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899&local_id=10017494
메리 로스 해독하기--『사랑의 승리』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메리 로스 해독하기--『사랑의 승리』를 중심으로 | 2006 년 | 홍유미(명지대학교& #40;서울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964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12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메리 로스(Lady Mary Wroth, 1587-1653)는 ‘자코비안 시대의 가장 다작을 했고 가장 자의식적이고 가장 인상적인 여성 작가’로 평가받으며 엘리자베스 케리(Elizabeth Cary)와 더불어 르네상스 영국을 대표하는 여성 작가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시, 로망스, 희곡에 걸쳐 여러 장르의 작품을 쓴 로스는 소넷 연작시를 쓴 최초의 영국 여성 작가이자 최초의 여성 산문 로망스 작가, 전원극을 쓴 최초의 영국 여성 작가라는 점에서 영문학사적 의미를 지닌 작가이다. 이미 영시 분야에서는 로스의 작품 󰡔우라니아󰡕(Urania, 1621)와 󰡔팜필리아가 암필란터스에게󰡕(Pamphilia to Amphilanthus, 1621)가 한국 학자들에 의해서도 주목받기 시작하고 있다. 로스의 희곡 󰡔사랑의 승리󰡕(Love's Victory, 1620)도 르네상스 시대 여성 작가들의 주요 작품집에 대표작으로 선별되어 새로운 정전으로 자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랑의 승리󰡕에서 여성 작가로서 메리 로스가 전원극의 형식을 취한 점과 남성 작가들과 다른 여성 작가로서의 그녀의 차별화된 글쓰기를 살펴본다.
    서론 부분에서는 메리 로스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와 󰡔사랑의 승리󰡕에 대한 비평적 접근방식들을 살펴본다. 2부 "로스의 아르카디아: 여성 중심 공동체에 대한 모색"에서는 전원극이라는 문학 장르를 이용하되 여성으로서 차별화되는 로스의 글쓰기에 주목한다. 먼저, 로스의 아르카디아는 정치적 맥락대신 신화적 차원에서 최고 권력자인 비너스가 지배하는 사랑의 아르카디아임을 살펴보고, 로스가 이렇게 설정한 의도와 의미를 생각해본다. 다음으로 로스가 지향한 아르카디아의 모습은 남녀의 성과 계급을 초월하여 만인이 평등한 모습을 보여주는 세계이며, 여성간의 우정과 여성 공동체를 보여주는 공간임을 실베스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여성 작가로서 로스는 비너스를 통해 여성이 막대한 권력 행사를 실현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주고, 실베스타를 통해 여성도 우정과 독신을 선택할 수 있는 남성과 동등한 존재임을 부각시키며, 여성간의 상호 이해와 결속이 부각되는 공동체의 모습을 󰡔사랑의 승리󰡕를 통해 구현시키고 있다.
    3부 "여성 작가로서 메리 로스의 차별화된 글쓰기 전략"에서는 이 작품에서 나타나는 남녀간의 구애관계와 강제결혼의 문제 그리고 이 작품의 결말처리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로스는 구애관계에 있어서의 여성의 제한된 역할에 대한 문제 의식을 내놓으며, 뮤젤라의 강제결혼이 현실에서 실현되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필리시즈와 뮤젤라 두 사람이 강제결혼을 거부할 대안으로 죽음을 자진해서 선택한 후 결국 다시 살아나 사랑의 힘을 증거해주고, 어머니 역시 잘못을 뉘우치고 두 사람의 결혼을 인정하는 것으로 작품을 결말짓는다. 이런 결말은 셰익스피어 작품의 다시쓰기 작업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메리 로스의 문학사적 의의를 자리매김한다. 전원극이라는 문학 장르를 이용하여 로스는 작품을 통해 현실에 대한 대안의 모습을 내놓는다. 성과 계급을 초월하여 만인이 평등하며 여성간의 우정과 여성 공동체가 부각되는 세계가 그것이다. 메리 로스의 󰡔사랑의 승리󰡕는 시드니 가문의 연애 사건을 담은 단일한 의미층을 지닌 알레고리 작품으로 단순화시켜 읽기보다는 남성 작가와는 차별화되는 전원극 형식을 이용한 작품으로 파악되고 문학 장르에 대한 여성의 차별적 글쓰기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다루어져야할 것이다. 또한 로스의 텍스트가 단순한 차원이 아니라 여러 겹의 의미층이 존재하는 다층적 텍스트이며, 말해지는 것만이 아니라 침묵하고 있는 부분에 대한 주의와 고려가 필요한 텍스트라는 것도 지적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표면적인 인물 짜맞추기 차원보다는 여성 작가로서 그녀의 두드러지게 드러내놓은 표면적 의미 아래의 숨겨진 심층적 의미를 추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많은 비평가들이 이용한 비유법처럼, 로스의 텍스트 분석은 숨겨진 알레고리 찾기 작업이자 하나의 해독 작업임이 분명하다.
  • 영문
  • Mary Wroth, recently evaluated as 'the most prolific, most self-conscious, and most impressive female author of the Jacobean era', and her poems have already drawn academic attentions from the Korean scholars. Judging that her play also deserves serious attention, this paper aims to explore her play, Love's Victory, in the aspect of the pastoral drama by a feminist writer who is differentiated from the male writers and who attempts to subvert the male-dominated literary genre and to construct the female community in her Arcadia.
    Although Wroth has been frequently illuminated as one of the Sidney members, recent criticism provokes new perspectives on her literary works, and some critics even place her as a writer as competent as Shakespeare beyond the boundary of a woman writer. However, this paper stands to illuminate her and her works in the light of a woman writer.
    Introduction part contains several critical attitudes toward Wroth and Love's Victory. Part II "Wroth's Arcadia: a pursuit for female community" mainly discusses Venus and Silvesta. Wroth puts her desire and her life itself in her main female characters, with them functioning as her 'alter ego', and containing her personal aspects: Venus as a being who can exercise the supreme power that the writer has to her characters, and who can bring a happy ending to the lovers that Wroth herself anticipated concerning her clandestine love and desire; Musella as a being who represents Wroth's love, unacknowledged in her society, sharing her desire to achieve it in this real world; Silvesta as a being who shares Wroth's single life as a widow. Part III "the differentiated writing strategy of Mary Wroth as a woman writer" explores issues such as wooing, forced marriage, woman's honor, and the unique aspects of the play differentiated from other male writers. Finally, conclusion part attempts to evaluate historical significances of Mary Wroth and her play, Love's Victory.
    In Love's Victory, Wroth, as a woman writer, provides an arena where a female figureㅡVenusㅡcan exercise the supreme power, which was quite impossible for her contemporary females; demonstrates women's equal capabilities by highlighting Silvesta's choices of friendship prior to love, and a single, chaste life instead of marriage. Using the literary form of a pastoral drama, Wroth achieves her Arcadia as one where female solidarity is conspicuous and ideal female community,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can be possible. Wroth deserves her place as a significant Renaissance female writer who constantly experimented literary forms and made contributions in th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Mary Wroth, recently evaluated as 'the most prolific, most self-conscious, and most impressive female author of the Jacobean era', and her poems have already drawn academic attentions from the Korean scholars. Judging that her play also deserves serious attention, this paper aims to explore her play, Love's Victory, in the aspect of the pastoral drama by a feminist writer who is differentiated from the male writers and who attempts to subvert the male-dominated literary genre and to construct the female community in her Arcadia.
    Although Wroth has been frequently illuminated as one of the Sidney members, recent criticism provokes new perspectives on her literary works, and some critics even place her as a writer as competent as Shakespeare beyond the boundary of a woman writer. However, this paper stands to illuminate her and her works in the light of a woman writer.
    Introduction part contains several critical attitudes toward Wroth and Love's Victory. Part II "Wroth's Arcadia: a pursuit for female community" mainly discusses Venus and Silvesta. Wroth puts her desire and her life itself in her main female characters, with them functioning as her 'alter ego', and containing her personal aspects: Venus as a being who can exercise the supreme power that the writer has to her characters, and who can bring a happy ending to the lovers that Wroth herself anticipated concerning her clandestine love and desire; Musella as a being who represents Wroth's love, unacknowledged in her society, sharing her desire to achieve it in this real world; Silvesta as a being who shares Wroth's single life as a widow. Part III "the differentiated writing strategy of Mary Wroth as a woman writer" explores issues such as wooing, forced marriage, woman's honor, and the unique aspects of the play differentiated from other male writers. Finally, conclusion part attempts to evaluate historical significances of Mary Wroth and her play, Love's Victory.
    In Love's Victory, Wroth, as a woman writer, provides an arena where a female figureㅡVenusㅡcan exercise the supreme power, which was quite impossible for her contemporary females; demonstrates women's equal capabilities by highlighting Silvesta's choices of friendship prior to love, and a single, chaste life instead of marriage. Using the literary form of a pastoral drama, Wroth achieves her Arcadia as one where female solidarity is conspicuous and ideal female community,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can be possible. Wroth deserves her place as a significant Renaissance female writer who constantly experimented literary forms and made contributions in th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메리 로스는 최근 여성 작가들의 발굴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한국에서도 영문학 분야의 르네상스 시대 영시 전공자들에 의해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작가이다. 다양한 문학 형식을 시도했던 로스는 당시의 전원극 형식으로 희곡 작품 『사랑의 승리』를 썼다. 이 작품은 그전에는 사본에 대한 몇몇 연구가 있긴 했으나 1988년에 처음 출판되었고 이후 많은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의 비평적 주목을 받아왔다. 1990년대에 와서 주도적인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이 이 작품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기 시작하였으나 아직 한국에서는 제목 정도만 알려져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중세 르네상스 영문학 분야에 새로운 연구 대상으로 이 작품이 소개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아울러 영미권에서의 이 작품과 관련한 비평 동향에 대한 소개 및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본 작품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르네상스 드라마 분야만이 아니라 시인으로서 로스를 연구하는 영시 전공자들에게도 한 작가의 다른 문학 장르에서의 글쓰기 문제에 대한 다른 측면을 보여주는 기회도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익한 연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본 연구자는 르네상스 시대 여성 작가들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작품 분석과 연구를 시도해왔다. 그 가운데 엘리자베스 케리의 작품에 대한 국내 최초의 연구논문을 발표한 바 있고, 아프라 벤과 같은 여성 작가의 작품도 연구하고 분석한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본 메리 로스에 대한 연구 역시 이러한 여성 작가와 여성 글쓰기에 대한 본 연구자의 기본 연구 방향과 관심의 일환이며, 그동안의 연구가 이번의 메리 로스에 관한 연구를 충분히 담당할 수 있게 준비해주었다고 생각한다.
    향후 기존의 연구와 이번 메리로스 연구 결과를 함께 묶어 르네상스 시대 주요여성작가의 작품 모음집과 논문 모음집을 출판해볼 계획이다.
  • 색인어
  • Mary Wroth, Love's Victory, pastoral, Arcadia, a woman writer, forced marriage, wooing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