육현장에 적용하고 실험하여, 전문가의 자문회의,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을 위한 디자인교육 워크샵 등을 통하여 개발안에 대한 설계를 구체화하고 세분화하였다. 여러 번의 검토와 실행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전시회나 워크샵 등을 통하여 발표하고, 교사와 학생 모두의 반응과 문제점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3단계에서는 실행한 교육내용을 검토하고 분석한 후, 최종적인 개발안을 정리하고,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자문회의를 거쳐서 탄력적으로 적용가능한 디자인교육안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한 디자인교육안은 현행 6년 과정의 교과서를 디자인영역의 내용으로 분류하고, 그에 해당하는 디자인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 개선내용 및 지도사항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즉, 학년별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차시별 주제 및 내용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개념적 상징의 시각화, 아이디어 발상의 실체화, 조형적 전개의 적용 및 구조화에 대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디자인교육내용으로서는 전달과 소통, 실험과 적용, 계획과 분석으로 분류하였다. 즉, 초등디자인교유에서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교육적 효과로서는 논리적 사고를 통한 통찰력, 과학적 사고를 통한 사고력, 문제해결과정을 통한 통합력으로 설정하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현행 진행되고 있는 교육과정에서 뿐 만이 아니라, 앞으로 진행될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도 활용가능할 수 있도록 학년별, 내용별에 따라서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적용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디자인이 일반화 되어 있는 현대사회에서 디자인의 행위는 인간의 생활 속에서 실현되고 있는 사회 모든 분야와 관계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행위가 아니라 일반적이고 사회적인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문적인 교육의 측면 이외의 일반적인 교육으로서의 충분한 역할과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통합적인 학문의 영역을 다루고 있는 디자인의 특성에 따라서 교육을 통해 그 능력을 더욱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초등학교에서의 디자인교육의 의미와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에서 미흡하였던 디자인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을 개발하여 적용함과 동시에 디자인학문의 발전과 활성화를 도모하며 더 나아가 장기적으로는 질적으로 풍부한 디자인인력을 길러 내 국가경쟁력에서도 보다 유리하게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초등학교에서의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제반 정보와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수업모형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학습모형을 개발하여 그 활용도 측면에서의 효과적인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치가 있으며, 조기 디자인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에듀테인먼트 형식의 교육방식에 대하여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교육안을 제안하였다.

    ■ 조기디자인교육을 통한 국가와 사회문화 발전 도모
    디자인 교육은 생산적인 사고이며 창의성 계발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계발되어 아동시절부터의 체계적인 교육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하여 디자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교육적인 지도가 이루어져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도모하고 인간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생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에듀테인먼트 디자인교육을 통한 전인교육의 실현
    디자인의 기초조형원리에 입각한 사고의 전환과 아이디어의 발상을 통하여 생활 주변에 대한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함께 상상력과 비판적인 사고를 길러주며 디자인문화를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키고 통합적인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디자인과정은 과학적이고 미적인 면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디자인 교육을 통하여 전인적인 인간을 교육하고 더 나아가서는 새로운 시대에 대처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감성적인 인간을 육성한다는 목표도 달성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 다학문적 성격의 디자인교육을 통한 학문적 파급효과 기대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디자인은 인간의 이해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되기 때문에 사회, 문화, 과학, 경제 등과 연계된 통합적 사고를 요구하며, 인간생활의 편리성과 풍요로운 삶을 추구한다. 또한 다학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디자인학문의 성격으로 볼 때,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개발된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교육용 콘텐츠는 디자인학문의 발전 뿐 만이 아니라 타 학문과도 유연하게 연계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초등 교과과정 전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디자인과 사회, 디자인과 문화, 디자인과 과학, 디자인과 공간, 디자인과 철학, 디자인과 심리, 디자인과 음악 등과 같은 형식을 취하게 됨으로써 타 학문과의 교류를 넓히게 되어 아동교육 전반에 미치게 되는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이 일반화 되어 있는 현대사회에서 디자인의 행위는 인간의 생활 속에서 실현되고 있는 사회 모든 분야와 관계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행위가 아니라 일반적이고 사회적인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초등학교에서의 디자인교육의 의미와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에서 미흡하였던 디자인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을 개발하여 적용함과 동시에 디자인학문의 발전과 활성화를 도모하며 더 나아가 장기적으로는 질적으로 풍부한 디자인인력을 길러 내 국가경쟁력에서도 보다 유리하게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이 초등학교 공교육에서 원활한 디자인교육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교사와 학생 모두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디자인적 사고과정을 통한 창의적인 인재육성에 이바지할 것을 기대한다.
  • 색인어
  • 디자인교육, 차세대교육, 초등디자인, 에듀테인먼트, 초등학교교사용지침, 교육안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