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897&local_id=10020145
한국어 경음화에 대한 연구: 최적성 이론적 접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어 경음화에 대한 연구: 최적성 이론적 접근 | 2006 년 | 탁진영(세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74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11월 2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어에 나타나는 경음화현상을 최적성이론의 최근 경향인 후보자사슬이론(Optimality Theory with candidate chains)으로 분석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한국어는 후장애음경음화(Post-obstruent Tensification), 한자어경음화(Sino-Korean Tensification), 복합어경음화(Compound Tensification), 용언경음화(Predicate Tensification), 관형형어미 경음화(Modifier Tensification)의 다섯 가지의 현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다섯 가지의 경음화 현상을 후장애음 경음화로 설명한다. 즉 기저형에 있는 장애음이 규칙적으로 후행하는 장애음을 경음화하는 후장애음경음화로 한자어경음화(Sino-Korean Tensification), 복합어경음화(Compound Tensification), 용언경음화(Predicate Tensification), 관형형어미경음화(Modifier Tensification)을 분석한다.
    장애음경음화를 제외한 경음화의 경우, 본 연구는 역사학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기저형에 위치자질을 부여받지 않은 floating 장애음(i.e., Fobstruent)을 설정하고 이 음이 경음화를 일으킨다고 본다. 예를 들어, 관형형어미경음화의 고어형은 -ㄹᅙ 이고, 이는 고대국어 叱[sïět]에서 유래한 중세국어의 ‘ᅙ‘에서 기인한다(Oh 1989, 2003). 한자어 경음화는 차용어 과정에서 한자어의 종성 /t/가 규칙적으로 [l]로 실현되었다(Choi 1999). 복합어경음화는 genetive, temporal, locative, benefactive의 복합어에만 경음화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는 15세기에 이들 복합어에 사이시옷이 존재했었고 이는 17세기에 소멸되었다고 하는 사실이 Nam (1971)의 "The Middle Korean Dictionary"에 거론되고 있다. 관형형어미경음화는 /anta/ 'to embarrass'와 /anta/ 'to know (현재형)'와 같은 유사 단어의 구별을 위해 경음화를 일으키는 단어와 유성음화를 일으키는 단어로 구별하게 된다. 이 경우 모두 기저형에 위치자질을 부여받지 않은 floating 장애음(i.e., Fobstruent)를 상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한국어에 나타나는 다섯 가지 경음화현상은 공시적·통시론적 분석에 근거하여 floating장애음을 기저형에 설정하고 이 장애음이 후행 장애음의 경음화를 유도하는 것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후보자 사슬 최적성이론 (Optimality Theory with candidate chains)에 의거, 경음화현상이 음절 말에 자음군을 허락하지 않은 제약 *CC]과 장애음 뒤 장애음을 경음화시키는 제약인 Obstruent-[tense]가 상위에 위치하는 제약등급으로 쉽게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counterbleeing 불투명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Precedence constraint (Ident[tense], Max)로 셜명한다.
  • 영문
  • The present study analyzes various types of tensification in Korean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with candidate chains (McCarthy 2006, 2007). Two important issues are addressed in this analysis: (1) Korean displays more than one type of tensification: post-obstruent tensification, compound tensification, Sino-Korean tensification, modifier tensification, and predicate tensification (Kim 1967; Kim-Renaud 1974; Chung 1980; Ahn 1985, 1998, 2002; Oh 1988). (2) Compound tensification, Sino-Korean tensification, modifier tensification, and predicate tensification are characterized as having counterbleeding opacity in which the triggers are not visible in the surface structure.
    In this paper, the historically motivated latent segment Fobstruent is proposed, triggering tensification in compound tensification, Sino-Korean tensification, modifier tensification, and predicate tensification. (1) As for compound tensification, the genetive, locative, temporal, and benefactive marker of the first word, 叱, developed into siasios (ㅅ), is proposed in the underlying representation (Nam 1971, Oh 1988). (2) In cases of modifier tensification, it is suggested that tensification is attributed to the predicate modifier in the Middle Korean -l (-ㄹᅙ ). (3) In turn, this paper posits that the coda /t/ of Ancient Chinese words was systematically realized as [l] in loanword adaptation in Ancient Korean, based on Choi (1999). (4) The speaker's attempt to differentiate the same phonetic forms as in /anta/ 'to embarrass' and /anta/ 'to know' (present) results in tensification.
    The present study then proposes that (1) there is the latent (floating) feature F Obstruent in the underlying representation, based on historical data; it entails tensification. The paper further proposes that (2) the precedence constraint PREC (IDENT[tense], MAX) can account for the counterbleeding relation in tensifi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e present study analyzes various types of tensification in Korean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with candidate chains (McCarthy 2006, 2007). Two important issues are addressed in this analysis: (1) Korean displays more than one type of tensification: post-obstruent tensification, compound tensification, Sino-Korean tensification, modifier tensification, and predicate tensification (Kim 1967; Kim-Renaud 1974; Chung 1980; Ahn 1985, 1998, 2002; Oh 1988). (2) Compound tensification, Sino-Korean tensification, modifier tensification, and predicate tensification are characterized as having counterbleeding opacity in which the triggers are not visible in the surface structure. The present study then proposes that (1) there is the latent (floating) feature FObstruent in the underlying representation, based on historical data; it entails tensification. The this paper further proposes that (2) the precedence constraint PREC (IDENT[tense], MAX) can account for counterbleeding relation in tensification.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한국어에 다양하게 나타나는 경음화현상을 한가지 현상으로 설명함으로써 종전의 연구들이 간과했던 경음화 현상 간의 포괄적인 분석방법을 선택하였다. 한국어 경음화현상은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연구 되어온 분야이기는 하나 그 연구의 역사와 그 방대한 양에 비해서는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음운현상의 연구로 일관되어 왔고, 특히 규칙적인 현상(즉, 후장애음 경음화Post-obstruent Tensification, 복합어 경음화 Compound Tensification)에만 많은 연구가 집중되어 왔다. 다양하고 복잡한 한국어 경음화현상의 출현환경의 공통적 요건을 찾아내고 그 원인을 한 가지로 규명한 본 연구의 학문적 성과는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한국어 경음화현상의 고대·중세·근대 자료를 검토함으로써 통시적 자료와 공시적 자료의 접목을 시도하고, 이를 근거로 한국어 경음화현상을 일으키는 위치자질을 부여받지 않은 장애음(i.e., Fobstruent)을 기저형에 상정하여 복잡한 한국어 경음화현상을 한 가지 규칙으로 쉽게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 주게 된다. 이런 분석방법은 자료의 수용·접근 차원에서 볼 때 큰 의의를 갖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최적성이론 중 가장 최근 이론을 경음화 분석에 도입하여 최적성이론의 본질을 이해하는데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사려 된다. 그 결과 본 연구는 후속 연구의 방향제시에 도움이 되며, 한국어 경음화 연구를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역사언어학에 중요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려된다.
  • 색인어
  • post-obstruent tensification, compound tensification, Sino-Korean tensification, modifier tensification, predicate tensification, Optimality Theory with candidate chains, diachronic data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