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322&local_id=10017480
정보화시대 지식질서의 구조변동과 국제정치적 영향: 지구-동아시아-국내 차원의 복합적 변환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정보화시대 지식질서의 구조변동과 국제정치적 영향: 지구-동아시아-국내 차원의 복합적 변환 | 2006 년 | 김상배(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16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12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식질서란 무엇인가 지식질서란 지식의 생산과 유통 및 소비가 일정하게 조직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상태로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식질서는 지식의 생산과 유통 및 소비를 둘러싸고 작동하는 정치적 권위의 구조와 밀접히 연관된다. 이러한 지식질서는 유사 이래 존재해 왔으며, 중세와 근대를 거쳐서 최근의 정보화를 계기로 하여 더욱 더 교묘한 형태의 권력을 발휘하면서 세계정치의 전면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질서의 개념은 지식과 권력의 문제를 국제정치학적 의제의 가시적 구도 안으로 편입시킬 뿐만 아니라 지식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21세기 세계정치의 동학을 살펴보는 준거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지식질서라는 개념이 기존 국제정치학계에는 다소 생소하게 들릴 수도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특히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그룹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구하면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지식질서란 무엇이고, 그 구성요소는 무엇이며, 또한 이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를 탐구하였다. 둘째, 지식질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서 서로 엮이면서 구조를 형성하고 작동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셋째,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이 군사, 안보, 경제, 문화, 정치 등과 같은 세계질서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끝으로, 지식의 세계정치는 동아시아에서 어떻게 발현되며, 글로벌 차원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이 동아시아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에 대해 동아시아 국가들은 어떠한 대응 양상을 보이는가를 탐구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보화로 대변되는 글로벌 지식질서의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구조변동을 겪고 있는 동아시아의 지식질서의 관념(ideas), 이익(interests), 제도(institutions) 측면을 동아시아 각국의 대응전략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정보화시대 동아시아 지식질서의 구조변동과 그 국제정치적 영향을 좀 더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본 프로젝트는 크게 세 개의 주제그룹으로 세분하여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첫 번째 그룹은 동아시아 지식질서 자체의 구조변동을 다루었다. 특히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세 가지 지식의 개념적 층위별로 나누어 i) 기술지식의 질서, ii) 과학지식의 질서, iii) 이념지식의 질서 등의 세 범주를 선정하였다. 두 번째 그룹은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이 동아시아 국제질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 특히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각 분야별로 발생하는 구조변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국제정치의 제 분야별로 나누어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이 i) 군사질서, ii) 안보질서, iii) 정치질서, iv) 무역․ 금융질서, vi) 문화질서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세 번째 그룹에서는 계량적인 데이터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지식질서의 모습을 정보 인프라, 인적자원, 지식자원, 메타지식의 네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시도하는 본 연구 프로젝트의 의의는 20세기 후반 이래 진행되고 있는 근대 국제정치의 변화에 대한 이론연구를 지식이라는 구체적인 변수의 추가를 통해서 발전시키는 데 있을 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이론화의 작업이 안고 있는 자기한계를 구체적인 경험적 사례연구를 통해서 보완한다는 데에서도 발견된다.
  • 영문
  • What is "knowledge order" Simply speaking, knowledge order means organized arrangements or patterns of producing, circulating and consuming knowledge. Knowledge order as understood in this way is closed related to the existing structure of political authority operating to produce, circulate, and consume knowledge in global politics. This kind of knowledge order has been existed since the human history began, and evolved through the medieval and modern times to the so-called information age of our time. Obviously the concept of knowledge order is a barometer to help us understand the dynamics of global politics driven b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other related social transformation.
    This project explores the conceptual and empirical aspects of knowledge order, which are still brand-new them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specially focuses on the following five groups of research questions. First, this project explores what knowledge order is, what elements constitute the order, and how the order should be measured. Second, it explores how the order transforms in a structural sense, and in what mechanism the knowledge order consequently produces a new structure of global order in the information age. Third, the transformation in knowledge order affects that in global politics in general, such as military, security, political, economy, and cultural arenas. Finally, it explores how the global politics of knowledge is reflected in the East Asia region, and how East Asian countries are coping with the above challenges.
    Having these research questions in mind, this project examines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East Asian knowledge order from the perspective of triadic variables -- i.e., ideas, interests, and institution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ree groups of empirical and conceptual topics. The first group of topics deal with the East Asian knowledge order per se -- especially three aspects of i) technological knowledge order, ii) scientific knowledge order, and iii) ideological knowledge order. The second group examines the impacts of knowledge order on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 in a broader sense -- i.e., military, security, political, economic(trade and finance), cultural arenas. The final group of topics collects and interprets quantitative data concerning the knowledge order at the global as well as East Asian level. It particularly looks at four layers of knowledge order -- i) information infrastructure, ii) human resources, iii) knowledge researches, and iv) meta-knowledge(knowledge imposes order on substantial knowled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발생하고 있는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을 역사적․이론적․경험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이 군사, 안보, 경제, 문화, 정치 등 세계정치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국제정치학의 시각에서 탐구하였다. 본 연구가 주목한 것은 지구-동아시아-한반도의 세 가지 차원에서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이 야기하는 세계정치적 동학이었다. 특히 이러한 탐구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분석적 우선성을 부여받은 것은 동아시아라는 지역공간의 수준이었다. 다시 말해 본 연구의 궁극적인 관심사는 지구 차원에서 벌어지고 있는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이 동아시아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에 대해 동아시아 국가(특히 한국)들은 어떠한 대응 양상을 보이는가를 밝히는 것이었다.
    지식질서의 세계정치를 탐구함에 있어서 굳이 동아시아라는 독자적 지역공간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에는 소위 지식강국론의 여세를 몰아 한국이 나서서 동아시아 지역의 IT협력을 주도하자는 논의도 한창 피어오르고 있다. 아울러 동아시아가 역사적․문화적으로 지니고 있는 유사성을 충분히 활용하여 동아시아에 지역공동체를 구축하자는 구상도 싹을 틔우고 있다. 지식과 문화 분야의 협력을 통해 교착상태에 빠진 안보 분야 지역갈등의 구도를 해소하고 동아시아의 경제적 발전과 번영을 도모할 계기를 마련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최근 IT와 대중문화 분야에서 동아시아 국가들이 이룩한 성과와 잠재력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에 깔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논의는 미국 주도의 지구화와 정보화에 대한 대항담론의 성격도 강하게 띠고 있다. 빠른 변화와 치열한 경쟁을 속성으로 하는 지식과 문화 분야에서 동아시아 국가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일국 단위의 개별 대응을 넘어서 다자적 연합전선을 구축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담론이 실질적인 힘을 얻어 동아시아의 지식력을 고양하고 독자적인 지식질서를 형성하는 데 성공할 경우 이는 21세기 세계질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한국의 지식강국화와 동아시아의 지식질서에 대한 기대는 20세기 후반 이래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을 그 배경에 깔고 있다. 다시 말해 21세기 지식강국의 꿈은 정보화로 대변되는 새로운 조류에 대응하려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지식전략이 부분적으로 실현된 결과이다. 실제로 지난 수백 년 동안 근대 국제질서의 물적․지적 토대를 제공한 근대 지식질서는 최근 들어 여러 가지 측면에서 구조변동의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요컨대 21세기 지식강국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글로벌 지식질서의 실체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이 글로벌 질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염두에 두고 본 연구는 지식질서가 무엇인가라는 개념적 연구에서부터 시작하여, 지식질서의 구성요소는 무엇이며, 또한 이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를 탐구하였다. 또한 지식질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서 서로 엮이면서 구조를 형성하고 작동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이 군사, 안보, 경제, 문화, 정치 등과 같은 세계질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밝히고자 했던 것은 정보화시대를 맞는 지구-동아시아-한반도의 다층적 복합변환의 와중에 동아시아 지식질서가 어떻게 구성되며, 이러한 지식질서의 구조변동이 동아시아 질서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정보화시대 동아시아 지식질서의 구조변동과 국제정치적 영향을 탐구하는 본 연구는 지구-동아시아-한반도의 복합적 수준에서 구조변동을 겪고 있는 지식질서를 정량적, 정성적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분포분석, 흐름분석, 축적량분석, 내용분석 등의 네 가지 분석방법을 통해서 연구의 대상이 되는 지식질서 층위의 성격을 입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먼저 정량적 차원에서 본 연구의 <제3부 정보화시대 지식질서의 계량적 이해>에 수록된 공동연구팀의 작업, 제10장 "정보화시대 지식질서의 계량적 이해"는 상대적으로 계량적인 방법을 통해서 파악될 수 있는 지식질서의 층위를 그려보았다. 특히 분포분석, 흐름분석, 축적량분석으로 파악되는 정보 인프라, 인적자원, 지식자원, 메타지식의 네 가지 차원에서 수집 가능한 데이터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해석 작업을 펼쳤다. 이밖에 본 연구의 <제1부 동아시아 지식질서의 구조변동>과 <제2부 동아시아 지식질서의 세계정치적 영향>에 수록된 장들은 주로 내용분석의 방법에 의거하여 질적인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동아시아 지식질서의 각 측면과 이것이 지역질서 전반에 미친 영향에 대한 총 8개의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실천적 차원뿐만 아니라 학문적 담론의 활성화 및 교육적 차원에서 복합적인 기대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식 변수는 근대 이래 국제정치사의 저변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기존의 국제정치 연구들도 지식 변수를 직접적으로 강조하지만 않았을 뿐이지 간접적으로는 다루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정치군사와 정치경제 연구의 일부로 이루어진 기존의 연구가 지식 변수를 여타 변수에 대해서 종속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취급할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지식과 지식질서에 대한 국제정치학계의 기존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러한 작업을 시도하는 본 연구의 의의는 20세기 후반 이래 진행되고 있는 근대 국제정치의 변화에 대한 이론연구를 지식이라는 구체적인 변수의 추가를 통해서 발전시키는 데 있을 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이론화의 작업이 안고 있는 자기한계를 구체적인 경험적 사례연구를 통해서 보완한다는 데에서도 발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학문적 담론을 크게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21세기를 맞이하여 급변하고 있는 세계질서의 실체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후속적인 이론연구를 활성화시킬 것이다. 특히 미국이 주도하는 21세기 세계질서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킬 것이다. 현재 미국은 테러와 이라크사태, 점차 강화되고 있는 경제 분야의 반세계화, 그리고 문화 분야의 대항담론에 대항하기 위해서 첨단 기술과 지식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기술과 지식에 기반을 두어 군사, 안보, 정치, 무역, 금융, 문화 등에 관한 다양한 전략을 변화시켜 나가고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동아시아 연구 차원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지구화․정보화의 영향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질서 및 각국의 국내체제 변화를 거시적․미시적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지식의 세계정치 부상에 대응하는 동아시아 차원에서의 비교적 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별국가 차원의 경험연구에 치중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동아시아 지역연구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정보화시대 한국의 향후 대응전략을 전반적으로 검토하는 정책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한국 학계는 한반도 문제에 대한 정보의 수집과 이를 바탕으로 한 미래전략의 수립에서 매우 미흡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프로젝트는 정보화시대 세계정치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함으로써, 정보와 지식의 수집 및 생산, 지식에 기반을 둔 해결방안의 마련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정보화 정보혁명 동아시아 지식질서 기술 과학 정보 구조변동 국제정치 국가전략 지식권력 정보기술 군사질서 안보질서 정치질서 무역질서 금융질서 문화질서 informatization, information revolution, East Asia, knowledge order, technology, science, information, structural transformation, international politics. national strategy, knowledge power, information technology, military order, security order, political order, trade order, financial order, cultural order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