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215&local_id=10019757
한․미․일 삼국의 종교교육 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미․일 삼국의 종교교육 비교 연구 | 2006 년 | 강돈구(한국학중앙연구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48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9월 1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팀의 연구 주제는 "한․미․일 삼국의 종교교육 비교 연구"이다. 이 연구는 한국 중등학교의 종교교육 문제를 일본과 미국의 사례를 통해 검토하는 안목을 갖고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한국의 종교정책과 종교교육」)는 종교교육 문제가 교육부와 학교의 시소게임, 그리고 관련 학자들의 제안만으로 해결될 수 없다는 전제 하에 종교정책적인 차원에서 종교교육 문제를 조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우리나라의 종교 상황의 특징과 문제점(Ⅱ. 한국 종교상황의 특징), 현행 종교정책의 문제점(Ⅲ. 한국의 종교정책), 종교교육 문제의 해소 방안(Ⅳ 한국의 종교교육)에 대해 검토하였다. 필자는 종교교육이 ‘종교성’의 제고, 인격의 확립, 지혜의 추구, 윤리교육, 도덕교육, 인격교육, 심성교육, 전인교육 등이 아니라 정책적으로 교양교육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점을 제시하고 있다.
    두 번째 연구(「한·미·일 삼국의 종교정책과 종교교육 비교」)는 한국과 미국과 일본의 종교교육을 비교하면서 각국의 종교교육에 대한 장단점 파악, 한국의 종교교육에 대한 제언, 나아가 종교교육 자체에 대한 이해 증진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종교현실(2. 한·미·일 삼국의 종교현실 비교), 종교정책(3. 한·미·일 삼국의 종교정책 비교), 종교교육의 제도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4. 한·미·일 삼국의 종교교육 비교), 종교교육 문제의 해결방식(5. 결론: 한국의 종교정책과 종교교육에 대한 제언) 등을 비교 내용으로 설정되었다.
    세 번째 연구(「일본 종교교육의 역사와 현황」)는 한국 종교교육의 문제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비교 연구 차원에서 일본의 종교교육을 조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의 종교교육 개념(1. 종교교육의 정의와 문제), 종교교육의 역사(2. 일본 종교교육사), 종교교육의 현실(3. 일본 종교교육의 현황과 문제), 교육체계에서 종교교육의 의미(4. 맺음말) 등이 검토 내용으로 설정되었다. 일본의 종교교육의 문제는 사립 중등학교의 종교교육보다 공교육으로서 종교적 정조교육이다. 이에 대해 필자는 종교적 정서교육이 과거 국가신도적 종교교육의 부활인지에 대해 성찰하면서 일본의 종교교육 문제의 논점을 제시하고 있다.
    네 번째 연구(「한국의 중등 종교교육 제도의 비판적 고찰」)는 종교교육의 문제 상황을 법적 조항의 해석 문제, 교육적 문제, 건학이념의 문제, 평준화 제도와 타율적 학교배정 문제 등의 측면에서 조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중등 종교교육의 역사와 현재(2. 중등 종교교육제도의 역사와 현재), 종교의 자유 문제(3. 사립학교에서의 종교의 자유에 대한 법적 고찰), 종교교육의 제반 원인(4. 종교교육 제도와 현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등이 검토 항목으로 설정되었다.
    다섯 번째 연구(「미국 공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는 한국 종교교육의 문제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미국 공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관련 정책과 현황을 조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종교교육에 대한 통시적 차원의 사회적 배경(Ⅱ. 미국 종교상황과 종교교육 정책), 종교교육 관련 법 해석 근거(Ⅲ. 헌법을 통해서 본 종교교육), 종교교육 관련 사안과 해소책(Ⅳ. 연방대법원 판례를 통해서 본 종교교육) 등이 검토 내용으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팀의 전체적인 연구 내용은 최근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한 종교교육 문제를 중층적으로 진단하고 그 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는 정책적․제도적․교육적 측면과 비교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나아가 본 연구내용은 종교교육의 문제에 대해 앞으로 정교분리, 종교의 자유, 양심의 자유, 인권 보장 등의 측면에서 조망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 영문
  • The thesis of this research is "A Comparative Study on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U.S.A.". The purpose is to diagnose and improve the problems of religious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in the South Korea.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ing.

    In first research ("Policy and Education about Religion in Korea"), researcher examined the problems of religious education through policies about religion. He examined som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situation including religion's problems in Korea (Ⅱ. Characteristic of religious situation in the South Korea), problems of current policies of religion (Ⅲ. Korean Religion Policy), and remedies of problems of religious education (Ⅳ.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And he, through these examinations, insisted that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should take aim at a kind of liberal education.

    In second research ("Policy and Education about Religion in Korea, Japan, and U.S.A."), researcher compared religious education through policies about religion in Korea, Japan, and U.S.A.. And considering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religious education in three countries, he presented remedies for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As well as, he laid stress on deep understanding of religious education itself. Items that he examined for comparative study were as these; current religious contexts (2. Current Religious Contexts in Korea, Japan, and U.S.A.), policies about religion (3. Policies about Religion in Korea, Japan, and U.S.A.), institutions and contents of religious education (4.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U.S.A.), and remedies of religious education (5. Conclusion: Proposals for Remedy).

    In third research ("History and Current Contexts of Religious Education in Japan"), researcher examined religious education in Japan to remedy the problems of religious education in South Korea religion education. Items that she examined were as these; concept of religious education (1. Definition and Problem of Religious Education), its history (2. History of Religious Education in Japan), its current contexts (3. Current Contexts and Problems of Religious Education in Japan), and meanings of religious education in Japan's educational system (4. Conclusion). Sentiments' education that means religious education in Japan is more a matter of public/governmental secondary school than voluntary/nongovernmental secondary school. About this, she reflected dualism of sentiment's education in Japan's public education system.

    In fourth research("Critical Reflection on Religious Education in Korean Secondary School"), researcher examined the problems of religious education in systematic dimension. Items that she examined were as these; history of religiou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2. History of Educational System Relating Religious Education), freedom of religion (3. Legal Understanding on Freedom of Religion in Voluntary Secondary School), various problems of religious education (4. Institutional and Phenomenal Understanding on Religious Education.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take a view of the various problems about religious education at legal, educational and systematic level.

    In fifth research ("Religious Education of Public/Governmental School in U.S.A."), researcher examined policies and current contexts relating religious education in U.S.A. Items that she examined were as these; social backgrounds of religious education (Ⅱ. Current Contexts and Policies of Religious Education in U.S.A.), analysis and its basis of various laws relating religious education (Ⅲ. Religious Education and Constitution), various issues and remedies of religious education (Ⅳ. Religious Education and Supreme Court in U.S.A.).
    These researches diagnosed the problems of religious education and presented some new directions of those in Korean secondary schoo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미․일 삼국의 종교교육 비교 연구는 한국 중등학교의 종교교육 문제를 검토하고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중등학교의 종교교육 문제는 제4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학계에서 논의의 대상이 되었지만 최근에 대광고 사건, 사립학교법 개정 등과 관련하여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하면서 더욱 더 활발한 논의를 필요로 하는 주제이다. 종교교육의 문제는 단순히 신앙과 비신앙의 갈등이 아니라 정교분리, 종교의 자유, 양심의 자유 등과 연관된 문제이며, 특히 인권 차원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한국 중등학교의 종교교육 문제를 진단하고 처방하기 위해 본 연구팀은 종교정책적 측면, 종교제도적 측면, 그리고 미국․일본의 종교교육 현실과의 비교 검토를 주된 내용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종교교육과 관련된 사회적 현안을 중심으로 문헌조사와 비교연구의 방법을 공통된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특히 미국과 일본의 종교교육 현실에 대한 검토는 한국의 종교교육 실태를 조망하는 일종의 도구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팀은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각종 연구자 회의, 현지답사, 세미나 등을 진행하였다. 이 가운데 현지답사의 경우, 본 연구팀은 2006년 11월에 대구지역 중등 종립학교의 종교교육 실태조사(심인고등학교, 대건고등학교, 능인고등학교, 영신중․고등학교), 2007년 2월에 경기․강원지역 종립학교의 종교교육 실태조사(분당 대진고등학교, 청심국제중고등학교, 강릉 명륜고등학교, 원주 진광고등학교)를 답사하고 이에 대한 연구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러한 답사는 연구가 이론적인 차원에 머물지 않고 실제적인 차원으로 나아가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 세미나의 경우, 본 연구팀은 매월 ‘청계종교연구포럼’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기간 중에 청계종교연구포럼에서 다루어진 연구 주제는 북미의 현대종교, 우리 종교현장에서 본 종교인의 신앙태도, 중국의 종교정책, 종교개념과 근대종교 등이었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 주제는 본 연구팀이 종교교육의 문제를 다양한 각도로 조망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팀의 연구 성과에 대한 중간 점검은 중간발표회(심포지엄) 개최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중간발표회에서 본 연구자들은 한국의 종교정책과 종교교육, 한·미·일 삼국의 종교정책과 종교교육 비교, 일본 종교교육의 역사와 현황, 한국의 종교교육, 미국 공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 주제들과 그 내용들은 본 연구팀의 당초 연구계획에 부합되는 것이었다. 본 연구팀은 중간발표회를 통해 연구의 방향을 재검토하면서 연구 내용을 심화시킬 수 있었다.
    연구 기간 동안 본 연구팀이 진행한 최종적인 연구 성과에 대해서는 2007년 6월의 결과발표회를 통해 점검하였다. 결과발표회에서 발표된 본 연구팀의 연구 주제는 <한국의 종교정책과 종교교육>, <한·미·일 삼국의 종교정책과 종교교육 비교>, <일본 종교교육의 역사와 현황>, <한국의 중등 종교교육 제도의 비판적 고찰>, <미국 공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이었다. 이 가운데 일부는 수정 보완되어 이미 학진 등재 후보지 이상의 학술지에 등재되었으며, 다른 연구자들은 논평의 내용을 토대로 연구를 보완 수정할 계획이다.
    본 연구팀의 연구 성과는 한국 중등학교의 종교교육에 대해 정책적, 사회적, 학문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 성과가 책으로 출판된다면 현재 종교교사를 양성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교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급부상한 종교교육 관련 이슈를 학문적으로 접근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팀의 연구 결과는 학문적, 사회적, 교육적 측면에서 활용될 것이다. 나아가 후속세대의 연구 인력을 양성하는 데에도 활용될 것이다.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적 측면이다. 본 연구는 종교학 분야에서 소외된 종교교육 문제에 대해 종교학이라는 틀에서 객관적으로 접근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따라서 학문적 측면에서 본 연구 결과는 종교교육이라는 소외된 연구 분야 발굴을 통한 종교학과 인문학의 균형 발전, 사회 현장과 학문의 연계 계기 마련, 각 종단 소속 학자들의 학문적 편향성 극복 등에 활용될 것이다. 가령 선교 또는 포교의 측면에서만 종교교육을 조망하는 접근이 지양될 것이다.
    둘째, 사회적 측면이다. 한국 사회에서 종교교육 문제는 고교평준화 정책 시행 이후부터 꾸준히 사회적인 문제로 제기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고등학교 사건, 사립학교법 개정 등과 관련하여 주요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하였다. 학계에서는 종교의 자유, 양심의 자유 등을 포함한 인권 문제와 종교교육 문제를 연결시키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결과는 교육 관계자와 시민들이 주요 사회 현안인 종교교육 문제를 객관적으로 냉정하게 조망하는 데에 활용될 것이다. 앞으로 종교교육 문제가 한국 사회의 주요 이슈를 구성할 것임을 감안한다면 본 연구 결과는 장기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셋째, 교육적 측면이다. 현재 한국의 대학교에서는 종교교사 양성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대학교가 어떤 종교단체와 연계되어 있는가에 따라서 종교교사의 양성 과정과 교육 내용이 다른 실정이다. 따라서 그리고 객관적인 교육을 받은 종교교사보다 특정 종교에 편향된 교육을 받은 종교교사들이 교육현장에 임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추세와 함께, 객관성이 담지된 중등학교의 종교교과서와 대학교의 종교교육 교재의 부재 문제, 종교교육 강의의 부재 문제가 심각하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결과는 중등학교 종교교과서의 집필, 대학교 종교교육 교재의 개발, 그리고 종교교육 관련 교양강의 개설 등에 활용될 것이다.
    넷째, 연구 인력 양성의 측면이다. 본 연구팀의 연구는 종교학 내에서도 중요하지만 소외된 주제에 관한 것이었다. 연구 진행 과정에서 연구전임인력은 심화된 연구 활동을 진행하였고, 연구보조원으로 대학원생들은 월례발표회 참여, 연구전임인력과의 스터디 진행, 연구전임인력과의 현지답사 참여 등을 경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특히 대학원생들에게 종교교육 분야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도출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원생들이 학문 후속세대로서 학위를 준비하는 과정에, 종교학 전문 연구 인력이 되는 과정에 필요한 주제와 접근법과 내용으로 활용될 것이다.
  • 색인어
  • 공교육, 사립학교, 중등학교, 종교교육, 종교교육 제도, 정교분리원칙, 종교의 자유, 양심의 자유, 한국의 종교교육, 한국의 종교정책, 미국의 종교교육, 미국의 종교정책, 미국의 공립학교, 일본의 종교교육, 일본의 종교정책, 미국 공립학교, 중등학교, 신앙교육, 종교적 교육, 교양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