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601&local_id=10017378
전인적 청소년스포츠를 위한 코치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전인적 청소년스포츠를 위한 코치교육 프로그램 개발 | 2006 년 | 김선희(강릉원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10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9월 0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전인적 청소년스포츠는 청소년들의 스포츠 활동이 운동 기술만이 아닌 지식, 기능, 감성, 덕성을 고루 발전시키는 것을 지향하면서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인적 청소년스포츠의 실천은 청소년스포츠를 지도하고 있는 코치들의 인식 변화와 자질 함양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코치교육의 개선을 위해 현행 코치교육에 대한 반성을 통해 대안적인 코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코치교육에 대한 반성으로 국내외 코치교육 현황을 분석하였고, 현직 코치들의 코치교육 경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둘째, 코치교육의 개선을 위해 대안적인 코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조사, 설문조사 및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문헌 조사에서는 관련 선행 연구 및 각종 자료를 수집하여 현행 코치교육에 대한 개념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설문조사에서는 코치교육에 대한 경험 및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학교 운동부 코치 전체 4,749명을 모집단으로 하여 전국의 16개 시․도에서 무작위 추출로 53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연구결과의 심도 있는 이해와 분석을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을 위해 6명의 현직 코치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과 X2검증을 하였다. 심층면담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과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치교육에 대한 반성에서는 현행 국내외 코치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현직코치들이 경험한 코치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우선 국내외 코치교육 프로그램은 국내 코치교육의 대표격인 심판강습회 및 지도자 강습회는 지도대상, 지도 종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모두가 동일한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도 지적하고 있듯이 기능중심 코치교육으로 일관되고 있었다. 국외 코치교육 프로그램은 수준별로 세분화한 것이 특징이나 국내와 마찬가지로 지식중심의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현직 코치들이 경험한 코치교육에 대한 인식은 코치교육이 개인의 발전에 도움을 주었고 지도방법 개선을 위해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얻고 싶어한 반면 현실적인 제약 때문에 연수교육 참가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식위주의 교육 내용과 형식적인 운영이 문제로 지적되어 이론 중심의 연수교육, 지도 대상을 구분하지 않은 일괄적인 연수 교육은 앞으로 개선되어야할 요소로 파악되었다.

    둘째, 전인적 청소년스포츠의 실천을 위한 코치교육 프로그램은 전인적 청소년스포츠 코치 양성을 비전으로 하여 기법적 자질과 심법적 자질 함양을 교육 목표로 설정하였다.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전문 지식 이해, 사회 기술 습득, 인성 강화를 실천 전략으로 제시하였고 구체적인 교육 내용은 지도자 자질, 스포츠 이해, 스포츠 지도, 건강 및 안전, 사회 기술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교육 방법은 강의만이 아니라 읽기, 말하기, 쓰기, 보기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학습, 사례방법, 멘토링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일련의 교육과정은 평가를 통해 교육의 질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평가를 제시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는 에세이, 체크리스트, 동료 평가 등의 평가 기법을 통해 교육 결과에 대한 평가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도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와같은 코치교육 프로그램이 현장에서 실천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세 가지- 단계별 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코치 처우 개선, 코치교육자의 변화-를 제안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alternative coach education program by reflecting on the current coach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it. For that purpose, first, current coach education was analyzed at both home and abroad to reflect on it along with incumbent coaches' experiences with coach education. After this an alternative coach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improve it. Under the goal of producing whole coaches for the practice of whole sports-based youth sports, the alternative coach education offered a framework for objective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s and conditions to practice the alternative coach education program. As for methodology, literature study,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employed to gather and analyze data. Specifically, the investigator reviewed previous studies, collected a variety of data, and set up a conceptual foundation for the current coach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study. Those efforts to gather and analyze data led to the following research findings:

    First, the current coach education programs at home and abroad were analyzed along with incumbent coaches' experiences with coach education as part of the attempts to reflect on coach education. Representing coach education in Korea, short courses for judges and instructors were all the same regardless of the students and games and provided function-centered coach education as was report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coach education programs of other countries were divided according to levels but focused on delivering knowledge just as those employed in Korea. But it is noteworthy that their curricula placed interest on players' individual developments and skills for coaches to form relationships with players and provided educational content to cover them while emphasizing theoretical knowledge. As for coaches' experiences with coach education, they viewed coach education to be helpful for their individual growth, wanted to obtain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improve their instructional methods, and had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in-service training due to practical limitations. At the same time, they pointed out that knowledge-oriented educational contents and formal operations were the problems, which indicates that theory-oriented in-service training and collective in-service training that does not distinguish the students should be improved.
    Secondly, the coach education program for the practice of whole sport-based youth sports had the vision of producing coaches for whole sport-based youth sports and the goal of cultivating technique and mental qualities. For the fulfillment of the goal, the program developed such practical strategies as understanding expertise, acquiring social skills, and reinforcing personality, as well as such concrete educational contents as instructor qualities, sports understanding, sports instruction, health and safety, and social skills. Its educational methods include problem-solving learning, case study, and mentoring by utilizing reading, speaking, writing, and watching in addition to lecturing. Also suggested were program evaluations given that a curriculum needs quality management of education through evaluations. Curricula as well as educa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through such evaluative techniques as essays, checklists, and peer evaluations. And finally, three preconditions for such a coach education program to be implemented on the scene were suggested; they include education by the level, forming a learning community, improving treatments for coaches, and changes of coach educators. Highlighted was that such a program should include a curriculum fit for each age group of the students in order to address the problem with the existing coach education that provided collective education with no distinction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lso pointed out was a need to form a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to a curriculum of coach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전인적 청소년스포츠는 청소년들의 스포츠 활동이 운동 기술만이 아닌 지식, 기능, 감성, 덕성을 고루 본 연구는 현행 코치교육의 개선을 위해 현행 코치교육에 대한 반성을 통해 대안적인 코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코치교육에 대한 반성으로 국내외 코치교육 현황을 분석하였고, 현직 코치들의 코치교육 경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둘째, 코치교육의 개선을 위해 대안적인 코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조사, 설문조사 및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문헌 조사에서는 관련 선행 연구 및 각종 자료를 수집하여 현행 코치교육에 대한 개념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설문조사에서는 코치교육에 대한 경험 및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학교 운동부 코치 전체 4,749명을 모집단으로 하여 전국의 16개 시․도에서 무작위 추출로 53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연구결과의 심도 있는 이해와 분석을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을 위해 6명의 현직 코치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과 X2검증을 하였다. 심층면담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과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치교육에 대한 반성에서는 현행 국내외 코치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현직코치들이 경험한 코치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우선 국내외 코치교육 프로그램은 국내 코치교육의 대표격인 심판강습회 및 지도자 강습회는 지도대상, 지도 종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모두가 동일한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도 지적하고 있듯이 기능중심 코치교육으로 일관되고 있었다. 국외 코치교육 프로그램은 수준별로 세분화한 것이 특징이나 국내와 마찬가지로 지식중심의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전인적 청소년스포츠의 실천을 위한 코치교육 프로그램은 전인적 청소년스포츠 코치 양성을 비전으로 하여 기법적 자질과 심법적 자질 함양을 교육 목표로 설정하였다.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전문 지식 이해, 사회 기술 습득, 인성 강화를 실천 전략으로 제시하였고 구체적인 교육 내용은 지도자 자질, 스포츠 이해, 스포츠 지도, 건강 및 안전, 사회 기술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교육 방법은 강의만이 아니라 읽기, 말하기, 쓰기, 보기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학습, 사례방법, 멘토링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일련의 교육과정은 평가를 통해 교육의 질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평가를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는 첫째, 코치교육에 대한 반성에서는 현행 국내외 코치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현직코치들이 경험한 코치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우선 국내외 코치교육 프로그램은 국내 코치교육의 대표격인 심판강습회 및 지도자 강습회는 지도대상, 지도 종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모두가 동일한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도 지적하고 있듯이 기능중심 코치교육으로 일관되고 있었다. 국외 코치교육 프로그램은 수준별로 세분화한 것이 특징이나 국내와 마찬가지로 지식중심의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만 이들 교육과정은 이론 지식을 강조하고는 있지만 선수들의 개인적 발달 및 이들과의 관계 형성 기술 등에도 관심을 갖고 교육 내용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현직 코치들이 경험한 코치교육에 대한 인식은 코치교육이 개인의 발전에 도움을 주었고 지도방법 개선을 위해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얻고 싶어한 반면 현실적인 제약 때문에 연수교육 참가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식위주의 교육 내용과 형식적인 운영이 문제로 지적되어 이론 중심의 연수교육, 지도 대상을 구분하지 않은 일괄적인 연수 교육은 앞으로 개선되어야할 요소로 파악되었다.

    둘째, 전인적 청소년스포츠의 실천을 위한 코치교육 프로그램은 전인적 청소년스포츠 코치 양성을 비전으로 하여 기법적 자질과 심법적 자질 함양을 교육 목표로 설정하였다.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전문 지식 이해, 사회 기술 습득, 인성 강화를 실천 전략으로 제시하였고 구체적인 교육 내용은 지도자 자질, 스포츠 이해, 스포츠 지도, 건강 및 안전, 사회 기술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교육 방법은 강의만이 아니라 읽기, 말하기, 쓰기, 보기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학습, 사례방법, 멘토링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일련의 교육과정은 평가를 통해 교육의 질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평가를 제시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는 에세이, 체크리스트, 동료 평가 등의 평가 기법을 통해 교육 결과에 대한 평가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도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와같은 코치교육 프로그램이 현장에서 실천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세 가지- 단계별 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코치 처우 개선, 코치교육자의 변화-를 제안하였다.
    활용 방안으로는 청소년스포츠에 관한 인식 재고, 올바른 스포츠교육 방향 제시, 코치교육의 철학적 근거 마련을 제시했으며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해 청소년스포츠의 중심축인 학부모 교육 즉 운동선수/운동하는 자녀를 위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 색인어
  • 전인적 스포츠, 전인적 청소년 스포츠, 전인적 코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