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578&local_id=10016628
월드컵 뉴스의 제작 구조와 뉴스 프레임 형성의 관계: 2006 독일 월드컵 보도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월드컵 뉴스의 제작 구조와 뉴스 프레임 형성의 관계: 2006 독일 월드컵 보도를 중심으로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한주(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18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2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월드컵 뉴스 제작 구조의 주요 요인과 월드컵 뉴스 프레임의 구성 방식을 분석하여 그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 독일 월드컵 보도에 나타난 뉴스 프레임의 구성방식은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4명의 KBS 스포츠 취재 기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뉴스 제작 구조의 주요 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도출된 뉴스 프레임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독일 월드컵 뉴스의 프레임 분석은 김한주(2005)가 월드컵 뉴스에 대하여 정형화한 인간흥미 프레임, 경제효과 프레임, 영웅주의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 경쟁 프레임, 국가위광 프레임을 기초로 KBS의 독일 월드컵 뉴스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간흥미 프레임 138건, 39.8%, 경쟁 프레임 113건, 32.5%, 영웅주의 프레임 62건, 17.9%, 민족주의 프레임 27건, 7.8%, 국가위광 프레임 5건, 1.4%, 경제효과 프레임 2건, 0.6%으로 도출되었다.
    월드컵 뉴스 제작구조에 대한 분석은 스포츠 기자 개인차원, 스포츠 뉴스 조직차원, 스포츠 뉴스 조직 외부차원으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각 차원의 하위요인은 신념/가치, 개인의 정치적 성향, 게이트키핑, 정보원(공식/비공식), 뉴스가치, 저널리즘 규범, 조직의 정치적 성향(팀 구성원/KBS), 미디어 간 경쟁, 외부조직, 이데올로기로 보았다.
    분석 결과, 각 차원의 하위요인 중 신념/가치, 게이트키핑, 뉴스가치, 저널리즘 규범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기자 개인의 신념/가치는 인간흥미 프레임과 영웅주의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미쳤다. 게이트키핑은 인간흥미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 국가위광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나타냈다. 뉴스가치는 인간흥미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미치고, 경쟁 프레임에 이차적 영향을 미친다. 저널리즘 규범은 인간흥미 프레임, 경쟁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jor factors of World Cup news production structure and World Cup news framing to examine the co-relation. To this end, the composition of news frames of the 2006 Germany World Cup was analyzed. In addition, four sports journalists of KBS were interviewed in-depth to find out what the main factors are in news production structure and examined the relation with the derived news frames.

    Analysis of news frames of the Germany World Cup was done by analyzing the German World Cup news of KBS based the standardization done by Hanjoo Kim (2005) through the following classification: Human interest frame, Economic effect frame, Heroism frame, Nationalism frame, Competition frame, National authority frame on World Cup news. The result was Human interest frame, 138, 39.8%, Competition frame 113, 32.5%, Heroism frame 62, 17.9%, Nationalism frame 27, 7.8, National authority frame 5, 1.4%, Economic effect frame 2, 0.6%.

    Analysis of World Cup news production structure was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sports journalist as an individual, sports news organization, outside of sports news organization. Sub-components of each level are belief/value, political ideology of the individual, gatekeeping, information source(official/unofficial), news value, journalism norm, political ideology of the organization (people comprising a team/KBS), competition among medias, external organization, ideology.

    It was found through the analysis that belief/value, gatekeeping, news value, journalism norm out of the sub-components were the main factors. Belief/value of the sports journalist as an individual primarily had an impact on human interest frame and heroism frame. Gatekeeping primarily had an impact on human interest frame, nationalism frame, and national authority frame. News value primarily impacted human interest frame and secondarily influenced competition frame. Journalism norm primarily affected human interest frame, competition frame and nationalism fram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월드컵 뉴스 제작 구조의 주요 요인과 월드컵 뉴스 프레임의 구성 방식을 분석하여 그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 독일 월드컵 보도에 나타난 뉴스 프레임의 구성방식은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4명의 KBS 스포츠 취재 기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뉴스 제작 구조의 주요 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도출된 뉴스 프레임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독일 월드컵 뉴스의 프레임 분석은 김한주(2005)가 월드컵 뉴스에 대하여 정형화한 인간흥미 프레임, 경제효과 프레임, 영웅주의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 경쟁 프레임, 국가위광 프레임을 기초로 KBS의 독일 월드컵 뉴스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간흥미 프레임(138건, 39.8%), 경쟁 프레임(113건, 32.5%), 영웅주의 프레임(62건, 17.9%), 민족주의 프레임(27건, 7.8%), 국가위광 프레임(5건, 1.4%), 경제효과 프레임(2건, 0.6%)으로 도출되었다.
    월드컵 뉴스 제작구조에 대한 분석은 스포츠 기자 개인차원, 스포츠 뉴스 조직차원, 스포츠 뉴스 조직 외부차원으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각 차원의 하위요인은 신념/가치, 개인의 정치적 성향, 게이트키핑, 정보원(공식/비공식), 뉴스가치, 저널리즘 규범, 조직의 정치적 성향(팀 구성원/KBS), 미디어 간 경쟁, 외부조직, 이데올로기로 보았다.
    분석 결과, 각 차원의 하위요인 중 신념/가치, 게이트키핑, 뉴스가치, 저널리즘 규범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기자 개인의 신념/가치는 인간흥미 프레임과 영웅주의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미쳤다. 게이트키핑은 인간흥미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 국가위광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나타냈다. 뉴스가치는 인간흥미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미치고, 경쟁 프레임에 이차적 영향을 미친다. 저널리즘 규범은 인간흥미 프레임, 경쟁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독일 월드컵 뉴스의 프레임 구성방식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 제작구조의 하위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독일 월드컵 뉴스의 프레임 분석은 김한주(2005)가 월드컵 뉴스에 대하여 정형화한 인간흥미 프레임, 경제효과 프레임, 영웅주의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 경쟁 프레임, 국가위광 프레임을 기초로 2006 독일 월드컵 뉴스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간흥미 프레임(138건, 39.8%), 경쟁 프레임(113건, 32.5%), 영웅주의 프레임 62건, 17.9%, 민족주의 프레임 27건, 7.8%, 국가위광 프레임 5건, 1.4%, 경제효과 프레임 2건, 0.6%으로 도출되었다. 월드컵 뉴스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 제작구조에 대한 분석은 스포츠 기자 개인차원, 스포츠 뉴스 조직차원, 스포츠 뉴스 조직 외부차원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각 차원의 하위요인은 신념/가치, 개인의 정치적 성향, 게이트키핑, 정보원(공식/비공식), 뉴스가치, 저널리즘 규범, 조직의 정치적 성향(팀 구성원/KBS), 미디어 간 경쟁, 외부조직, 이데올로기로 보았다. 각 차원의 하위요인은 일차적(직접, 적극) 관계와 이차적 관계(간접, 보완)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또는 상호 관계를 갖으면서 다양하고 복잡한 제작 구조를 나타냈다.
    분석 결과, 각 차원의 하위요인 중 신념/가치, 게이트키핑, 뉴스가치, 저널리즘 규범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기자 개인의 신념/가치는 인간흥미 프레임과 영웅주의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미쳤다. 게이트키핑은 인간흥미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 국가위광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나타냈다. 뉴스가치는 인간흥미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미치고, 경쟁 프레임에 이차적 영향을 미친다. 저널리즘 규범은 인간흥미 프레임, 경쟁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가 차후 스포츠 수용자에게 영향을 행사하는 효과 연구까지 진행된다면 스포츠 뉴스가 어떻게 생산되고 어떠한 형태로 전달되며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가에 대한 전체적인 스포츠 뉴스 연구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시 말하면, 스포츠 방송제도 및 조직을 이해하고 스포츠 뉴스 제작과정과 스포츠 뉴스 프레임의 형성 그리고 스포츠 수용자 효과 연구의 맥락을 이해하는 연구의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월드컵, 뉴스, 제작구조, 뉴스 프레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