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486&local_id=10015808
대학생 학업활동 참여 촉진을 통한 대학의 수월성 제고 방안 : 한국과 미국대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대학생 학업활동 참여 촉진을 통한 대학의 수월성 제고 방안 : 한국과 미국대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 2006 년 | 김은경(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25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1월 1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선진국의 대학들은 학생들의 학업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학생지원활동(student affairs)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하고 발전시킴으로써 학문적 수월성을 이루어왔다. 본 연구는 미국의 학생지원활동의 역사적 발전과 현황을 조사하고,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대학생활경험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학의 학생지원활동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대학교육은 학생들의 인지적 측면의 발달에 치중해 왔으므로, 학생들의 균형있는 학습과 발달이 대학교육의 목적으로 강조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들의 인지적, 비인지적 측면의 발달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전문가 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지원활동에 관련된 지속적인 평가와 연구가 필요하다. 대학에서의 학생지원활동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체계화하는 것은 학생들이 학업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촉진하게 됨으로써 대학생들의 인지적, 비인지적 측면의 균형있는 학습과 발달을 이루도록 하며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이루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범국가적인 차원의 연구, 정책적 지원과 기관차원에서의 실질적인 노력이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 영문
  • There has been wide recognition that the student engagement continues to be of central issue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reviewed American student affairs organization and program, and compared student involvement in college activities and the perceptions of college environments between American and South Korean universities. Student involvement in personal experiences, student acquaintances, clubs and organizations, and reading/writing activities had comparatively different patterns when comparing U.S. and South Korean students.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demonstrates that a balance between social and academic engagement is important. American and Korean higher education professionals should continue to foster environments that promote student involvements and enhance resources into educationally purposeful activities designed to promote student learning. Korean universities should systemize student affairs organization, therefore campus interventions offer many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develop both academically and social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선진국의 대학들은 학생들의 학업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학생지원활동(student affairs)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하고 발전시킴으로써 학문적 수월성을 이루어왔다. 본 연구는 미국의 학생지원활동의 역사적 발전과 현황을 조사하고,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대학생활경험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학의 학생지원활동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대학교육은 학생들의 인지적 측면의 발달에 치중해 왔으므로, 학생들의 균형있는 학습과 발달이 대학교육의 목적으로 강조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들의 인지적, 비인지적 측면의 발달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전문가 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지원활동에 관련된 지속적인 평가와 연구가 필요하다. 대학에서의 학생지원활동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체계화하는 것은 학생들이 학업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촉진하게 됨으로써 대학생들의 인지적, 비인지적 측면의 균형있는 학습과 발달을 이루도록 하며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이루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범국가적인 차원의 연구, 정책적 지원과 기관차원에서의 실질적인 노력이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는 다음의 세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대학교육에서 대학생들의 균형있는 학습과 발달에 대한 개념의 강조가 필요하다. 연구결과에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도서관 활동, 책 읽기 등의 인지적 측면의 활동은 미국 학생들보다도 더 많이 하고 있지만, 사회적 활동, 수업외 활동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이 대학생의 인지적 측면과 비인지적 측면의 균형있는 발달이 대학교육의 목적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대학의 교육적 활동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하도록 설정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수들과 대학의 구성원들의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정책, 제도, 재정)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인지적, 비인지적 측면의 발달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활동에 더욱 많이 참여하도록 촉진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서도 전문적 인력에 의한 체계적인 학생지원활동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행정부서의 제도적 보완과 함께 전문가 인력을 양성하는 프로그램의 신설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생지원활동에 관련한 지속적인 평가와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대학의 문화와 대학생의 특성을 고찰하지 않고서는 우리나라 대학에 가장 적합한 제도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없다. 지속적인 평가와 연구를 위해서는 전국적인 차원에서의 자료 수집과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현장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대학생대상 프로그램 모형의 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향후 대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모형을 시범 대학에서 현장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범 대학에서의 프로그램 적용 후, 개발된 프로그램은 다른 대학의 특성에 맞게 수정되어 각 대학의 교육목표에 따라 구체적인 조직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지원활동에 대한 거시적인 접근을 통해 학생지원활동이 통합되고 유기적으로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과 발달을 촉진하고, 대학에서는 각 부처에서 중복되어 이루어지던 활동의 정비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는 학생들의 대학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게 할 것이며 우리나라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학생지원활동, 학업활동 참여, 대학생활경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