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878&local_id=10019415
노인우울증의 정신약물 임상연구를 위한 연구디자인 및 규정 마련을 위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E00033 |
선정년도 |
2007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08년 05월 23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08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배경: 노인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척도의 한글화 및 타당성을 ȁ ...
배경: 노인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척도의 한글화 및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60세 이상의 지역사회 노인 1,060 명에게 PHQ-9 을 시행함. GDS, CES-D, 및 BD 점수오ㅘ 비교하ㅇ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함. ROC curve 분석을 시행함.
결과: PHQ-9 결과상 175명의 노인이 우울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885명을 정상범위에 속했다. PHQ-9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내적 일치도(r = 0.88)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였다(r = 0.60). GDS 및 CES-D와의convergent validity는 유의한 양성의 결과를 보였다. ROC 분석을 통해 5점을 진단의 절단점으로 제안하였다.
결론: 한글화한PHQ-9은 노인우울증의 평가 및 약물효과 판정에 적합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일차 진료 영역에서의 우울증 선별 및 치료효과 판정을 용이하게 하리라 기대된다.
-
영문
-
Objective: We evaluated the diagnostic validity of the nine-item depression module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in elderly Korean patients and suggest an optimal cut-off score to screen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s.
Method: The PHQ-9 ...
Objective: We evaluated the diagnostic validity of the nine-item depression module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in elderly Korean patients and suggest an optimal cut-off score to screen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s.
Method: The PHQ-9 and an elderly health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1,060 subjects over the age of 60, chosen using a stratified random sample of the community. The PHQ-9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GDS, CES-D, and BDI scores.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factor analysis, and ROC curve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PHQ-9 indicated that 175 subjects had depressive disorders and 885 subjects were rated as normal. The PHQ-9 showed significant positive internal consistency (r = 0.88) and test?retest reliability (r = 0.60). The convergent validity with GDS and CES-D was significantly positive (r = 0.74 and 0.66, respectively). We suggest a score of 5 as the optimal cut-off point when screening for depressive disorders using the PHQ-9.
Conclusions: The Korean version of the PHQ-9 is an appropriate diagnostic tool for depression, and a score of 5 is the optimal cut-off for Korean elderly. Screening for depression in the elderly using the PHQ-9 would be valuable when medically ill patients show depressive symptoms in a primary health care sett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노인에서의 정신약물 임상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연구 디자인 개발 및 규정 마련을 위해 듀크대학교 노인정신의학과 임상연구팀에서 환자 면담 및 자료분석의 연구업무를 담당하였고, Duke-NIH 임상연구 전문가 교육과정에 학위과정으로 참여함. 이를 통해 신뢰성 ...
노인에서의 정신약물 임상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연구 디자인 개발 및 규정 마련을 위해 듀크대학교 노인정신의학과 임상연구팀에서 환자 면담 및 자료분석의 연구업무를 담당하였고, Duke-NIH 임상연구 전문가 교육과정에 학위과정으로 참여함. 이를 통해 신뢰성 있는 합리적 연구 수행 (Resposible Conduct of Research)의 기본 시스템을 정리하였으며, 노인 우울증 임상연구 척도인 PHQ-9의 한글화 및 타당성 연구를 수행함. 이를 통해 정신약물 임상시험을 수행하고 연구결과를 보고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opulation
2. Venlafaxine versus Mirtazapine in the Treatment of Medically Unexplained Somatic Symptoms: A 12-Week Prospective, Open-label, Parallel-group Trial
...
1.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opulation
2. Venlafaxine versus Mirtazapine in the Treatment of Medically Unexplained Somatic Symptoms: A 12-Week Prospective, Open-label, Parallel-group Trial
3. Fluoxetine versus sertralin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undifferentiated somatoform disorder: a 12-week, prospective, open-label, parallel-group trial
이들 연구결과를 기초로 노인 우울증의 약물치료효과에 대한 적절한 임상시험 연구 디자인 설계가 가능함.
-
색인어
-
노인정신의학, 임상연구, 임상시험, PHQ-9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