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434&local_id=10023413
꿈, 작품, 증상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정신분석학 및 철학적 해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꿈, 작품, 증상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정신분석학 및 철학적 해석 | 2006 년 | 이창재(광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53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2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꿈은 ‘외현몽, 잠재몽, 꿈작업’의 세 요소로 구성된다. 외현몽은 의식이 기억하는 ‘꿈’을 지칭하며, 잠재몽은 꿈의 본래 의미인 꿈사고와 꿈소망을 지칭한다. 그리고 꿈작업은 잠재몽을 의식이 그 본래 의미를 알지 못하게 외현몽으로 변형시키는 활동이다. 프로이드는 이 세 요소 중에서 꿈의 본질은 ‘꿈작업’에 있다고 강조한다.
    꿈작업에는 무의식의 꿈소망과 전의식의 꿈사고를 비합리적 기호로 변장시키는 무의식의 고유한 사고형식들이 담겨있다. 이 ‘무의식의 형식’들을 숙지하여 외현몽을 꿈작업이 작동되기 이전 상태인 잠재몽으로 되돌리는 것이 꿈해석 핵심이라 보는 것이 소위 프로이드를 비롯한 전통 꿈해석 관점이다.
    필자는 ‘꿈작업’에 주목하여 ‘자유연상’을 통해 꿈의 잠재의미를 추적하는 입장을 3원구조론이라 칭한다.
    이에 대해 현대정신분석학계는 프로이드가 ‘꿈작업’의 역할을 과도하게 강조했다는 의견이 주목받고 있다. 융과 코헛은 ‘자기’가 취약한 성격 장애자나 정신증자의 경우, 잠재몽의 의미가 꿈작업에 의해 크게 변형됨 없이 외현몽에 직접적 이미지로 드러난다고 본다. 필자는 ‘꿈작업’의 비중이 적고 잠재몽이 외현몽에 직접적으로 드러난 꿈유형에 주목하는 입장을 2원구조론이라 칭한다.
    이 관점은 임상에서 외현몽의 배후에 감춰진 ‘무의식적 의미’를 해독하는 것보다, 외현몽에서 몽자의 현재 정신균형 상태를 곧바로 진단하는 것에 관심을 쏟는다. 2원구조 관점에서 보면 꿈의 본질은 꿈작업이 아니며, 잠재몽도 아니다. 자아와 ‘자기’의 현재 (결함) 상태를 상징이미지로 드러내어 보충하라고 알려주는 진단 매체로 ‘외현몽’의 가치가 주목받는다.
    신경증 꿈에 주목한 프로이드의 3원구조론과 ‘자기(애) 장애’에 초점을 맞춘 자기심리학의 2원구조론은 관심영역이 각자 다르기에 모순 관계이기 보다, 조화롭게 통합될 수 있다.

    ▸주제어 : 꿈의 구조. 3원구조, 2원구조, 꿈작업, 변장, ‘자기-상태’ 반영

    예술작품의 의미를 이해하려면 작품을 창조하는 정신과정과 정신 '원리'들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새로운 의미 ‧ 작품들은 이성의 규칙보다 비합리적 원리인 '은유 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A는 B다' 형식의 은유는 서로 다른 두 대상을 마치 같은 것인 양 착각시키는 은유적동일시에 의해 생성된다. 이 동일시는 두 대상에서 어떤 유사성 발견, 초점화, 무의식적 연결 ‧ 대체 작용이 결합되어야만 작동된다. 이런 은유는 '무의식의 원리'인 1차과정(압축, 전치, 상징이미지)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프로이드에 의하면 꿈과 예술작품은 본능의 1차과정과 자아의 2차과정이 혼합되어 생성된다. 예술작품의 생성과정이 꿈과 다른 점은, '꿈작업'에선 1차과정의 비중이 높은 데 비해 '작품화 작업'에선 2차과정인 '미적 형식화'(미적가공)에 많은 에너지가 투자된다. 그런데 정신분석의 기법을 차용한 초현실주의는 1차과정 원리 자체를 2차과정의 미적형식으로 사용하는 '낯설게 하기'(데페이즈망) 기법을 통해, '무의식의 원리' 자체가 예술작품 창조에 핵심원리임을 세상에 부각시킨다.
    주제어 ; 은유, 무의식의 원리(1차과정), 꿈작업, 작품화 작업, 미적형식

    3년차. 분노의 유형, 기원에 대한 정신분석적 해석
    분노에는 자기존재와 개성을 지키고 주장하게 돕는 건강한 힘의 양태도 있고, 자기ㆍ자아가 미성숙해 본눙욕동과 긴장을 통제하지 못한 채 부적절하게 분출하는 병리적 양태도 있다. 병리적 분노는 신경증, 성격장애(경계선), 정신증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신경증자의 분노는 주로 자신의 심신을 무기력하고 고통스럽게 만드는 과잉 죄책감과 자기처벌 양태를 나타낸다. 이에 비해 성격장애자의 분노(격노, 시기, 증오)는 타자를 파괴하면서도 이에 대한 당사자의 자각이나 죄책감이 미약하다. 그리고 자기와 대상 사이의 분별이 모호하고 '아버지의 이름'을 내면화하지 못한 정신증자의 분노는 자기와 타자 모두에게 무차별적으로 분출되며, 이것이 심각한 문제를 지닌다는 인식과 죄책감이 없다. 이 각기 다른 분노 유형들의 기원을 하나씩 심층 이해하게 되면, 병리적 분노가 어떤 원인과 정신기제에 의해 생성되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인간학적 전망을 지닐 수 있다.
    세 가지 병리적 분노 유형은 대부분 유년기에 주어진 고통체험과 유년기에 형성된 어떤 심리적 결함들(욕동발달장애, 자아ㆍ자기발달 장애, 과도한 죽음욕동, 원초불안, 시기, 비대한 초자아, 초자아 미형성)에 기인한다. 신경증은 아동기(오이디푸스기)에 원초적 욕구충족 태도를 금지하는 '아버지의 말씀'..
  • 영문
  • Psychoanalytical interpretation about the origins and meanings of dream
    Lee ChangJae (KwangWoon University)


    Dream is composed of three different parts: manifest-dream, latent-dream, and dream-work. The term manifest dream' means a dream that our consciousness remember after we wake up. The term 'latent dream' represents 'dream thought' and 'dream-wish', which are the intrinsic part of dream. And the 'dream-work' is the cor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latent dream' into 'extent dream'. According to Freud, the 'dream work' is the most essential part of all.
    Dreamwork consists of many unconscious formulas transforming inhibited wishes and preconscious thought into irrational symbols of the dream.
    The substance of the dream interpretation, according to Freud and the traditional dream interpretation theory, is restoring the 'manifest dream' to the 'latent dream' through inquiring into the principles of dream-works.
    Tracking the latent meaning through free association focusing on 'dream-work', is one of the popular way of research. To this I give the term of "triad structure theory" in this article. It was mainly used by Freud and his followers. However this perspective often encounters criticism for the excessive priority of the 'dream work'. In contrast to this perspective, Jung and Kohut focus on manifest dream content itself. In case of 'Narcistic personality disorder' and psychosis, their dream exhibit 'latent content' without much distortion, that is to say, our dream exhibit directly the state of Self with symbolic images. In this article, this perspective is termed 'dyad structure theory'.
    Incorporating these two perspectives is one of the main tasks in the contemporary psychoanalysis.

    ▸Key Words: structure of dream, ‘triad structure theory’, 'dyad structure theory‘ dream-work, transformation of latent content, reflection of Self-state


    A psychoanalytic Interpretation of the origins and the meanings of works of art: focusing on the Frued's Dreamwork and the arts of creation in Surrealism

    ChangJae Lee
    Research Fellow of Kwangwoon University

    An in-depth interpretation of dream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dreamwork'. Likewise,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ks of art, one need to know what the mental processes and the mental principles are, which create the work of art. New ideas and new works are generated through the irrational metaphor processes rather than through the rational orders. The metaphor, in the form of 'A is B', is made by the metaphorical identification which gives an illusion that the two different things are the same. This identification is operative only under the combination of discovering the similarity, focusing, linking, and substituting one for the other in an unconscious state. This metaphor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process':condensation, displacement, and symbolization, which are the mental principles of unconsciousness.
    According to Freud, both dreams and the works of art are produced through the combined process of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the former belongs to an instinct and the latter belongs to an ego.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process of creation in works of art and the one in dreams is the proportion of two processes. In 'dreamworks', the proportion of the primary process is rather higher. In other words, the proportion of the secondary process is, in general, higher than the primary one in the works of art. Surrealists, however, use the principles of the primary process itself as the aesthetic techniques, applying psychoanalytic methods to the paintings, which is called 'Defacement'. They prove that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art are the principles of unconsciousnes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꿈, 예술작품, 신경증 증상을 생성하는 정신 내부의 기제(mechnism)들과 무의식적 힘들에 대해, 프로이트의 관점과 개념을 토대 삼고, 프로이트 이후의 자아심리학, 클라인, 대상관계(페어베언, 위니컷), 자기심리학(코헛), 라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신분석 관점들을 두루 참조하여 연구하였다.

    꿈은 유년기에 향유하다가 어느 순간 금지되어 억압된 무의식적 소망들을 사춘기 이후에 다시 충족하려는 소망충족 동기를 비롯해, 유아기에 결핍된 '대상(엄마)'과의 관계 보충 욕구에 의해 추동된다. 그리고 꿈을 구체적으로 생성하는 원리들인 <꿈작업>(압축, 전치, 상징화)을 상세히 이해하면, 꿈의 의미에 대한 이해와 해석이 누구에게나 가능하다.
    꿈해석을 할 수 있기 위한 기본 조건은 '무의식'의 내용과 원리, 기능 등에 대한 기초 이해이며
    꿈해석을 하기 위한 핵심 조건은 '꿈작업 원리들'을 구체적인 꿈사례에 적용하면서 세세히 이해하는데 있다.

    2년차 주제인 "예술작품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정신분석적 해석"은 예술작품을 창조하는 예술가의 창조적 심리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이다. 작품 창조는 일차적으로 무의식의 내용물들(본능욕동, 상처, 내적 환상, 억압된 경험 흔적들..)이 무의식의 작동원리이자 1차정신과정 원리인 <압축, 전치>에 의해 본능역동적으로 일어난다. 그것에 후천적인 2차 정신과정인 자아의 검열과 2차가공 활동(미적 형식화)이 조화롭게 연합하여 작품이 생성된다.
    예술작품은 (꿈의 <꿈작업>에 해당하는) 정신 내부의 <작품화 작업>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 '작품화 작업'은 위에 언급한 1차과정인 <압축, 전치>와 2차과정인 <2차가공(미적 형식화)>이 조화롭게 연합되어 형성된다.
    이 작품화작업 원리들을 하나씩 세세히 연구하고, 초현실주의 작품을 비롯해 구체적인 예술작품 사례를 통해 집중 연구하면, 소위 예술작품 뿐만 아니라 문화 일반의 창조성이 어떻게 작동되며, 그것의 심층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심층인식을 얻을 수 있다.

    3년차 주제는 <증상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정신분석 및 철학적 해석>이다. 이 주제는 신경증 증상을 비롯하여, 현대 문화에서 크게 부각되고 있는 성격장애(경계선 성격, 자기애적 성격) 증상, 그리고 정신증 증상들이 발생하는 원인들과 구조, 원리들에 대한 탐구이다.
    신경증 증상은 주로 '엄마-유아'2자관계 속에 살다가 '엄마-아버지-아동' 사이의 3자관계를 맺어야 하는 과도기(전환기)인 아동기(오이디푸스기) 상황에서 겪게되는 일련의 고통스런 상처에 기인한다. (Freud)
    이에 비해 '분노, 공격성'과 연관된 병리로 일컬어지며, 사회적인 사건 사고의 주요 모델로 주목받는 경계선 성격장애, 자기애적 성격장애는 유아기(오이디푸스기 이전)에 '엄마-유아'사이에서의 '관계 결핍'에 주로 기인한다.
    그리고 '정신증'은 '아버지의 이름'(권위자의 힘)이 아이의 정신에 전혀 내면화되지 못한 데에 기인한다.
    이처럼 만성적인 고통을 유발하는 '증상'의 원인에는 유년기에 엄마 경험, 아버지 경험과 연관된 대상관계 요소와, 본능욕동들의 '과도만족/과도좌절'이 자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년차 연구주제는 "꿈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정신분석적 해석" 논문 속에 요약하였다. 이 논문은 꿈이 어떤 생리심리적 조건, 심리적 발생 구조, 심리적 내용들, 정신 <원리들>에 의해 생성되는지에 대해 프로이트를 토대로 현대정신분석학파의 여러 입장을 두루 검토하는 구체적 임상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뿐만 아니라, 꿈해석에 대한 전문가 자문을 해준 한국정신분석학회의 주요 임원들에게 전달되고 공유되어 정신과 의사 그룹과 소통하는데에 나름 기여 하였다.
    이 논문을 토대로 하여, 향후 <꿈해석과 정신분석>이라는 제목으로 국내 최초로 꿈해석 책 저술을 준비 중이다. 이미 이 주제연구에서 얻어진 연구내용들을 활용해, 일반인들과 상담사들에게 꿈해석 강좌를 실시하여, 수백편의 꿈해석 사례들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이다. 수년이내로, 내밀한 꿈해석 사례들을 일반인들이 공유할 수 있는 형태의 저술로 다듬어서, 학자들과 대중들이 주체적으로 자신의 꿈을 해석할 수 있게 안내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논문과 책의 독서 뿐만 아니라, 필자가 지난 몇년간 개척한 <꿈해석 강의>를 직접 수강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2년차 주제는 <예술작품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정신분석적 해석>이란 논문 속에 집약하였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토대로 예술작품의 심층의미를 해석하는 강좌를 일반인들에게 하였고, 꿈분석과 예술작품 분석을 함께 가르친 수강생들과 더불어 2010년 1월에 학지사에서 <예술작품과 정신분석>이라는 국내 최초의 정신분석적 작품해석 저서를 출판하였다. 예술작품이 어떻게 생성되는지, 예술작품에 예술가의 어떤 무의식이 반영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신분석적 의미해석 지식을 토대로, 향후 제2, 제3의 다양한 <예술작품에 대한 정신분석> 책을 저술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여러 학자들에게 전달하여, 한국의 학자들이 전 세계의 유명 예술작품과 예술가들의 내면세계를 심층이해할 수 있는 토대와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3년차 연구의 일부는 일차적으로 일반학술지인 <불교평론>에 <고통의 원인과 의미에 대한 정신분석과 불가 입장 비교>라는 제목으로 학술발표와 논문게제를 하였다. 그리고 등재 학술지인 <인간학 연구>에 <분노의 유형, 기원에 대한 정신분석적 해석>이라는 제목으로 논문 심사 중이다. (2010년 7월에 발간 예정)
    3년차 주제는 고통이 발생되는 심리적 원인들에 대한 탐구로 이어지는 광대한 주제이기에, 한 두 논문에 집약하기 어려운 면이 있어, 향후에도 계속 여러 파생 제목들로 계속 논문을 써나아갈 예정이다.

    증상의 다중 원인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아버지의 권위와 힘'이 성장기 아이에게 얼마나 긍정적으로 동일시되어 내면화되는가가 개인의 정신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는 것이 반복해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생후 2년간에 걸처 엄마와의 정서적 교류가 만병의 근원임도 확인되었다. 결국 인간은 엄마의 힘과 아버지의 힘을 얼마나 온전히 정신에 내면화햇느냐에 의해 정신의 건강/질병이 좌우되며, 나아가 '문화 환경의 힘'이 제3의 변수로 부각된다.
    위 연구 결과는 정신의 발달/병리성과 연관된 정신분석 치료 분야 뿐만 아니라, 국민의 정신성을 성장시키는 큰 틀을 계획하는데, 항시 고려해야할 정신적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정서발달과 창조성의 활성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모성적 에너지의 증대와, 인지발달과 상징적 소통능력을 응집시키고 통합하는데 뼈대가 되는 '이상적인 아버지 에너지'의 기능을 유념한 교육 문화 정책 입안에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발생학(genealogy), 정신분석, 무의식, 꿈-작품-증상의 기원, 소망충족, 대상관계 박탈, 대타자의 결여, 프로이트, 대상관계, 라깡, 신경증, 성격장애, 정신증, 아버지의 이름, 동일시, 내재화, 구조론, 발달론, 자아 방어기제, 자기, 정서발달 장애, 리비도 발달, 유년기, 유아성욕, 구강기, 항문기, 오이디푸스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전오이디푸스기, 편집분열자리, 꿈작업, 꿈구조, 2원구조, 3원구조, 꿈해석, 1차과정, 2차과정, 압축, 전치, 상징화, 퇴행, 발달, 작품화 작업, 미적 형식, 2차가공, 미화, 초현실주의, 병치, 은유, 환유, 유사성, 인접성, 창조성, 본능욕동, 자아검열, 정신분석적 의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