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독일 월드컵 뉴스의 프레임 구성방식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 제작구조의 하위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독일 월드컵 뉴스의 프레임 분석은 김한주(2005)가 월드컵 뉴스에 대하여 정형화한 인간흥미 프레임, 경제효과 프레임, 영웅주의 프레임, ...
본 연구는 독일 월드컵 뉴스의 프레임 구성방식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 제작구조의 하위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독일 월드컵 뉴스의 프레임 분석은 김한주(2005)가 월드컵 뉴스에 대하여 정형화한 인간흥미 프레임, 경제효과 프레임, 영웅주의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 경쟁 프레임, 국가위광 프레임을 기초로 2006 독일 월드컵 뉴스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간흥미 프레임(138건, 39.8%), 경쟁 프레임(113건, 32.5%), 영웅주의 프레임 62건, 17.9%, 민족주의 프레임 27건, 7.8%, 국가위광 프레임 5건, 1.4%, 경제효과 프레임 2건, 0.6%으로 도출되었다. 월드컵 뉴스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 제작구조에 대한 분석은 스포츠 기자 개인차원, 스포츠 뉴스 조직차원, 스포츠 뉴스 조직 외부차원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각 차원의 하위요인은 신념/가치, 개인의 정치적 성향, 게이트키핑, 정보원(공식/비공식), 뉴스가치, 저널리즘 규범, 조직의 정치적 성향(팀 구성원/KBS), 미디어 간 경쟁, 외부조직, 이데올로기로 보았다. 각 차원의 하위요인은 일차적(직접, 적극) 관계와 이차적 관계(간접, 보완)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또는 상호 관계를 갖으면서 다양하고 복잡한 제작 구조를 나타냈다.
분석 결과, 각 차원의 하위요인 중 신념/가치, 게이트키핑, 뉴스가치, 저널리즘 규범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기자 개인의 신념/가치는 인간흥미 프레임과 영웅주의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미쳤다. 게이트키핑은 인간흥미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 국가위광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나타냈다. 뉴스가치는 인간흥미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미치고, 경쟁 프레임에 이차적 영향을 미친다. 저널리즘 규범은 인간흥미 프레임, 경쟁 프레임, 민족주의 프레임에 일차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가 차후 스포츠 수용자에게 영향을 행사하는 효과 연구까지 진행된다면 스포츠 뉴스가 어떻게 생산되고 어떠한 형태로 전달되며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가에 대한 전체적인 스포츠 뉴스 연구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시 말하면, 스포츠 방송제도 및 조직을 이해하고 스포츠 뉴스 제작과정과 스포츠 뉴스 프레임의 형성 그리고 스포츠 수용자 효과 연구의 맥락을 이해하는 연구의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