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619&local_id=10016194
부사의 인가 조건과 분포에 대한 연구- "강한 최소주의 정립"에 입각하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부사의 인가 조건과 분포에 대한 연구- "강한 최소주의 정립"에 입각하여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홍수민(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35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6월 0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Chomsky(1981)의 핵계층 이론(X'-theory)이 도입된 이후 부사는 핵계층-구조(X'-structure)에서 부가어로 생성된다고 믿어졌다. 그러나, Chomsky(1995)는 부가(adjunction)가 의미역이 있는 구에는 허용되지 않고 부사는 어휘범주의 비최대투사구 또는 기능핵의 투사구에만 가능하다고 한다. 이와 달리 McConnel-Ginet(1982), Stroik(1990, 1992)와 Larson(1988, 1990)은 동사구 껍질구조(VP-shell) 가정 하에서 부사를 동사의 내부에 놓여있는 보충어로 취급한다. 그러면, 부사를 논항(argument)과 같이 취급하게 되는 셈이다. 이렇다면 부사 역시 논항처럼 술어(predicate)로부터 의미역(theta role)을 받을 수 있다고 간주하는 것이다. McConnel-Ginet(1982)는 부사를 일종의 논항으로 취급하고 보충어 자리에서 생성된 부사를 술어로부터 의미역을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그렇다면 부사가 술어로부터 부여받는 의미역은 Baker(1988)의 논항만을 고려하여 제안된 보편 의미역 할당 가설(UTAH: Universal Theta Assignment hypothesis)과 양립할 수 있을지 하는 강한 의구심을 갖게 한다. 더욱이 논항의 병합이 필수적(obligatory)인 반면 부사의 병합은 수의적(optional)이라 직관과도 정면으로 상충되고 말 것이다. Chomsky and Lasnik(1993)과 Chomsky(1995)도 Larson과 같이 부사를 보충어에서 생성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Chomsky(1995)는 최소주의에서 격인접 조건(Case Adjacency Condition) 때문엔 부사가 지정어로 생성된다고 곧 입장을 바꾸게 된다. 대표적으로 Cinque(1999) 외 Laenzlinger(1993), Rijkhoek(1994), Alexiadou(1997)는 부사를 지정어로 생성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부사들 간의 상대적 순서에도 관심을 두었다. 부사들 간의 선형적(linear) 순서가 계층적(hierarchical)으로 정해진 기능핵(functional) 형태소 순서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처럼 부사들 간의 선형적 순서를 부사가 기능핵의 지정어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에 기인된 결과라고 보고 있다. 부사들 간의 선형적 순서과 기능핵 형태소의 계층적 순서 사이의 상관관계를 포착하려는 시도는 높이 평가할 수 있으나 이 지정어 분석에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30여개가 넘는 기능핵이 어휘부(lexicon)에 존재해야 한다고 가정해야 되는 적지 않은 부담이 따른다. 그리고 Chomsky(2001)에 의하면 지정어는 집합-병합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선택자가 있어야 하며, 이 선택자의 선택자질을 반드시 만족시켜야 한다. 그렇다면 각각의 부사에 선택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해당 선택자질을 부여해야만 한다. 또, 결정적으로 부사의 지정어 분석은 일반적으로 언어에서 발견되는 논항-부가어 비대칭(Argument-adjunct asymmetry)을 어떻게 설명할 지에 관한 문제점도 제기한다.
    한편 부사를 술어로 분석하는 입장도 있다. Bellert(1977)는 부사를 일종의 술어로 간주하고 술어인 부사가 가질 수 있는 논항의 수와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Zubizarreta(1987)는 부사를 부가-술어(adjunct-predicate)로 취급하고 부사가 부가 의미역(adjunct theta-role)을 부여하는 것으로 본다. Rochette(1990)은 부사를 일차술어(primary predicate)이 아니라 이차술어(secondary predicate)로 취급하여 이차술어로서 선택하는 논항의 종류를 예를 들어 명제, 사건, 행동과 같은 의미범주로 분류하였다. Ernst(1998)도 이와 유사하게 술어적 부사는 의미범주를 논항으로 선택한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부사를 술어로 취급하려는 시도에서 일반 술어와 달리 이차술어나 부가-술어로 차별화 했다는 것이다. Ernst(1998, 2002)의 작용역에 근거한 부사인가조건과 같은 맥락으로, 본 연구는 부사의 분포가 부사의 수식과 작용역(scope)의 범위에 따라 결정된다고 본다. 그래서 부사가 사건, 동작, 상태 중 하나의 의미 범주를 수식하며 이에 따라 상응하는 통사적 범주가 결정될 수 있음을 입증하고자 한다. 그러면, 부사의 인가는 적절한 의미론적 논항의 술어가 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의미 범주는 크게 CP, IP/TP, AspP, vP, VP와 같은 통사범주에 상응될 수 있게 되고, 그래서 화용(pragmatic)부사, 평가(evaluative)부사는 CP에서, 양태(modal)부사(증거(evidential):인식(epistemic):시제(tense)부사)와 주어지향(speaker-oriented)는 CP 또는 IP/TP에서, 그리고 상(aspect)부사는 AspP에서, 방법(manner)부사는 VP에서 각각 병합될 때 부사가 작용역에 근거하여 부사를 인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부가의 인가조건은 "강한 최소주의 정립"에 입각하여 개념-의도 접합면(conceptual-intentional interface)의 의미 영향권 원리로 부사의 분포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 영문
  • The research discusses the properties of and the position of adverbs in clause structure. The adverbs are believed to be distinguished between specifier and complement (temporal, manner and locative) adverb. The former are directly merged in the specifier position of an appropriate functional head, while the latter are merged as V-complements and then raise to a specifier position. So they are formally licensed through the form of the Adverbial Licensing Principle. Complement adverbs with the exception of temporal can also be licensed via incorporation (a head-head relation). The complement vs. specifier distinction is more broadly formulated in terms of A vs. A’ elements respectively. Thus it is expected that complement adverbs interact with A-movement and specifier adverbs with A’-movement. The distinction between two classes of adverbs is empirically supported by comparative evide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Chomsky(1981)의 핵계층 이론(X'-theory)이 도입된 이후 부사는 핵계층-구조(X'-structure)에서 부가어로 생성된다고 믿어졌다. 그러나, Chomsky(1995)는 부가(adjunction)가 의미역이 있는 구에는 허용되지 않고 부사는 어휘범주의 비최대투사구 또는 기능핵의 투사구에만 가능하다고 한다. 이와 달리 McConnel-Ginet(1982), Stroik(1990, 1992)와 Larson(1988, 1990)은 동사구 껍질구조(VP-shell) 가정 하에서 부사를 동사의 내부에 놓여있는 보충어로 취급한다. 그러면, 부사를 논항(argument)과 같이 취급하게 되는 셈이다. 이렇다면 부사 역시 논항처럼 술어(predicate)로부터 의미역(theta role)을 받을 수 있다고 간주하는 것이다. McConnel-Ginet(1982)는 부사를 일종의 논항으로 취급하고 보충어 자리에서 생성된 부사를 술어로부터 의미역을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그렇다면 부사가 술어로부터 부여받는 의미역은 Baker(1988)의 논항만을 고려하여 제안된 보편 의미역 할당 가설(UTAH: Universal Theta Assignment hypothesis)과 양립할 수 있을지 하는 강한 의구심을 갖게 한다. 더욱이 논항의 병합이 필수적(obligatory)인 반면 부사의 병합은 수의적(optional)이라 직관과도 정면으로 상충되고 말 것이다. Chomsky and Lasnik(1993)과 Chomsky(1995)도 Larson과 같이 부사를 보충어에서 생성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Chomsky(1995)는 최소주의에서 격인접 조건(Case Adjacency Condition) 때문엔 부사가 지정어로 생성된다고 곧 입장을 바꾸게 된다. 대표적으로 Cinque(1999) 외 Laenzlinger(1993), Rijkhoek(1994), Alexiadou(1997)는 부사를 지정어로 생성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부사들 간의 상대적 순서에도 관심을 두었다. 부사들 간의 선형적(linear) 순서가 계층적(hierarchical)으로 정해진 기능핵(functional) 형태소 순서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처럼 부사들 간의 선형적 순서를 부사가 기능핵의 지정어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에 기인된 결과라고 보고 있다. 부사들 간의 선형적 순서과 기능핵 형태소의 계층적 순서 사이의 상관관계를 포착하려는 시도는 높이 평가할 수 있으나 이 지정어 분석에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30여개가 넘는 기능핵이 어휘부(lexicon)에 존재해야 한다고 가정해야 되는 적지 않은 부담이 따른다. 그리고 Chomsky(2001)에 의하면 지정어는 집합-병합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선택자가 있어야 하며, 이 선택자의 선택자질을 반드시 만족시켜야 한다. 그렇다면 각각의 부사에 선택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해당 선택자질을 부여해야만 한다. 또, 결정적으로 부사의 지정어 분석은 일반적으로 언어에서 발견되는 논항-부가어 비대칭(Argument-adjunct asymmetry)을 어떻게 설명할 지에 관한 문제점도 제기한다.
    한편 부사를 술어로 분석하는 입장도 있다. Bellert(1977)는 부사를 일종의 술어로 간주하고 술어인 부사가 가질 수 있는 논항의 수와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Zubizarreta(1987)는 부사를 부가-술어(adjunct-predicate)로 취급하고 부사가 부가 의미역(adjunct theta-role)을 부여하는 것으로 본다. Rochette(1990)은 부사를 일차술어(primary predicate)이 아니라 이차술어(secondary predicate)로 취급하여 이차술어로서 선택하는 논항의 종류를 예를 들어 명제, 사건, 행동과 같은 의미범주로 분류하였다. Ernst(1998)도 이와 유사하게 술어적 부사는 의미범주를 논항으로 선택한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부사를 술어로 취급하려는 시도에서 일반 술어와 달리 이차술어나 부가-술어로 차별화 했다는 것이다. Ernst(1998, 2002)의 작용역에 근거한 부사인가조건과 같은 맥락으로, 본 연구는 부사의 분포가 부사의 수식과 작용역(scope)의 범위에 따라 결정된다고 본다. 그래서 부사가 사건, 동작, 상태 중 하나의 의미 범주를 수식하며 이에 따라 상응하는 통사적 범주가 결정될 수 있음을 입증하고자 한다. 그러면, 부사의 인가는 적절한 의미론적 논항의 술어가 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의미 범주는 크게 CP, IP/TP, AspP, vP, VP와 같은 통사범주에 상응될 수 있게 되고, 그래서 화용(pragmatic)부사, 평가(evaluative)부사는 CP에서, 양태(modal)부사(증거(evidential):인식(epistemic):시제(tense)부사)와 주어지향(speaker-oriented)는 CP 또는 IP/TP에서, 그리고 상(aspect)부사는 AspP에서, 방법(manner)부사는 VP에서 각각 병합될 때 부사가 작용역에 근거하여 부사를 인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부가의 인가조건은 "강한 최소주의 정립"에 입각하여 개념-의도 접합면(conceptual-intentional interface)의 의미 영향권 원리로 부사의 분포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우선 부사의 인가와 분포에 대한 다양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어느 특정 학파나 관점에 제한을 두지 않고 다각적으로 검토된 선행 연구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여러 언어에서 관찰될 수는 부사의 종류와 분포를 살펴보았다. 부사를 통사적으로 접근한 연구뿐만 아니라 의미적으로 접근한 연구도 고찰하였다. 특히, 통사론적 접근 방법으로 부사를 지정어로 취급하는 이론, 보충어로 취급하는 이론, 그리고 부가어로 취급하는 이론들을 모두 검토하여 그 배경 원인과 그에 따른 장점과 단점을 각기 평가하였다. 여러 언어들의 부사의 종류와 분포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실질적으로 언어들 간에 공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보편 문법(Universal Grammar)에 근거를 둔 부사 인가 조건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은 부사의 인가 조건과 분포에 대한 고찰이었다. 특히 본 연구가 "강한 최소주의 정립(strong minimalist thesis)"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언어가 언어능력이 만족시켜야 하는 접합면 조건들에 대한 최적의 해결책이라고 간주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부사의 종류와 분포에 대해서 기술적인 설명이 그치지 않고 그 표면 현상 아래에 있는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에 입각한 원리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런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언어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인 인간 언어와 인간 사고의 내면 표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리기반적인 설명이 성취될수록 우리는 언어능력의 본질에 대해서 한층 더 깊은 이해를 도모했다. 즉, 원리에 입각한(principled) 언어 현상의 설명 추구는 설명적 타당성을 넘어서 더 심도있는 수준의 설명을 추구하였다. 즉, 단순히 언어 현상을 분류하거나 직관에만 의존하지 않는 이런 연구 자세는 언어연구 외에 다른 인문학 또는 사회과학에도 널리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adverb, distribution of adverbs, restriction of adverbs, specifier analysis, adjunct analysis, complement analysis, local condition of adverb licensing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