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330&local_id=10021271
축제콘텐츠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법론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축제콘텐츠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법론 연구 | 2006 년 | 박지선(인하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64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축제를 활용한 문화교육방법론 연구>는 점차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요구에 맞춰 교육의 방법을 다양화하고, 인터렉티비티가 이루어지는 새로운 문화교육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축제, 콘텐츠, 문화, 문화예술, 교육, 교육방법, 기획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진행된 이 연구는 수용자중심의 인간성찰과 자기실현 및 표현이라는 교육의 궁국적 목적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1년차 연구내용은 지역민 및 학생들에게 지역 정체성을 함양하기 위한 학교 및 사회교육 차원에서의 ‘지역학습’을 통한 교육적 활용 방법 모색으로서 축제 문화콘텐츠 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와 축제 문화콘텐츠에 대한 특징과 그 소통구조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1년차 연구는 1단계: 문화교육, 축제, 콘텐츠 이론에 대한 연구, 2단계: 국내․외 축제콘텐츠의 유형 및 가치분류, 3단계: 축제콘텐츠의 문화가치 포지셔닝의 3단계과정으로 이루어졌다.
    2년차 연구는 문화교육 영역 중 축제콘텐츠와의 연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예를 들어 사회과에서의 문화교육은 지역문화교육, 다문화교육, 전통문화교육, 환경교육, 정치․경제 교육으로 이루어지는데, 제7차 교육과정 중등학교의 문화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축제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방법을 제시한다. 더불어 한국의 사회과 교육뿐만 아니라 프랑스의 사회과 교육도 살펴봄으로써 양국의 사회교육을 비교분석해보고, 교육방법의 차이를 밝혀내고 이를 참고하여 문화교육의 방법론에 적용시켰다. 또한, 기호문체론을 활용한 문화리터러시 방법론 구축을 통해 문화콘텐츠들을 깊이 이해하고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3년차 연구에서는 기호문체론을 사용한 리터러시 방법론을 사용하여 문화기호들의 연쇄적 조합의 결과물인 콘텐츠들이 구축하는 축제의 정체성 진단과 축제의 미시콘텐츠를 분석하였다. 교육 콘텐츠 기획․개발은 축제 현장 혹은 문화공간, 교육적 기능의 테마파크를 탐방하여 기획 프로세스의 응용 가능성을 진단하여 콘텐츠의 컨셉을 설계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것이다. 따라서 축제콘텐츠의 경제적․산업적 가치에 대한 접근은 지양하고 교육적 가치를 창출하는 콘텐츠 개발에 기호문체론적 문화교육 기획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 영문
  • Edutainment is a form of entertainment designed to educate as well as to amuse. Edutainment typically seeks to instruct or socialize its audience by embedding lessons in some familiar form of entertainment: festival, television programs, computer and video games, films, music, web site, multimedia software, etc.
    A festival is an event, usually staged by a local community, which centers on some unique aspect of that community.
    Festivals, of many types, serve to meet specific social needs and duties, as well as to provide entertainment. These times of celebration offer a sense of belonging for religious, social, or geographical groups. Modern festivals that focus on cultural or ethnic topics seek to inform members of their traditions.
    There are numerous types of festivals in the world. Though many have religious origins, others involve seasonal change or have some cultural significance. Also certain institutions celebrate their own festival to mark some significant occasions in their history.
    It is necessary to network with school and local communit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for revitalization of the regional festival as a edutainment.
    In order to realize new ideal human being, the paradigm of educational academic world is getting changed. In other words, the goal of cultural education is to develop extensive ability not only related to comprehension but also related to analysis and production. This ability can be explained in the form of cultural literacy.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the semiostylistic's viewpoint to cultural literacy and to find a new methodologie in the filed of cultural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축제콘텐츠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법론 연구”의 배경은 문화가 정치․경제․사회적으로 21세기를 이끌어갈 주요한 패러다임으로 주목받음에도 불구하고 급변하는 시대적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는 한국문화교육의 생산적 발전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의지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한 이 연구의 목적을 다음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축제 콘텐츠를 구성하는 다양한 미시구조를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축제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규정함으로서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 차원에서의 문화교육의 실천 범위를 확장한다.
    둘째, 문화기호학과 문체론을 융합한 기호문체론적 방법을 이용하여 보다 체계적인 분석으로 문화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문화리터러시 방법론을 개발한다.
    셋째, 새로운 문화리터러시 방법론을 활용하여 문화교육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연구는 문화교육을 위한 문화리터러시 방법론과 교육 프로세스 개발로서 미시구조의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는 문화기호학과 문체론의 이론을 적용한 기호문체론적 방법을 통해 축제콘텐츠를 진단하고 문화교육을 연동하였다. 문화학에서부터 기호학, 문체론, 교육학으로 이어지는 학문융합을 통한 실천적 학문연구인 것이다.
    학교교육에서부터 사회교육까지 아우를 수 있는 문화자원이자 교육자원인 지역축제들을 활용하여 역동적이고 참여적으로 문화교육을 확장하고 실천하기 위한 방법론과 그 구현방안 연구가 이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축제가 제공하는 문화교육 내용의 다양성은 특정 교과 위주의 학습에서 벗어나 통합형 교육을 구현함으로써 지식의 구성을 보다 창의적이고 역동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축제는 형식화되어있지 않은 학습의 장이다. 주로 현장에서 체험학습이 가능한 축제의 핸즈-온 방식은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학교를 벗어나 지역축제 참여를 준비하거나 기획하면서 자기 성찰적 학습과 함께 협동학습도 가능하다. 이들은 모두 학교안의 정적인 교육과는 반대로 실제적 성격의 과제가 부여하는 현장학습이 된다. 또한 교수자는 권위자로서가 아닌 학습을 촉진하는 촉진자로서 학습의 주체는 학생이 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축제콘텐츠를 활용한 문화교육을 위해 적절한 축제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축제와 같은 다양한 문화콘텐츠 활용을 위한 학습이론, 교육과정 조직 방식, 교육 방법 및 각각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문화교육의 방식을 체험형과 통합형 교육의 개념을 중심으로 에듀테인먼트, 문화교육, 문화예술교육 등과 비교하였다.
    1) 학교교육의 교과과정, 교수법 개발 및 교과 교재 개발에 활용
    2) 인터렉티브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제작으로 연결
    3) 문화관련학과들의 커리큘럼 구성 및 교육과정에 활용
    4) 사회교육영역에서 문화교육의 확대
  • 색인어
  • 축제, 문화교육, 문화예술교육, 문화콘텐츠, 기획, 스토리텔링, 교육방법, 통합형 교육, 테마파크, 기호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