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294&local_id=10019260
명청시대의 도시화, 지역개발 그리고 환경문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명청시대의 도시화, 지역개발 그리고 환경문제 | 2006 년 | 오금성(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09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11월 1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주제1)사대부를 지배층으로 하는 사회구조는 송대에 확립되어 청말까지 계속되었다. 그러나 송대로부터 청말까지 천년 가까운 시기의 사회 지배층의 정치사회적인 존재양태를 각 시기의 사회변화와 결부시켜 분석해 보면, 송대로부터 원대를 거쳐 명초(=15세기 초기)까지의 지배층은 ‘사대부’였고, 명 중기의 15세기 중엽부터 19세기 전반기까지는 ‘신사’, 그리고 19세기 후반기로부터 청조 멸망(1911)시기까지는 대체로 ‘신상’으로 변화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청말, 사회의 지배층 모두가 신상은 결코 아니었다. 여전히 신사와 신상(신사이면서 상인인 사람)이 지배층으로서 혼재하는 가운데, 수적으로는 신상이 신사보다 훨씬 적었다.
    (주제2) 중국 인구는 명초에서 청말에 이르는 460년 동안 대략 7배 정도로 늘어났다. 늘어나는 인구를 부양하려면 식량을 증산해야 했는데 당시인들은 경작면적을 확대하고, 단위면적당 곡물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의 신대륙 작물을 도입, 재배함으로써 이에 대응했다. 명 초기의 인구분포는 홍무연간의 대대적인 인구이동 정책을 통해 완성되었다. 홍무연간의 인구재배치의 목적은 원말의 동란으로 피폐한 사회를 재건하기 위한 것이었다. 명대 초, 중기의 지식인들에게는 많은 인구가 국력의 원천이며 발전의 토대가 된다는 낙관론적인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15세기 초부터 말에 걸쳐 생존하였던 경세사상가 구준의 인구론은 낙관론을 반영한 대표적 견해였다. 그러나 명 후반기로 넘어가면서 인구가 많아지고 사회모순이 격화되면서 생존환경이 열악해지자 점차 인구증가를 염려하는 견해도 등장하였다. 청대 인구론의 특징은 명대 인구론이 내포한 다양한 요소 가운데 우환론을 계승하여 발전시켰다는 점이다.
    (주제3) 호광 지방의 개발은 명청시대 지역개발의 전형에 속한다. ‘소호숙 천하족’(蘇湖熟 天下足)이란 송대의 속언(俗諺)을 대신하여 명청시대에 등장한 ‘호광숙 천하족’(湖廣熟 天下足)이란 속언은 호광개발이 사회경제적으로 얼마나 중요한가를 웅변하고 있다. 호광의 개발로 양자강(揚子江) 하류 경제적 선진지대와 중류지역의 상호보완적 분업관계의 확립되었으며, 양자강 하류에서 진전된 경제 발전이 중류지역으로까지 확산되었다. ‘호광숙 천하족’이란 속언에서 언급되는 호광이란 주로 양호평원, 즉 강한(江漢)평원과 동정(洞庭)평원 일대이다. 이 지역이 중국의 곡창으로 대두한 원인은 강호(江湖)변의 저습지에 완제(垸堤)를 쌓아서 만든 완전(垸田)이 발달했기 때문이다. 옹정·건륭 초기부터 산간지역의 수리시설 축조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런 현상은 상강(湘江) 중상류와 자강(資江), 원강(沅江), 예수(澧水)유역에서 두드러졌다. 산간수전(山間水田)이 확대되면서 황지(荒地)개간의 남발로 인한 당, 언의 붕괴, 수리 경쟁 격화로 인한 수원(水源) 분쟁, 산림의 남벌로 인한 생태계 파괴와 계류(溪流) 고갈 현상 등 각종 부작용이 나타났다. 이른바 숲과 사람이 서로 토지를 차지하려고 다툰다는 의미의 ‘여림쟁지’(與林爭地)라는 말은 산간지역 개발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나타내준다.
    (주제4) 명청시대 경제 발달에 따른 부의 증대로 목재 수요가 증가했으며, 이것 또한 남벌을 가속화시킨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목재가 뇌물로 이용되고 있다는 명 중엽 한 관리의 지적은 사회적 부 증대로 빚어진 사치 풍조로 목재 수요가 증가했음 말해주고 있다. 위 낙후된 소수민족 거주 지역에서도 한족의 이주, 경작지 개발, 도시 문화의 유입으로 생활양식이 급격하게 변화하여 전에는 잡풀과 나무를 재료로 지었던 소박한 주택들이 고급 목재를 이용한 호화주택으로 변모되었다. 한편 명청시대 남벌의 이면에는 국가 정책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가속화된 산림 남벌로 청대에 이르러 장강 중하류 지역의 홍수 빈도가 높아졌다. 비가 온 후 흙과 암석이 무너져 내리는 현상이 남벌 이후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따라서 하도가 좁아지고 침전물이 증가하여 유속이 눈에 띠게 줄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토사의 급증으로 황하 일대나 장강 유역의 홍수 피해가 급증하였다. 황하 유역의 경우 명과 청 양대에 각각 454번, 480번의 홍수가 발생했다.
    (주제5) 명청시대 도시에는 여러 제사․종교시설이 있어서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사묘(寺廟)라고 통칭되는데, 크게는 사묘(祠廟)와 사관(寺觀)이라는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사묘(祠廟)는 신령이나 선조를 모신 사당을 의미하며, 사관(寺觀)은 불교사원[佛寺]과 도교사원[道觀]을 의미한다. 이들이 사묘(寺廟)라고 통칭되는 것은 서로 유사한 기능을 하고 상호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제사시설들은 곧 천자와 제국과 북경을 상징하는 곳으로, 청조에 들어와서도 기본적으로는 계승되었다.
  • 영문
  • (Subject 1)The literati class became ruling class in Song China and that social stratification lasted till Qing China. In detail, the ruling class was literati(shidafu) from Song to early Ming, and gentry(shenshi) from mid Ming to mid Qing, and gentry merchant(shenshang) from mid Qing to the downfall of Qing dynasty. According to a wide range social change in late Qing, chinese ruling class , that is genty, began to change their sense of value. In traditional view point, they gave much weight to agriculture than commerce. But they began to think commerce is more important than agriculture, and to engage in commerce is the best way to modernize China from 19th century. As a result , the gentry changed into gentry merchant of his own accord. (Subject 2)The population of China was increased seven times from early Ming to late Qing, in detail from 6.5 million to 4.5 hundred million. The method to feed up increasing population with great speed, Chinese people cannot choose but to add the quantity of grain production. To accomplish this aim, Chinese people lived in Ming-Qing times enlarged cultivated acreage, increased output per unit area, grew potatoes, sweet potatoes, corns inflew from America. The literati who lived in Ming china thougt that the more the number of population is, the better the situation of the country is. Because the population of china is not so many as the later times. On the contrary the literati in Qing china, especially in late Qing China thought that the fewer the number of the population is, the better the situation of the country is. Because they thought too many people live in China at that time.
    (Subject 3 ) The development of Huguang province belongs to the most important model of regional development in Ming- Qing period. A common saying that "If Suzhou and Huzhou have a good harvest, all Chinese people can eat enough food" in Sung China changed into the proverb "If Huguang province have a good harvest, all Chinese people can eat enough food" in Ming China. This proverb is the evidence to how important the development of Huguang province in Ming China is! As the Huguang province functioned as a most important granary in Ming-Qing society, the complementary cooperation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etween Huguang province and lower Yangzi region where the most developed area, that is to say the most commerciallized area in Ming Qing society.
    (Subject 4 ) As the more development advanced, the more environmental problem appeared. Especially the side effect such as the collapse of dikes beside large and small rivers, the outward flow of earht and sand by deforestation, flood appeared very often. Thus the courts of Ming-Qing dynasty often promulgate edicts and laws to protect ecological environment. But those measures were loosened remarkbly in 18th century, because the courts must feed the people. But there were various thought to protect environment in civil level. Most of them were related to folk religion and the theory of wind and water(fengshui).
    (Subject 5 ) There were many institutions for sacrificial rites and religion at urban area in Ming Qing time. The temple for City God and Confucious were established every city area, Fu, Zhou, Xian. Various actions were took place in the temple for City God by local magistrate and gentry. The local magistrate gave offerings to City God twice in every month. And the meetings between local magistrate and gentry were also held at the temple for City God. People also enjoyed their festivals the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명청 시대가 전통사회의 절정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시대의 특성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분야는 사회와 경제방면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인식에 따라 본 연구팀이 설정한 연구주제는 "명청 시대의 도시화, 지역개발 그리고 환경문제"이다. 현재까지 개별 주제 면에서는 충실한 연구 성과가 쌓였지만 각 주제가 명청 사회의 전체적인 맥락과, 또 인접한 주제들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소홀히 취급하였다. 이런 필요성을 인식한 본 연구팀은 명청 시대의 도시화, 지역개발, 환경 문제라는, 명청 시대의 사회변화를 거시적인 안목에서 추적하는데 필수적이라 할만한 주제들을, 상호유기적인 입장에서 연구하였다.
    우선 명청 시대의 지배층인 신사층의 사회경제적 역할, 명말청초 동란기의 활동, 청조 입관이후의 활동을 사회변화와 관련시켜 연구하였다. 이들은 특수한 시기 예컨대 동란기에는 자위활동, 청의 입관 이후에는 청조와의 타협과 협력, 저항이라는 비일상적인 활동에 치중하였다. 그러나 평상시의 대부분은 일상적인 활동 즉 수리시설의 유지와 보수, 공공토목 사업 등에 참여하면서 지역개발의 주도자로서 활동하였다. 본 주제에서는 이들의 활동은 본 연구의 또 다른 주제인 호광개발이나, 도시사회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추적하였다.
    인구는 명청 시대의 사회변화를 촉진한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이다. 청대 후반기는 인구폭발이라 칭할 정도로 인구가 급속히 늘어난 시기였다. 늘어난 인구를 부양하기 위한 식량의 증산, 농업기술의 발전, 경지확대 등의 조치가 취해졌다. 본 주제에서는 기왕에 연구된 이런 측면의 성과들을 흡수하되 지금까지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던 명청 시대 인구론을 정리하고 그 계통을 추적하였다. 인구문제에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었던 명대의 인구론은 사회론, 국가론, 제왕론, 거주지 입적제, 징세론 등과 연결된 다양한 관점에서 전개되었고 과잉인구 우환론은 다양한 인구론적 관점의 하나에 불과했다. 더구나 명대의 과잉인구 우환론은 맹아적 형태에 머물렀다. 그러나 청대에 인구가 팽창하면서 이전 시대의 다양한 인구론은 소멸하고 오직 과잉인구 우환론만이 더욱 정교해지면서 지식인들 사이에서 주장되고 유포되었다.
    인구 문제와 관련된 또 다른 주제는 도시문제이다. 인구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명중기 이후 전국적으로 대규모의 인구이동이 발생하고 그 과정에서 도시로의 인구유입 현상 또한 두드러졌다. 도시인구의 증가는 도시사회에 큰 변화를 초래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변화된 형태와 시설, 도시주민의 규모, 이동과 구성양상을 정리하고 특히 회관과 공소에 주목하여 주민들의 조직화문제와 선회 선당의 활동에 주목하여 사회사업분야를 중심으로 명청 시대 도시사회의 변화양상을 집중적으로 추적하였다.
    호광개발 역시 명청 시대 사회변화의 큰 흐름 속에 위치 지워지며 신사층, 인구, 도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와도 연관되어 있다. 본 주제에서는 명청 시대의 江漢平原, 洞庭平原의 개발은 물론 산간지역 개발과정을 추적하였다. 그런 후 개발의 결과로 증산된 미곡, 잡량, 면화, 차의 유통 상황을 검토하였다. 종래 '호광숙 천하족'이라는 속언은 명중기 이후부터 청대 건륭연간까지의 상황을 나타낸 것이라는 견해가 많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호광의 개발양상을 추적한 결과 건륭연간이후에는 산간지역의 개발이 착실하게 전개되어 잡곡 재배가 확대되면서 청말에도 여전히 호광미 특히 호남미가 유출되었음을 밝혔다.
    인구, 도시, 개발과 관련하여 최종적으로 제기되는 문제가 바로 환경문제이다. 환경사 분야에 대한 관심자체가 일천한 국내의 연구풍토에서 본 연구는 그 자체로서도 충분한 의의와 필요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발달로 야기되는 환경문제, 개발과 농업발달로 인한 환경문제, 기후와 환경문제 등 환경사와 관련한 다양한 분야를 검토하였다. 그러면서도 특히 환경인식과 환경보호 문제를 추적한 결과 이 문제들이 결국은 치안과 민생문제로 환원되어 버리는 중국적 특성을 추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팀의 연구과제인 "명청시대 도시화, 지역개발, 그리고 환경문제"는 인문사회분야의 기초연구이다. 사회적 기여도 측면에서는 기본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도시화, 개발, 환경문제에 대한 풍부한 시사를 줄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15세기 이래 20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추진된 중국의 도시화, 지역개발이 결국에는 환경문제로 귀착되어 황사로 대표되는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우리사회에서 추진되는 도시화와 지역개발 역시 환경문제로 귀착되고 있는 추세임이다. 명청 시대의 도시화, 지역개발 양상과 환경문제를 탐구한 본 연구 성과는 우리사회가 당면한 동일한 사안에 대한 문제 제기와 해결책 제시라는 역할을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또한 교육과의 연계 활용 측면에서도 유용하다. 본 연구결과물은 단행본으로 출판한다면 대학에서 중국 역사 강의교재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사, 도시사에 관심을 가진 전문가나 교양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에 필자들은 본 연구의 결과를 "명청시대사회경제사"(이산출판사, 2007)라는 단행본에 담아 출간하였다.
  • 색인어
  • 명청시대, 신사, 동란기, 명말청초, 자위, 사대부, 신상, 인구, 인구론, 인구증가, 성내이동, 성외이동, 자연, 환경, 지역개발, 홍수, 가뭄, 회관, 호남, 호북, 지주, 전호, 수리시설, 완제, 제방, 도시, 농업, 기후, 한족, 소수민족, 평원개발, 조직화, 항쟁, 사회사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