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219&local_id=10023888
섭식행동의 예측인과 후행 결과에 대한 종단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섭식행동의 예측인과 후행 결과에 대한 종단연구 | 2006 년 | 장은영(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04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2월 0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섭식행동의 선행인과 후행결과를 알아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섭식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확장된 행동이론 모형과 원형/행동경향 모형을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를 보면, 행동의도의 효과가 행동경향의 효과보다 더 강력하였고, 이상섭식행동보다 섭식점검행동에서 두 이론모형이 더 잘 지지되었다. 다만, 공변량구조분석에서 확장된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과 원형/행동경향 모형 모두에서 부합도 수준은 양호한 편이었지만, 원형/행동경향 모형의 부합도가 더 양호한 편이었다. 둘째, 사회비교 과정이 음식을 먹는 양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결과를 보면, 여성들은 뚱뚱한 사람의 사진을 볼 때에는 자기주의에 상관없이 비교적 먹는 양이 많았으며, 마른 사람의 사진을 볼 때에는 자기주의에 상관없이 비교적 먹는 양이 적었다. 그런데 보통 체형의 사람을 볼 때에는 체형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이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먹는 양이 적었다. 셋째, 거식행동과 폭식행동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선행인을 알아보았는데, 완벽주의는 거식행동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자기향상동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고, 자신에 대한 무능감이 높을수록 자존심을 방어하려는 동기가 높았다. 그러나 이 자기고양동기는 폭식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지는 못했다. 이에 더해서 내적혼란과 충동성은 폭식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신체불만족은 섭식행동과 폭식행동을 모두 직접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넷째, 한 달 간 간격을 두고 실행의도와 행동원형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는데, 날씬하고 건강한 원형에 대해서 반복하여 생각하는 과정은 건강한 섭식행동을 경미하게 높였고, 실행의도를 구체적으로 구상하는 과정은 폭식행동이나 억제행동을 경미하게 낮추었다. 다섯째, 건강한 섭식행동, 억제행동 및 폭식행동간 이행을 알아보기 위해서 1년 간격의 종단연구를 수행하여, 특정한 섭식행동에 종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건강한 섭식행동의 빈도가 높았던 이들은 강화나 보상에 민감하게 행동이 활성화될수록 1년 후에 억제행동이 높아졌다. 그리고 억제행동이 높았던 이들은 재미를 추구하는 방식으로 행동이 활성화될수록 1년 후에 폭식행동이 더욱 높아졌다.
  • 영문
  • The present study which investigated the precedents and subsequent outcomes of eating behavio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dictive powers of augmented model of Ajzen's(1991)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Prototype/Willingness model were tested and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dictive power of intention was stronger than willingness and two theoretical models were supported more in eating monitoring behavior than eating disorder behavior. Also, the fitness of each theoretical models were moderately satisfactory, however those of P/W model were slightly better. Second, the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n eating behavior was tested through an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s ate much more amount of snacks when they were exposed to photographs of under-weight or normal models than over-weight model. Furthermore, at the conditions of normal weight model, attention focused on shape made them eat less. Third, The differential predictors of anorexic and bulimic behavior were explored. The results showed that perfectionism predicted directly and indirectly anorexic behavior through the effect of self-improvement motive, and ineffectiveness predicted self-enhancement motive which could not affect bulimic behavior. Also, interoceptive awareness and impulse regulation had direct effects on bulimic behavior and body dissatisfaction influenced both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s directly. Fourth, a longitudinal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impacts of implementation intention and prototype and failed to prove the significant effect. However the data showed that prototype enhanced healthy eating slightly and implementation intention lowered anorexic and bulimic behavior slightly. Fifth, To explore the transition among healthy diet behavior, anorexic behavior, and bulimic behavior, a longitudinal study over a one year interval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reward responsiveness predicted positively anorexic behavior one year after among participants with a high level of healthy dieting. Also, a propensity for risk-taking behavior raised the level of bulimic behavior one year after among the participants with initially high levels of anorexic behavio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섭식행동의 선행인과 후행결과를 알아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섭식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확장된 행동이론 모형과 원형/행동경향 모형을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를 보면, 행동의도의 효과가 행동경향의 효과보다 더 강력하였고, 이상섭식행동보다 섭식점검행동에서 두 이론모형이 더 잘 지지되었다. 다만, 공변량구조분석에서 확장된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과 원형/행동경향 모형 모두에서 부합도 수준은 양호한 편이었지만, 원형/행동경향 모형의 부합도가 더 양호한 편이었다. 둘째, 사회비교 과정이 음식을 먹는 양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결과를 보면, 여성들은 뚱뚱한 사람의 사진을 볼 때에는 자기주의에 상관없이 비교적 먹는 양이 많았으며, 마른 사람의 사진을 볼 때에는 자기주의에 상관없이 비교적 먹는 양이 적었다. 그런데 보통 체형의 사람을 볼 때에는 체형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이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먹는 양이 적었다. 셋째, 거식행동과 폭식행동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선행인을 알아보았는데, 완벽주의는 거식행동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자기향상동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고, 자신에 대한 무능감이 높을수록 자존심을 방어하려는 동기가 높았다. 그러나 이 자기고양동기는 폭식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지는 못했다. 이에 더해서 내적혼란과 충동성은 폭식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신체불만족은 섭식행동과 폭식행동을 모두 직접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넷째, 한 달 간 간격을 두고 실행의도와 행동원형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는데, 날씬하고 건강한 원형에 대해서 반복하여 생각하는 과정은 건강한 섭식행동을 경미하게 높였고, 실행의도를 구체적으로 구상하는 과정은 폭식행동이나 억제행동을 경미하게 낮추었다. 다섯째, 건강한 섭식행동, 억제행동 및 폭식행동간 이행을 알아보기 위해서 1년 간격의 종단연구를 수행하여, 특정한 섭식행동에 종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건강한 섭식행동의 빈도가 높았던 이들은 강화나 보상에 민감하게 행동이 활성화될수록 1년 후에 억제행동이 높아졌다. 그리고 억제행동이 높았던 이들은 재미를 추구하는 방식으로 행동이 활성화될수록 1년 후에 폭식행동이 더욱 높아졌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은 뚱뚱한 사람보다 날씬한 사람과 비교할 때 섭식량이 더 적었다. 보통 체형의 사람과 비교할 때에는 체형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이면 섭식량이 적었다. 둘째, 예상과는 달리 행동의도는 일관된 영향력을 보였으나,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행동경향은 이보다 향상된 영향력을 입증하지 못했다. 셋째, 완벽을 추구하는 사람이 자신보다 나은 사람과 자꾸 비교할수록 음식을 먹지 않으려하고 살찌는 것을 거부하였다. 그리고 불안정하고 충동적인 사람이 섭식을 제어하기 어려워하였다. 넷째, 한 달 간 간격을 두고 실행의도와 행동원형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는데, 날씬하고 건강한 원형에 대해서 반복하여 생각하는 과정은 건강한 섭식행동을 경미하게 높였고, 실행의도를 구체적으로 구상하는 과정은 폭식행동이나 억제행동을 경미하게 낮추었다. 다섯째, 건강한 섭식행동의 빈도가 높았던 이들은 강화나 보상에 민감할수록 1년 후 억제행동이 높아졌다. 그리고 억제행동이 높았던 이들은 재미를 추구할수록 1년 후 폭식행동이 높아졌다.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한 섭식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 행동의 의도를 높여야 한다. 또한 건강한 섭식행동을 하는 원형에 대해서 자주 생각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를 높여야 한다. 둘째, 거식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의도를 낮추어야 한다. 또한 너무 날씬하거나 혹은 뚱뚱한 사람과 비교하는 빈도를 낮추어야 하고, 건강한 섭식행동을 유지할 수 있는 실행의도를 구체적으로 생각하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완벽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체형이 날씬한 타인과 자신을 자주 비교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 건강한 섭식행동을 잘 해내는 이들에게 강화나 보상에 근거하여 체형이나 체중을 유지하도록 하는 전략은 억제행동을 높일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지 않다. 셋째, 폭식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의도를 낮추어야 한다. 또한 개인이 지닌 불안정성과 충동성을 낮추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그리고 건강한 섭식행동을 유지할 수 있는 실행의도를 구체적으로 생각하도록 하여야 한다. 과도한 억제행동은 이후 폭식행동을 높이는데, 특히 재미나 자극을 추구하는 이들에게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따라서 재미나 자극을 선호하는 이들이 과도한 억제행동을 보인다면, 조기에 억제행동을 완화시키는 즉각적인 개입이 필요하겠다.
  • 색인어
  • eating behavior, anorexic behavior, bulimic behavior, social comparison, private self-focused attention, perfectionism, impulse regulation, body dissatisfac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rototype, behavioral willingness, implementation intention, behavioral intention,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