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228&local_id=10015581
중국민족주의 담론으로서의 黃帝서사에 대한 계보학적 고찰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국민족주의 담론으로서의 黃帝서사에 대한 계보학적 고찰 | 2006 년 | 이유진(안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92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10월 0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중국민족주의 담론으로서의 黃帝서사에 대한 계보학적 고찰’이라는 주제의 본 연구에서는 담론과 서사와 계보학이라는 시각으로 황제를 고찰하면서 중국민족주의와 황제의 얽힘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시각은 황제를 역사적 실체로 간주하고서 그 시공간적 기원을 밝혀내고자 하는 일체의 시도와 대척점에 놓여있다.
    본고에서는 황제를 둘러싼 담론들이 어떠한 역사적 맥락에서 생성되었는지, 황제서사에서 궁극적으로 의지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추적하면서 황제서사가 지닌 힘에 주목하였다. 황제가 신이었는지 인간이었는지조차 확실하지 않지만 그는 漢代 이후로 華夏의 공동시조로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역대 왕조에서 皇統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고 근대 국민국가 수립과 더불어 國統의 상징이 되었다. ‘만들어진 전통’으로서 황제는 언제나 중국민족주의 담론에 동원되고 있다. 입헌파와 혁명파가 주장하는 황제의 의미가 달랐고, 황제가 서아시아에서 왔다고 주장하는가 하면 최근에는 紅山문화와 황제를 연결짓고 있다. 이러한 서사의 모순들은 늘 현재의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맥락에 놓여 있다.
    중국민족주의 담론 속에서 황제는 시조로서 정복자로서 문명의 창조자로서 수많은 역사 자원들을 확보하고 있는 탁월한 확장성을 지닌 상징코드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황제서사에 숨겨진 갈등과 폭력의 본질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할 필요가 있다. 중국민족주의 담론으로서의 황제서사에 대한 계보학적 고찰을 통해 "모든 역사는 당대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자는 담론의 주체들이 ‘우리-그들’의 적대적인 코드가 작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놓치지 않길 바란다. 그런 의미에서 마지막으로 다음 말을 상기하고자 한다. "과거는 낯선 나라다. 그곳에서 그들은 다르게 행동한다."

  • 영문
  • 〈 ABSTRACT 〉

    Focusing primarily on Huang Di and including discussion of the discourse, the narrative and the genealogical approach, this essay ‘A Genealogical Approach to the Huang Di Narratives in the Discourse of Chinese Nationalism’ aims at capturing the complexity of the Chinese nationalism and Huang Di. For challenging all other studies trying to attest the reality of Huang Di, this article examines the power of Huang Di narrative by researching each historical circumstance, shaping the narrative and the ultimate intention embedded in it.
    Was Huang Di a historical or mythical being No one knows for sure. But Huang Di has been recognized as a common ancestor of Hua Xia since Han Dynasty. Huang Di, a long-standing symbol of imperial authority, was transformed into a symbol for modern Chinese national identity in late Qing. Huang Di as an ‘invented tradi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hinese discourse of the nation. The meaning of Huang Di was different between the reformers and the revolutionaries. Some also asserted a theory in which Huang Di emigrated from West Asia to China. On the other hand, some recently would connect Huang Di with Hong Shan culture. These conflicting narratives are on the same level of awareness, in the light of reflections of the current point of view.
    Huang Di became a prominent symbol as an ancestor, a conqueror, and the originator of the culture, with the capacity to capture the historical resources in the discourse of Chinese nationalism. But most of all, we need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 nature of the hidden violence and conflict of the Huang Di narrative. Even though all history is contemporary history, I don’t wish the main body of discourse to miss the chance to restrain the function of the ‘Us-Them’ hostile code. So lastly, I would like to say that there is one thing to keep in mind; "The past is a foreign country; they do things differently the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ABSTRACT 〉

    Focusing primarily on Huang Di and including discussion of the discourse, the narrative and the genealogical approach, this essay ‘A Genealogical Approach to the Huang Di Narratives in the Discourse of Chinese Nationalism’ aims at capturing the complexity of the Chinese nationalism and Huang Di. For challenging all other studies trying to attest the reality of Huang Di, this article examines the power of Huang Di narrative by researching each historical circumstance, shaping the narrative and the ultimate intention embedded in it.
    Was Huang Di a historical or mythical being? No one knows for sure. But Huang Di has been recognized as a common ancestor of Hua Xia since Han Dynasty. Huang Di, a long-standing symbol of imperial authority, was transformed into a symbol for modern Chinese national identity in late Qing. Huang Di as an ‘invented tradi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hinese discourse of the nation. The meaning of Huang Di was different between the reformers and the revolutionaries. Some also asserted a theory in which Huang Di emigrated from West Asia to China. On the other hand, some recently would connect Huang Di with Hong Shan culture. These conflicting narratives are on the same level of awareness, in the light of reflections of the current point of view.
    Huang Di became a prominent symbol as an ancestor, a conqueror, and the originator of the culture, with the capacity to capture the historical resources in the discourse of Chinese nationalism. But most of all, we need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 nature of the hidden violence and conflict of the Huang Di narrative. Even though all history is contemporary history, I don’t wish the main body of discourse to miss the chance to restrain the function of the ‘Us-Them’ hostile code. So lastly, I would like to say that there is one thing to keep in mind; “The past is a foreign country; they do things differently there.”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중국민족주의 담론으로서의 黃帝서사에 대한 계보학적 고찰’이라는 연구 과제의 결과물로서 본 연구자는 다음 3편의 관련 논문을 등재지에 게재하였다. 「다원일체로서의 중국과 고구려의 만남」(중국어문학논집 44호, 2007.6.30.), 「중국(1793-2008), 그 정체성을 묻는다」(중국어문학논집 50호, 2008.6.30.), 「중국민족주의 담론으로서의 黃帝서사에 대한 계보학적 고찰」(중국어문학논집 57호, 2009.8.31.).
    이상의 연구결과물을 통해 향후 중국민족주의 연구영역의 확대 및 연구방법의 다양화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접근방식을 통해 향후 중국민족주의의 성격을 계보학적으로 읽어내는 다양한 담론들을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오늘날 중국신화 역사화의 동향에 대한 본 연구결과물의 비판적 시각 및 다양한 자료들이 대학교육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색인어
  • 主題語(Key words) : Huang Di, discourse, narrative, genealogical approach, Chinese nationalism, historical circumstance, invented tradition, reformers, revolutionaries, West Asia, Hong Shan, symbol, ancestor, conqueror, originator of the culture, violence, conflict, Us-Them, past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