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335&local_id=10018829
반성적 사고 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실제적 맥락 안에서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반성적 사고 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실제적 맥락 안에서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중심으로- | 2006 년 | 조덕주(건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11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12월 1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현행 교육실습 체제가 지니는 현실적 제약 안에서 반성을 통해 자신의 교수행위를 스스로 개선시켜 나가는 교사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며, 효과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그 기초 연구로서 다음 두 가지 연구문제를 살펴 보고자 한 것이다. 두 가지 연구 문제는 각기 하나의 독립연구로 행해졌으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서는 이론 중심적이고 지식평가 중심적인 우리나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하여 현장 중심적이며 반성적 실천성에 초점을 둔 것으로 잘 알여진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와 캐나다의 퀸즈대학교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이 때 분석의 요소는 크게 두가지 범주로 나뉜다, 먼저 현장 중심성의 확인을 위해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교육목적과 교육내용, 그리고 전체적 수성을 살펴 보았고, 반성적 실천성의 확인을 위해 프로그램의 실제적 운영 양상, 즉 교사교육 담당자들 간이 협력관계와 학생 평가 방식을 살펴 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우리 나라 교사교육의 변화 방향에 시사점을 준다. 대표적이 것으로 먼저 예비교사들의 현장실습 기간을 늘리되, 이 기간을 현장 실습에 대한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적절히 구조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때 교사교육의 목적으로 '반성적 실천인'을 들 수 있다. 또한 대학과 협력 학교의 교사교육 담당자 들간의 명확한 역할 분담과 함께 이들간의 상호작용이 적극 유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협력 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또 현장 중심성이 강조된 교육 내용과 교사의 실무 능력의 배양 및 바넝적 실천인으로서의 강조는 우리나라 교사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 적절하게 제안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둘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사교육의 문제점이 실제보다는 이론중심, 현장보다는 교사교육기관 중심의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있다는 진단과 함께, 이러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한 방향으로 '반성적 실천인'으로 양성해 내야 한다는 의견이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실천적 경험에 대해 수준 높은 반성을 할 수 있도록 훈련시켜야 한다는 지향점을 가지고 시작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예비교사들이 현장 실습 중 자신의 실습 경험에 대해 기록한 저널을 통하여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이 현장에서의 실제적 경험과 관련된 반성의 수준과 구체적 내용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시도하였다. 28명의 실습생에게 4주간의 중등학교 실습 기간 동안 교실에서의 경험에 대한 저널을 기술하도록 한 후, Hatton과 Smith의 모형을 수정한 6단계 모형에 의해 저널의 반성적 수준ㅇ르 평가하고, Bain의 모형을 활용한 분석틀에 의해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저널 검토의 결과, 전체 실습생의 약 40%가 가장 낮은 1단계에 머물렀고 3단계를 넘지 못한 실습생이 전체의 약 80%에 달하였다. 실습생들이 저널을 통해 보여준 가장 빈번한 고민거리는 '자기 자신'(43.9%)에 관련된 것이었고 그 다음이 '수업'(29.3%)이었다. 흥미로운 결과는 실습생들이 수업에 관심을 기울일 수록 보다 높은 수준의 반성적 사고를 보여주는 반면, 자기자신에게 관심의 초점을 둘 수록 낮은 수준의 반성적 사고를 드러낸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교육자가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현 수준과 관심사항에 대한 이해를 고려하여 지도 전략을 강구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해 준다고 하겠다.
  • 영문

  • A Study on Field-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flective Practices at Oxford University, U. K. and Queens University, Canada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in detail two well-know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t Oxford University in UK and Queens University in Canada, as a way to find some realistic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which is usually criticized as theory-oriented and knowledge test-directed. The category of the analysis is two-folded. One is the overall structures of the programs, including their educational purpose and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m is expected to reveal how well the programs are designed in terms of their relevance to the school demands and concerns. The other is the ways the programs are run, i. e., the roles of and relations among teacher educators and school teachers; the analysis of them is expected to show how well they are operating in terms of their effectiveness in encouraging student teachers to be more reflective upon their field experiences.
    This examination brings to us a few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Korea. One is, among others, that, while extending the period of practicum, we should be able to structure student teachers' field experience under the clearly set-up purpose of teacher education, such as "reflective practitioners." Another is that we need to develop a clear idea about the role division between teacher educators and school teachers as well as to encourage both the partie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educating student teacher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Practical Experiences during the Practic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and how Korean student teachers reflect on their practical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classroom environments in order to find concrete and effective ways for teacher educators to promote their student teachers' practical reflection. What underlies this study is the idea of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Schon's "reflective practitioner," according to which the practical competency required for would-be teachers can be best fostered through their reflection on their own teaching experiences during the practicum.
    For this study, twenty eight student-teachers were asked to write journals about their experiences while they were placed in secondary schools for 4 week-practicum. And their journals were assessed in terms of the levels of reflection as well as of the contents of reflection. The levels of reflection were assessed by the six-level model, which was modified from the Hatton and Smith's model. The contents of journals were also analyzed by a framework, which was modified from Bain's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he levels of reflection, about 80% of the student teachers reached up to only the lower three levels and among them about 40% remained the lowest level. The remaining 20% were spread from the 4th level to the 6th level. As for the contents of reflection, the subject that students were most concerned with in their reflection was "themselves"(43.9%) and then "teaching"(29.3%); all other topics were relatively the low concerns of the student teachers.
    As a conclusion, we can see, the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teaching" tended to reach the higher level of reflection, while those who were concerned with "themselves" tended to remain the lower level of reflection. This implies that teacher educators should develop different teaching strategies to promote student teachers' practical reflection in accordance to the student teachers' levels and concerns of refle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점차 주목받고 있는 '반성적 실천인'을 육성하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며 효과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두 가지 기초연구에 집중하고자 한다. 첫째는 지난 20여년 동안 꾸준히 개발되고 시행되어 온 외국의 대표적이고 성공적인 교사교육제도와 프로그래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우리의 맥락에 맞는 성공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학교 현장과 교사들의 특성을 잘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행착오를 거치며 교사교육에 대한 나름대로의 시제적 지식을 상당히 축적해 온 다른 나라의 제도와 프로그램의 전략과 그 장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는 우리나라 예비교의 반성적 사고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다. 유능한 교사나 성공적인 예비교사는 이미 자신의 실천에 대해 능동적으로 반성하는 것으로 가정되지만 우리나라의 맥락에서 이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반성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자료는 거의 없다. 그리고 자신의 교수활동에 대해 반성한다고 할지라도 모든 반성이 성공적 교수활동을 돕는데에 공헌하는 것도 아니다. 교사교육에서 모델로 삼아야 할 '반성적 실천인'이 거치는 반성적 사고의 과정이 어떤 것이고 그것의 특징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은 무수히 많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나라 예비교사나 교사에게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을 그렇게 이끌기 위해 교육실습을 어떻게 구조화해야 하는지를 알기 위해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의 수준을 파악하는 일은 필요하고도 중요한 일이다.
    첫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반성적 교사교육을 성공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영국 옥스포드대학과 캐나다의 퀸즈 대학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문헌연구와 방문 심층면담을 행하였으며, 두번째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문헌 연구와 함께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과정 중 저널을 수집하여 반성의 수준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대학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우리의 교육실습과정 구조화에 시사를 주고 있으며, 목적 지향적인 현장 중심 교육을 실시하려면 교사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며, 실제로 어떠한 현실 개혁적 주제를 교육내용으로 삼고 있는지 또한 대학과 실습학교 간의 역할 분담은 어떻게 해야하고 상호작용을 어떻게 이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둘째 연구 과제의 연구 결과, 연구 대상이었던 예비교사들의 약 80%가 낮은 반성의 단계에 머무르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전체 연구대상의 약 40%가 가장 낮은 단계인 기술적 작문 수준에 있었고 이들의 반 이상이 주로 '자기 자신'에 대한 느낌에 대한 기술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한편 이전의 자신의 글쓰기 타잎으로 인하여 높은 반성의 단계에 이르지 못하는 학생들도 있었는데 이들은 위해서 글쓰기 습관과 반성의 습관을 재조정할 수 있는 별도의 교수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반성의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반성의 초점이 하나 이상인 경우가 많았으며 상당히 높은 수준의 반성에 도달한 상위 20%의 학생들은 교사교육자의 특별한 안내나 지도없이 이 단계에 도달한 학생이지만 반성으로부터 자기 계발을 지속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 장기간의 교육실습 실시
    - 목적 지향적 현장 중심 교육 필요
    - 현실 중심적 현실 개혁적 교육내용 운영
    - 대학과 실습학교간의 협력체제 구축 및 상호작용
    - 현재 대부분의 예비교사가 낮은 수준의 반성 단계에 머무름
    - 반성의 내용도 대체로 자기 자신의 느낌에 대한 내용임

    활용방안
    - 장기간의 교육실습 구성시 체계, 내용, 운영에 있어 주요 시사점 제공
    - 반성적 실천인이란 전문성 함양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시 주요 기초 자료로 활용
  • 색인어
  • 반성적 실천인, 교육실습, 저널쓰기, 반성의 수준, 반성의 내용, 현장중심교사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