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653&local_id=10020704
지방정부에서 행정조직문화와 성과관리제도의 효과간 관계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지방정부에서 행정조직문화와 성과관리제도의 효과간 관계 | 2007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윤호(한국해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24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국가의 고유한 토착적 행정조직문화와 지방정부의 성과관리제도의 도입 효과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한국과 미국 사이의 국가간 비교분석이 이루어졌는데, 한국과 미국의 지방정부들 중에서 BSC나 그 변형된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지방정부들을 대상으로 분석이 수행되었다.
    지금까지 토착적 행정조직문화의 관점에서 성과관리제도의 도입 효과를 분석한 연구의 전무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성과관리제도의 도입 효과가 각국의 토착적 행정조직문화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크다고 생각된다.
    한국과 미국의 지방정부 모두 성과관리제도의 도입 효과가 약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 국가 중에서 한국의 지방정부들의 BSC 도입 효과가 미국의 지방정부들에 비해서 약간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과 미국의 지방정부들 모두 집단주의적 행정조직 문화가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것이 양국 지방정부들의 성과주의 제도 도입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지방정부들은 민주주의 문화가 강한 반면, 한국의 지방정부들은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문화의 중간 정도의 문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한국의 지방정부들의 조직문화가 미국 보다 상대적으로 더 권위주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이 한국 지방정부의 BSC 도입 효과가 미국 보다 더 크게 나타난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지방정부들은 온정주의(연고주의)와 실적주의의 중간 정도 수준의 조직문화를 지니고 있는 반면, 미국의 지방정부들은 실적주의적 문화가 약간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한국의 지방정부들은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한 온정주의 조직문화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이 한국에서 BSC의 도입 효과가 미국 보다 더 크게 나타난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을 통하여 지방정부에 성과관리제도를 성공적으로 도입 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영문
  • This paper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untries' indigenous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in local governments. It was analyz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Korea and America. All local governments which is implementing the BSC or its transformed systems were chosen to be analyzed from the both countr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cal governments of both countries had the affirmative effective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and it was higher in Korea than in America. The effectiveness in the both countries seemed to be due to the collectivism of the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Korea has stronger authoritarianism and paternalism than America, which seemed to be one of the reasons that Korea's effectiveness was bigger than America's. A couple of implications were found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new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from the analys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국가의 고유한 토착적 행정조직문화와 지방정부의 성과관리제도의 도입 효과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지방정부들 중에서 BSC나 그 변형된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지방정부들을 대상으로 국가간 비교분석이 수행되었다.
    지금까지 토착적 행정조직문화의 관점에서 성과관리제도의 도입 효과를 분석한 연구의 전무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크다고 생각된다.
    한국과 미국의 지방정부 모두 성과관리제도의 도입 효과가 약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 국가 중에서 한국의 지방정부들의 BSC 도입 효과가 미국의 지방정부들에 비해서 약간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과 미국의 지방정부들 모두 집단주의적 행정조직 문화가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것이 양국 지방정부들의 성과주의 제도 도입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지방정부들의 조직문화가 미국 보다 상대적으로 더 권위주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지방정부들은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한 온정주의 조직문화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행정조직문화적 차이가 한국에서 BSC의 도입 효과가 미국 보다 더 크게 나타난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을 통하여 지방정부에 성과관리제도를 성공적으로 도입 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연구결과를 통해서 각국의 고유한 토착 행정조직문화와 성과관리제도 도입 효과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과 미국의 지방정부 모두 성과관리제도의 도입 효과가 약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 국가 중에서 한국의 지방정부들의 BSC 도입 효과가 미국의 지방정부들에 비해서 약간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양국가간에 그 효과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은 양 국가 사이의 행정문화의 차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미국의 지방정부들 모두 집단주의적 행정조직 문화가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것이 양국 지방정부들의 성과주의 제도 도입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지방정부들은 민주주의 문화가 강한 반면, 한국의 지방정부들은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문화의 중간 정도의 문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이 한국 지방정부의 BSC 도입 효과가 미국 보다 더 크게 나타난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지방정부들은 온정주의(연고주의)와 실적주의의 중간 정도 수준의 조직문화를 지니고 있는 반면, 미국의 지방정부들은 실적주의적 문화가 약간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이 또한 한국에서 BSC의 도입 효과가 미국 보다 더 크게 나타난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을 통하여 지방정부에 성과관리제도를 성공적으로 도입 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활용방안:
    연구결과는 대학에서 행정문화나 성과관리제도 관련 강의에 활용할 수 있으며, 지방 정부의 공무원들에 결과를 전달하여 성과관리제도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 색인어
  • 성과관리제도 도입 효과, 행정조직문화, 집단주의, 민주주의, 온정주의, BSC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