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870&local_id=10017710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의 한국소장품에 반영된 한국문화: 문화적 표상화의 문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의 한국소장품에 반영된 한국문화: 문화적 표상화의 문제 | 2007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협(전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10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11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인류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자연사박물관에는 방대한 양의 민족학적 유물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본 연구는 미국 자연사박물관이 소장하고있는 한국 유물과 한국 문화 관련 전시를 인류학에서 쟁점화되고 있는 타문화의 표상화 문제와 연계시켜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나도와 크네즈 수집품, 그리고 2007년 선을 보인 한국실의 전시 형태의 분석을 통하여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한국유물과 전시가 어떻게 미국인의 한국에 대한 인식, 더 나아가 그들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19세기 말 한국의 이미지는 서양과의 접촉이 없어 때 묻지 않은 동양 유물이 감추어져있는 '은자의 나라'였다. 1970년대에는 서구에서 시작된 산업화의 확산에 따른 '근대화'의 증거를 확인할 수 있는 현장으로 바뀌었다가, 2007년의 전시에서는 '오랜 역사'와 '냉전의 보루'라는 복합적인 이미지가 부각되는 변화를 보여 주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examine the Korean ethnological collections and exhibi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light of the current issues of cultural representation surrounding museum collections and exhibitions.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Smithsonian's natural history museum is that the museum not only has a large number of Korean ethnological collections but also it just opened a new permanent exhibition of Korean culture.
    Two Korean collections, Bernadou and Knez collections, were first examined,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exhibition at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close analysis, the Korea collections and the exhibition reflected American perceptions on Korea at respectively different times.
    In the late 19th century, as a distant 'other', Korea was perceived as a fertile ground for securing many exotic artefacts. Unlike China and Japan which were considered to be much more contaminated by the western influence, Korea was viewed as a virgin country which was still possessing the exotic, authentic traditional culture intact. Bernadou collected artifacts believing that those will reveal far different culture from the west.
    In 1950, Korea became well known to Americans because of the Korean War. America took a part in the war with a noble cause of protecting the free world of Capitalism by stoping the spread of Communism. Coming through such experiences, 'Korea' was reinvented as a Cold War bastion of belligerent polarities between two powerful world views. This is the reason why many Americans still remember Korea in relation to the Cold War context. However, entering into the 1960s, Korea launched an ambitious economic development plans, transforming her economy and society. Knez' collection was made within this framework of history. During the 1960s and 70s, modernization theory was prevailing in the American intellectual circles, and Knez collected artifacts to show this changing aspects of Korean culture. Although Korea has transformed from a hermit nation to a modernizing country, the fact that Korea is the only one country left that is still divided fails her to eliminate the image of the Cold War bastion. It was evident that this persisting image of Korea still lingers when Americans view the Korean exhibition at the museum.

    <Key concepts> Museum Anthropology, Ethnological collections, Korean culture, Cultural
    represent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인류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자연사박물관에는 방대한 양의 민족학적 유물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본 연구는 미국 자연사박물관이 소장하고있는 한국 유물과 한국 문화 관련 전시를 인류학에서 쟁점화되고 있는 타문화의 표상화 문제와 연계시켜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나도와 크네즈 수집품, 그리고 2007년 선을 보인 한국실의 전시 형태의 분석을 통하여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한국유물과 전시가 어떻게 미국인의 한국에 대한 인식, 더 나아가 그들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19세기 말 한국의 이미지는 서양과의 접촉이 없어 때 묻지 않은 동양 유물이 감추어져있는 '은자의 나라'였다. 1970년대에는 서구에서 시작된 산업화의 확산에 따른 '근대화'의 증거를 확인할 수 있는 현장으로 바뀌었다가, 2007년의 전시에서는 '오랜 역사'와 '냉전의 보루'라는 복합적인 이미지가 부각되는 변화를 보여 주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는 <한국문화인류학>에 발표하여 학계에서의 논의를 촉진시키고, 대학에서의 박물관 인류학 강의에서 자료를 널리 활용하도록 할 것임.
  • 색인어
  • 박물관 인류학, 민족학적 소장품, 박물관의 전시, 한국문화, 타문화의 표상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