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637&local_id=10023429
한국어 구어 분석을 위한 문법 모형의 개발과 활용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어 구어 분석을 위한 문법 모형의 개발과 활용 | 2007 년 | 신지영(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07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1월 1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어 구어 자료를 분석하여 구어 문법 모형을 개발하고, 개발된 문법 모형을 국어학에 인접한 학문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한국어 구어에 대한 분석적이고 실용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1년차와 2년차의 초기에서는 우선 계획하였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구축된 자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 화자의 발화 자료로서 자료의 수집은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초등학교 화자의 발화는 초등학교 1, 3, 6학년 아동 각 18명(남 9명, 여 9명)씩 총 54명분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중고등학생 발화는 중학교 2학년 21명(남 12명, 여 9명)과 고등학교 2학년 21명(남 12명, 여 9명), 총 4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둘째, 방송 토론 및 인터뷰 자료 DB 구축으로서, 구어의 다양한 자료의 비교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토론 자료를 구축하였다. 셋째, 말하기와 글쓰기의 차이를 보여주는 DB를 구축하였다. 대학 신입생 50명과 3․4학년 50명, 대학원생 30명을 대상으로 말하기와 글쓰기의 차이를 보일 수 있는 자료 수집 프로토콜을 작성한 후에 DB를 구축하였다. 넷째, 13권의 문법서를 대상으로 문법서 예문을 정리하였다. 조사한 목록은 총 8,711개이다.
    본 연구의 2년차에서는 1년차 연구에서 구축된 기초 연구 자료를 토대로 구어 문법의 모형을 개발하여, 이를 국어학 및 인접 학문 분야에 적용해보았다.
    구어 문법 모형 개발에서는 첫째, 구어의 발화 단위 설정을 위해서 구어 코퍼스를 음성학적으로 세밀하게 분석하여 발화 단위에 유의미한 음성학적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말실수를 단순 오류로 처리하지 않기 위해, 문법성 판단 기준을 객관화하고 말실수와 구어적 특성 간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셋째, 구어의 문법적 형태소들을 담화 전략과 관련하여 형태소 변이형의 선택 조건 등을 세밀히 고찰하였다. 넷째, 구어에 나타난 문형을 구조화하여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담화 표지의 문법적 처리에 대한 효율적 방안을 검토해보고, 이들의 의미, 담화적 기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립된 구어 문법 모형을 바탕으로 언어 병리학, 한국어 교육, 한국어 정보 처리에서의 활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언어 병리학에서는 언어 진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정상 발화의 구어 특성을 반영하여 문법 능력을 측정하는 항목의 평가 방법을 마련해보았다. 또한, 유아 및 아동의 문법 발달 단계 연구를 위해 구어 문법의 항목이 각 발달 단계에서 어떻게 습득되고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에서는 한국어 회화 교재의 내용을 검토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구어 문법 모형을 한국어 교육 특히 회화 교육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한국어 정보 처리에서는 음성 자료의 단위화를 위해 녹음된 음성을 분석하여 구어의 발화 단위로 구분하고, 텍스트로 변환된 구어 자료를 처리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analyze spoken Korean for developing a grammatical model of spoken Korean. Developing a grammatical model of spoken Korean is a basic building block for applied Korean linguistics.
    For the purpose, data base of spoken Korean was built. The following data base of Spoken Korean has been established.
    1) Speech data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peakers of standard Korean. Speech data of first, third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18 speakers for each grade, 54 speakers all together) and that of second grade middle and high school speakers (21 speakers for each age group, 42 speakers all together) were collected.
    2) Debate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orm radio and TV.
    3) DB for representing the differences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130 speakers of Korean speakers were asked to perform the speaking and writing tasks according to the protocol of the present study.
    4) Example sentences shown in grammar books were surveyed. 8,711 sentences were collected and digitized.
    In the second year of the project, we tried to propose a grammatical model of spoken Korean and to apply the model to the field of applied Korean linguistics: speech patholog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ollowing subjects were the main interest of the project team.
    1) Segmentation mechanism of speech unit from the continuous acoustic signal.
    2)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errors and characteristics of spoken language
    3) Selecting mechanism of a particular morph from the various allomorphs
    4) Theoritical structuring of the sentence patterns for spoken language.
    5) Semantic and pragmatic function of discourse mak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어 구어 자료를 분석하여 구어 문법 모형을 개발하고, 개발된 문법 모형을 국어학에 인접한 학문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한국어 구어에 대한 분석적이고 실용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내용은 구어의 특성 연구, 구어 문법 모형 개발, 문법 모형의 활용으로 이루어졌다. 1)구어의 특성 연구에서는 여러 상황의 구어를 대상으로 그 장르적 특성을 연구하였고, 구어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구어적 속성을 통해 구어와 문어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구어 문법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구어적 성격이 강한 대화 자료 위주로 구축된 구어 코퍼스를 대상으로 구어의 문법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구어 문법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세부적 연구 내용으로, 첫째 구어의 문법 단위 연구로서, 구어의 발화 단위 설정을 위해 구어 코퍼스를 음성학적으로 세밀하게 분석하여 발화 단위에 유의미한 음성학적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둘째로는 말실수와 구어적 특성 연구로서, 구어 연구에서 말실수는 구어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므로 문법성 판단 기준을 객관화하여 말실수와 구어적 특성 간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셋째로는 구어의 문법적 형태소 연구로서,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담화 전략과 관련하여 형태소 변이형의 선택 조건 등을 고찰해보았다. 넷째로는 구어의 문형 연구로서, 구어 문형을 구조화하여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담화 표지 연구로서, 의사소통 기능을 고려할 때 구어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 담화 표지를 문법적으로 어떻게 다루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연구하였다. 3)개발된 문법모형을 언어 병리학, 한국어 교육, 한국어 정보 처리 등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언어 병리학에서는 정상 발화의 구어 특성을 반영하여 문법 능력을 측정하는 항목의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유아 및 아동의 문법 발단 단계를 연구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는 현재 한국어 회화 교재의 내용을 검토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한국어 구어 모형을 적용하여 부적절한 내용이나 누락된 내용 등을 조사하였다. 한국어 정보 처리에서는 음성 자료의 단위화와 텍스트로 변환된 구어 자료의 처리가 주요 연구 대상이 되었다.
    연구의 효율적 진행을 위해 각 연차별로 단계를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1년차 연구는 기초 연구로, 이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선행 연구 및 문법 이론 검토 단계였고, 두 번째는 자료 수집 및 정리 단계였으며, 마지막은 구어의 특성을 연구하는 단계였다. 선행 연구 및 문법 이론 검토에서는 기존 구어 관련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기존에 구어 코퍼스 및 구어 연구에 참여하여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를 초청하여 연구 방향 및 방법론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자료 수집 및 구축에서는 기구축된 구어 코퍼스 자료를 수집하고 부족한 코퍼스를 구축하여 연구 자료로 이용하였다. 구어의 특성 연구를 위해서 구어의 다양한 장르의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들 자료를 연령별 자료와 비교하여 구어적 속성을 보다 세밀하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어 문법론 연구에 제시된 예문들을 수집하여 이들 예문들의 특성을 구어성의 관점에서 정리하고, 국어 문법론 예문에서 문법성 판단이 학자마다 다른 예문들을 중심으로 음성 실험을 설계하여 실험을 실시해보았다.
    2년차 연구는 1년차 연구에서 구축된 기초 연구 자료를 토대로 구어 문법의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국어학 및 인접 학문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한국어 구어에 대한 분석적이고 실용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언어 연구팀에서는 유의미한 음성적 기제 연구 및 음성 정보가 표시된 텍스트 코퍼스에 대한 분석을 하였으며, 응용 연구팀에서는 각 분야의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의 구어 문법 모형을 기반으로 기존의 문어 문법과 차별되는 문법 현상을 중심으로 문법 내에서의 통합 관계를 연구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는 이론 언어학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여러 응용적 측면에서도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이론 언어학적 측면에서는 첫째, 문어와 구어에 대한 일반적 차이를 확인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구어의 구체적 특성을 파악하여 구어 문법 모형을 정립함으로써 문어 중심의 문법 연구에 편중되었던 연구 경향을 지양할 수 있다. 구어 문법 모형은 국어 문법에 실제 언어 현실을 반영한 모형이므로, 문어 문법에서 설명하기 곤란했던 문제들을 이를 통해 해결해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로써 국어 문법 연구는 규범적이고 이상적인 문어 문법과 현실적, 실용적인 구어 문법을 모두 아우를 수 있어 문법 연구에 균형을 맞출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문법적으로 유의미한 음성 정보가 체계적으로 제시됨에 따라, 음성학적 정보가 문법 연구에 중요한 정보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연구가 국어학의 서로 다른 하위 영역의 정보를 활용한 통합적 연구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국어학의 통합적 연구 모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셋째, 문어 문법과 실제 구어 자료에 반영된 구어 문법은 여러 면에서 차이가 난다. 그러나 현행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은 문어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규범 문법과 현실 구어 문법 사이의 괴리가 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구어 문법 연구를 통해 이러한 괴리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 개정 작업에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응용적 측면에서는 첫째, 언어 병리학에서의 활용으로, 언어 장애를 진단하고 치료를 하기 위한 근거로 정상 발화를 하는 모국어 화자의 구어 문법 모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언어 병리학에서 활용 가능한 구어 문법 연구가 그다지 많지 않아서 한국어를 기반으로 개발된 언어 장애 진단 프로그램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구어 문법의 연구는 문법의 영역별로 아동의 언어 발달 단계를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며, 언어 장애 및 학습 장애를 가진 이들을 진단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어 교육에서의 활용으로, 대부분의 한국어 학습 교재 및 프로그램에서는 국어의 현실적인 모습이 반영되지 못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들에게 또 하나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구어를 중심으로 접근한 회화 교재 및 회화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청된다. 구어 코퍼스를 통해 외국인을 위한 학습용 기본 어휘를 추출하여 학습 단계별로 제시할 수 있고, 교재 및 프로그램에 쓰이는 문장 및 대화 예문 역시 구어의 문법을 반영하도록 설계하여 외국인들이 좀 더 실제적이고 실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국어교육에서의 활용으로, 말하기, 읽기, 쓰기, 듣기와 같은 대표적인 의사소통 행위 가운데 말하기와 쓰기는 표현 단계에서 중요한 영역이다. 특히 말하기의 경우는 우리의 언어생활의 중심을 이루는 대표적인 표현 행위이므로 다양한 화용적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실용적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구어 연구에서 정립되는 문법 모형에는 구어의 특징적인 어휘 및 문법 형태소의 문법적 기능 외에도 그들의 화용적 기능이 규명되어 있기 때문에, 본 구어 문법 모형은 국어 교육에서 말하기 교육의 기초 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다. 넷째, 한국어 정보처리에서의 활용으로, 한국어 구어 연구는 한국어 정보 처리에서 꼭 필요한 부분이다. 음성공학과 접목한 자연언어처리 분야의 응용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구어 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형태소 분석이나 구문 분석에서 구어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구어의 분석력이 문어에 비해서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구어 문법 연구는 한국어 분석기를 구축할 때 구어적 속성을 반영한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기초가 되기 때문에 본 연구가 이들 응용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 분석의 좀 더 효율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색인어
  • 구어, 문어, 구어성, 문어성, 구어체, 문어체, 구어 문법, 문어 문법, 운율, 휴지, 억양, 발화 속도, 단문, 복문, 조각문, 문형, 언어 단위, 문법 단위, 발화 단위, 억양 단위, 화용, 담화, 대화, 토론, 말하기, 화행, 담화 유형, 대화 구조, 텍스트, 담화 분석, 의미, 통사, 음운, 음성, 음향, 초점, 주제, 화제, 발화, 문장, 담화 표지, 화용 표지, 간투사, 감탄사, 문법 형태소, 형식 형태소, 문법 표지, 복문 표지, 기능, 형식론, 기능론, 의사소통, 담화 분석, 발화 전략, 말실수, 연결 어미, 종결 어미, 말차례, 반복, 대용, 접속, 생략, 도치, 어순, 결속 구조, 결속성, 사회 언어학, 언어 병리학, 한국어 교육, 한국어 정보 처리, 음성 공학, 구어 코퍼스, 음성 코퍼스, 화자, 청자, 언어 발달, 화법, 전사, 철자 전사, 음운 전사, 주격 중출, 목적격 중출, 맞춤법, 표준어, 언어 장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