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825&local_id=10017530
판소리에서 감각 패턴의 연행적 기능과 의미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판소리에서 감각 패턴의 연행적 기능과 의미 | 2006 년 | 김현주(서강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673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판소리는 현장의 공연자가 발생시키는 온갖 청각적 자료와 시각적 이미지들을 현장의 수용자가 총체적으로 검색하고, 거기에 대해 자신의 신체와 추임새 등의 운동감각을 통해 반응을 표출하는 과정에서 그 의미작용이 일어난다. 그래서 판소리는 감각체계들이 상호소통하는 연행장르라고 할 수 있는데, 판소리 연행에서 각종 감각적인 요소들이 어떻게 기능하고 어떻게 의미작용하는가를 보아내기 위해서는 감각체계에서 일정하게 반복되는 규칙 또는 원리, 즉 감각 패턴을 포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판소리의 청각 패턴에는 창과 아니리가 교체 반복되는 패턴이라든가, 진양조의 늦은 장단으로 시작하여 중머리, 중중머리, 자진모리, 휘모리 등의 빠른 장단으로의 이동을 순환 반복하는 패턴이라든가, 특정 장단 구성에 특정의 조와 목구성, 붙임새와 시김새 등의 음률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그것이 반복되는 패턴이라든가, 그리고 고수의 북장단과 추임새가 일정한 원리에 의해 반복됨으로써 이루는 패턴 등이 있다. 각종 음률상의 진행과 휴지, 늦음과 빠름, 고조와 하강, 동과 정, 맺힘과 풀림 등의 교체 반복은 각각의 청각 패턴을 이루면서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예술적인 감흥을 불러 일으킨다. 창자의 몸동작과 얼굴 표정, 부채와 병풍, 돗자리 등 각종 소도구들도 일정한 작동 원리에 의해 운용됨으로써 하나의 패턴을 이룬다. 이러한 시각 패턴들은 사설 내용과 음률과의 밀접한 관계 하에서 형성되는데, 이들은 언어와 소리로 환기된 이미지에 밀도와 입체감과 역동감을 부여한다.
    청각 패턴과 시각 패턴에 의해 일으켜진 감흥은 청관중의 몸에 축적되어 운동감각적인 반응으로 초점화되어 나타나는데, 그것이 바로 추임새이다. 추임새는 단순한 외침 소리가 아니라 축적된 감흥이 폭발하는 것이기 때문에 몸 속 깊숙이에서 나오는 육화된 소리이다. 청관중 개개인의 심미적 반응은 물론 정도의 차이가 있고 반응의 표출 또한 다를 것이지만 추임새의 표현에도 일정한 패턴이 존재한다. 추임새는 대체로 박자상으로 공박이 된 공소 부분이나, 의미론적인 강조의 의미로서 의미상의 단락이 구분되는 곳이나, 소리 공력이 요구되는 곳에서 넣어지는데, 그것은 무언의 사회적 약속처럼 모두가 감정 표현을 조절하기 때문인 것이다.
    판소리의 청관중은 공연에 참여함으로써 거기에서 받은 감각 체험들을 조절하고 통제하고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예술을 향유하는 감각 운용 방식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행위이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감각 체험에 대한 감정 반응을 해나가는 방식에 대해 집단적으로 합의하고 공유하는 과정인 것이다. 판소리는 개인들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이는 판소리가 재현하고 있는 우주적 리듬에 자신의 삶의 리듬을 동조시키고, 그 리듬에 자신을 생리적으로 적응시킴으로써 자신의 생명력을 고양시키고자 하는 측면이다.
  • 영문
  • A function of sensory pattern in Pansori performance

    Audience in Pansori performance accepts all the sonic and visual datum which Pansori performers produce in the performing spot, and responds through the sensation of movement like as their body and Chuimsae(audience's flattering shout) in accordance with pleasure taken by the sonic and visual aesthetic feeling. In order to know these functioning process of sensory system, it is needed that we find sensory pattern repeating by a certain established rule or principle.
    The sonic patterns like as shift of song and talk, rotation from slow rhythm to past rhythm, combination of certain rhythm with certain beat, vocal sound, tone color, working system of throat, and grace etc., drumming rhythm and Chuimsae of drummer, cause the sensation of pleasure of audience by the repetition with a certain established rule or principle. The visual patterns of singer's gesture and facial expression, folding fan, and stage properties like as folding screen, grounding flat mat etc., take each meanings in relation with contents of story and musical elements. They give cubic effect and dynamic power to images awakened by language and sound.
    Audience's sensations of pleasure caused by sonic patterns and visual patterns are accumulated in audience's body, and they are exhibited in the form of flattering shout in the moment of blank in beat, semantic dislocation, and when Pansori singer concentrates his musical and dramaturgical energy to a high degree.
    Audience in Pansori performance learns how to manage their own sensory experience to the comtemporary representative art. It means that they participate in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hold social chemistry in common. On the other hand, audience in Pansori performance put their own life into vitality by taking part in the performance. Pansori holds cosmic rhythm in the structure which reflects cosmic movement with natural and physiological cycling paradigm in oriental tradition. Audience in Pansori performance uplift their own vital power by adapting themselves for the cosmic rhythm.

    Key Words : sensory pattern, sonic pattern, visual pattern, pattern of sensation of movement, sensory experience, Chuimsae(audience's flattering shou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판소리는 현장의 공연자가 발생시키는 온갖 청각적 자료와 시각적 이미지들을 현장의 수용자가 총체적으로 검색하고, 거기에 대해 자신의 신체와 추임새 등의 운동감각을 통해 반응을 표출하는 과정에서 그 의미작용이 일어난다. 그래서 판소리는 감각체계들이 상호소통하는 연행장르라고 할 수 있는데, 판소리 연행에서 각종 감각적인 요소들이 어떻게 기능하고 어떻게 의미작용하는가를 보아내기 위해서는 감각체계에서 일정하게 반복되는 규칙 또는 원리, 즉 감각 패턴을 포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판소리의 청각 패턴에는 창과 아니리가 교체 반복되는 패턴이라든가, 진양조의 늦은 장단으로 시작하여 중머리, 중중머리, 자진모리, 휘모리 등의 빠른 장단으로의 이동을 순환 반복하는 패턴이라든가, 특정 장단 구성에 특정의 조와 목구성, 붙임새와 시김새 등의 음률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그것이 반복되는 패턴이라든가, 그리고 고수의 북장단과 추임새가 일정한 원리에 의해 반복됨으로써 이루는 패턴 등이 있다. 각종 음률상의 진행과 휴지, 늦음과 빠름, 고조와 하강, 동과 정, 맺힘과 풀림 등의 교체 반복은 각각의 청각 패턴을 이루면서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예술적인 감흥을 불러 일으킨다. 창자의 몸동작과 얼굴 표정, 부채와 병풍, 돗자리 등 각종 소도구들도 일정한 작동 원리에 의해 운용됨으로써 하나의 패턴을 이룬다. 이러한 시각 패턴들은 사설 내용과 음률과의 밀접한 관계 하에서 형성되는데, 이들은 언어와 소리로 환기된 이미지에 밀도와 입체감과 역동감을 부여한다.
    청각 패턴과 시각 패턴에 의해 일으켜진 감흥은 청관중의 몸에 축적되어 운동감각적인 반응으로 초점화되어 나타나는데, 그것이 바로 추임새이다. 추임새는 단순한 외침 소리가 아니라 축적된 감흥이 폭발하는 것이기 때문에 몸 속 깊숙이에서 나오는 육화된 소리이다. 청관중 개개인의 심미적 반응은 물론 정도의 차이가 있고 반응의 표출 또한 다를 것이지만 추임새의 표현에도 일정한 패턴이 존재한다. 추임새는 대체로 박자상으로 공박이 된 공소 부분이나, 의미론적인 강조의 의미로서 의미상의 단락이 구분되는 곳이나, 소리 공력이 요구되는 곳에서 넣어지는데, 그것은 무언의 사회적 약속처럼 모두가 감정 표현을 조절하기 때문인 것이다.
    판소리의 청관중은 공연에 참여함으로써 거기에서 받은 감각 체험들을 조절하고 통제하고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예술을 향유하는 감각 운용 방식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행위이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감각 체험에 대한 감정 반응을 해나가는 방식에 대해 집단적으로 합의하고 공유하는 과정인 것이다. 판소리는 개인들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이는 판소리가 재현하고 있는 우주적 리듬에 자신의 삶의 리듬을 동조시키고, 그 리듬에 자신을 생리적으로 적응시킴으로써 자신의 생명력을 고양시키고자 하는 측면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판소리는 청각이나 시각적 감각들이 발산하는 심미적 국면들을 일정한 원리 하에 패턴화하고, 그 패턴들을 다양하게 교직하면서 최종적으로는 촉각적이고 운동감각적인 패턴으로 승화시킴으로써 삶의 다양한 국면들을 생체험하게 하고, 감정과 정서적 반응에 대한 재확인과 공고화를 통해 자신의 삶에 활력과 역동성을 부여하며, 타인과 더불어 세계에 대한 지각 방식을 집단적으로 공유하고자 하는, 지극히 한국적인 미의식 구조가 거기 담겨 있다. 판소리가 집단으로 하여금 감각 반응 방식을 공유하게 하고 개인적으로는 삶의 동력을 얻게 한다는 것은 달리 말하면 우리 민족이 자기정체성을 확인하는 하나의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판소리 사설이라는 내용적 주제적 의미가 아니라 판소리 공연 현장에서 우러나오는 정서적 의미를 전적으로 문제삼았기 때문에 앞으로 작품의 주제적 의미와 이러한 현장정서적 의미를 융합하는 방식으로 각 작품의 의미를 살핀다면 판소리 문학, 나아가 판소리 예술에 대한 종합적인 해석이 도출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 색인어
  • 감각 패턴, 청각 패턴, 시각 패턴, 운동감각적 패턴, 감각 체험, 추임새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