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927&local_id=10022983
한국사회 이주 무슬림의 문화변이에 관한 연구: 다문화사회 속 코슬림(Koslim)과의 공존과 상생을 위하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사회 이주 무슬림의 문화변이에 관한 연구: 다문화사회 속 코슬림(Koslim)과의 공존과 상생을 위하여 | 2007 년 | 조희선(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62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10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제1차년도: 한국 이주 무슬림의 현황과 조직화

    본 연구팀은 이주 무슬림의 현황과 조직화에 대한 연구를 위한 준비단계로서 지속적인 독회를 통해 노동력의 국제이동, 에스닉 집단화, 이주자 집단의 조직화를 비롯한 이주자 일반에 대한 기존의 문헌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행하였으며, 법무부 출입국통계연보를 중심으로 이주 무슬림 전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지역별로 나누어 유입과 현황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이주 무슬림들의 유형과 조직화에 관한 공통 면접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영어ㆍ아랍어ㆍ터키어ㆍ인도네시아어ㆍ방글라데시어ㆍ우즈베크어, 카자흐어 등 지역별 언어로 번역하였다. 한국어본과 번역본으로 사전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번역상의 오류, 사회문화적 차이로 인해 이해하기 어려운 질문 등과 같은 설문 구성상의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였다. 또한 설문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여 문항 수를 조정하였다. 본 연구팀은 연구의 개시와 더불어 한국이슬람교중앙연합회, 이스탄불문화원, 안산 이주민센터 등 여러 관련 단체를 방문하고 관련 인사를 만나 조언을 구하고 도움을 요청하였다. 한편 연구자 각각의 개별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지역별 연구대상자를 물색하고 개인적인 만남을 수행해왔다. 지속적인 만남의 과정을 통해 연구자들은 이주 무슬림의 상담자 역할, 한국어 및 외국어 교사의 역할 등을 수행하기도 하였으며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연구 수행을 뤼해 연구대상자와 라뽀(Rapport)를 형성하였다.

    2. 제 2차년도: 한국 이주 무슬림의 정착
    본 연구의 1차년도에는 이주 무슬림의 현황과 조직화를 연구하여 노동력의 국제이동, 에스닉 집단화, 이주자 집단의 조직화를 비롯한 이주자 일반에 대한 기존의 문헌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행하였으며, 법무부 출입국통계연보를 중심으로 이주 무슬림 전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지역별로 나누어 유입과 현황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2차 년도에는 이주 무슬림들의 한국사회 적응을 혼인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정기적인 독회를 통하여 이주민의 문화적응 과정에서 이주민이 겪게 되는 사회적 갈등, 포용, 정체성 문제 등을 파악하고 한국사회에 적용될만한 사항을 주제로 삼아 면접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한편 연구자 각각의 개별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지역별 연구대상자를 물색하고 개인적인 만남을 수행해왔다. 지속적인 만남의 과정을 통해 연구자들은 이주 무슬림의 상담자 역할, 한국어 및 외국어 교사의 역할 등을 수행하기도 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대상자와 라뽀(Rapport)를 확대하였다. 본 연구팀의 연구진행과정과 내용은 관련 학계의 연구자들로부터 즉각적인 관심과 호응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에스닉과 다문화주의’, ‘문화적응과 정체성’과 같은 다양한 차원의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한편 각각의 연구원들은 개별적으로 발표한 논문을 총합하여 한국 이주 무슬림 전반의혼인과 정착, 문화적응에 대한 자료집과 공동논문을 발표하였다. 특히 자료집의 발간은 이주 무슬림의 문화적응 현황을 실증적으로 다룸으로써 주변 학문분야의 전공자 및 관련 기관의 관심 있는 사람들, 그리고 향후 이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후속세대에게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3. 제3차년도 : 코슬림의 정체성: 통합 혹은 주변화
    3차년도의 연구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우선적으로 코슬림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한국인들이 코슬림을 한국사회에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다문화 사회 속 코슬림의 위치를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 중 특정 집단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가를 조사하였고 이를 토대로 코슬림을 바라보는 시각과 인식, 태도를 분석 연구하였다. 설문대상은 전국 9 개 대학 캠퍼스의 학생 120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차년도 연구의 두번째 분야는 권역별 이주무슬림 출신 코슬림의 정체성과 생활세계에 대한 연구이다. 중앙아시아, 남아시가, 동남아시아 출신의 코슬림들이 한국사회에서 어떤 모습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이들이 향후 우리사회에 어떤 모습으로 적응할것인지, 정체성은 어떤 방식으로 형성해 나갈 것인지를 연구하였다. 3차년도 연구의 마지막 분야는 유럽의 이주 무슬림이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무슬림 이민자를 받아들인 유럽국가, 영국, 독일, 프랑스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늘어가는 이주무슬림에 한 정책적 제언을 모색하였다.
  • 영문
  • Korea is known as homeogenous nations throughout the history. But Korea's long history of being a homogeneous nation is facing a rapid change as Korea is fast becoming a multi-ethnic society with a growing number of foreign migrant workers, international students, and inter-racial marriages. Although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is the fastest growing debate in the Korean society, there is a big lackness that deals on the muslim community or immigrant in Korea.
    Considering the mentioned above, at the first year of research, we focused on the influx, adaptation, and social network of Muslim Immigrants in Korea as the first year subject of the government sponsored project 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of Immigrant Muslims in Korean Society: Coexisting with Koslims (Korean-Muslims) in a Multi-Cultural Society". To investigate and to collect data from various muslim groups in Korea, this study divided the Koslims into five categories; Arab Muslims, non Arab Middle East Muslims, Central Asian Muslims, South Asian Muslims, and South East Asian Muslims. In order to outline the Muslim communities in Korea, initially, this research has employed various statistic data as qualitative method. However this study was done mainly through field research using survey method. Questionnaire and a face-to-face interview were used to explain the peculiarity of the different Muslim communities in Kore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questions were prepared in 10 different languages. Based on fieldwork, this article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 and social network of the Muslim immigrants in Korea. It investigates not only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Koslims in Korea but also explores their adaptation and attitude toward the Korean community.
    At the second year of research, we focused on Marriage, Settlement and Acculturation of the Muslim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as the second year subject of the project 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of Immigrant Muslims in Korean Society: Coexisting with Koslims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uslim immigrants' intermarriage with the Koreans and their settlement in the Korean society. To be sure, the growing number of foreign brides and bridegroom are one of the important social issues in the Korean Multi-cultural debate.
    In order to outline the Muslim intermarriage status in Korea, this research has employed various statistic data as qualitative method. However this study was done mainly through field research using survey and a face-to-face interview to explain the peculiarity of the different Muslim communities' intermarriage trend in Korea.
    This study is one of the firs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intermarriage trend and the situation of the Muslim immigrants in Korea.


    At the third year of research, we focused on the second generation of immigrant Muslims in Korean society and their life-world, as the third year subject of the project.
    The influx of immigrant workers, mostly South Asian Muslims, and immigrants belonging to other Muslim groups, and the fact that it is mostly men, rather than women, who tend to marry Koreans, are factors which have led to claims that a so-called Koslim generation has emerged in Korea. Traditionally, children born to Muslim families automatically become Muslims in accordance with the religion, and this will, of course, proceed for subsequent generations.
    The research focused on marriages between immigrant Muslims and Koreans, and the experiences of the children of parents belonging to two generations of immigrant Muslims. The research could be significant in that it has yielded some insight into the ways in which Muslims adjust to Korean culture, thus providing a basis for evaluating the future prospects of this group, and understanding the ways in which their activities affect Korean society .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3년간 이루어진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이주 무슬림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주 무슬림 2세대라고 할 수 있는 '코슬림'(Koslim, Korean 과 Muslim의 합성어, 연구팀에서 만든 신조어)에 대한 개념을 확실하게 규정해야 할 필요가 증대되고, 이주 무슬림 및 코슬림에 대한 현황이나 실태의 파악도 필요한 시점에서 계획되고 수행된 연구이다.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한국사회에는 이주 무슬림들과 '코슬림'들의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유입과 현황, 유형과 조직화, 생활세계나 정체성, '코슬림'의 우리사회로의 통합 혹은 주변화와 같은 문화변이에 대한 통계나 자료 및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시의적으로 적절하고 매우 필요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첫째, 한국 이주 무슬림의 유입과 현황, 한국 이주 무슬림의 유형과 조직화를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방법으로 수집, 분석, 통계화 함으로써 한국 이주 무슬림에 대한 전반적인 통계자료를 확보하여 후속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한국 이주 무슬림들을 아랍계와 비아랍중동계, 중앙아시아계, 남아시아계, 동남아시아계로 분류하여 이들의 이주 현황과 유형, 조직화가 해당 지역의 사회구조 및 이슬람적 특성과 어떠한 연관관계를 맺는지 분석 연구하였다.
    둘째, 한국 이주 무슬림들이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이슬람적 관습과 가치를 보존하고 우리문화와 갈등하며, 또 어떻게 한국사회의 구조에 편입되는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혼인과 집단의 재생산 과정은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결국 이들의 정체성은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가를 연구함으로써 이주 무슬림들의 우리사회로의 통합, 분리, 주변화와 같은 문화변이과정을 점검해 보고자 하였다.
    셋째, 이주 무슬림들의 재생산을 통한 결과물인 코슬림의 정체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코슬림의 생활세계와 실천의 원리를 연구하여 우리사회 속에서의 이들의 문화변이의 정도를 연구하며, 코슬림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태도를 직접 설문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코슬림을 포용하여 건전한 다문화사회로 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넷째, 아랍계가 주로 거주하는 프랑스, 파키스탄을 비롯한 남아시아 계열의 이주 무슬림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영국, 그리고 비아랍계중동인들, 특히 터키인들이 이민자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독일 등, 이주 무슬림 공동체를 우리보다 앞서 경험한 유럽 각국 무슬림 커뮤니티의 현황과 문제점, 갈등과 주변화, 그리고 이들에 대한 각국의 정책적, 사회적, 법적인 제도 등을 점검해 봄으로써 향후 우리사회가 이주 무슬림 및 코슬림을 향해 어떠한 방법으로 다가갈 수 있을지에 대한 정책적 제안을 목표로 하였다.
    다섯째, 이주 무슬림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과 태도를 초중등과정 학생, 대학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류사회에서 보는 이슬람과 이주 무슬림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무슬림 혹은 코슬림들(아랍계, 비아랍중동계, 중앙아시아계, 남아시아계, 동남아시아계)이 보는 한국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와 비교해 봄으로써 서로간의 문화적 교감 혹은 이질감을 탐색하고 양 문화간의 간극을 줄일 수 있는 교차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연구결과

    1) 제1차년도: 한국 이주 무슬림의 현황과 조직화
    본 연구팀은 이주 무슬림의 현황과 조직화에 대한 연구를 위한 준비단계로서 지속적인 독회를 통해 노동력의 국제이동, 에스닉 집단화, 이주자 집단의 조직화를 비롯한 이주자 일반에 대한 기존의 문헌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행하였으며, 법무부 출입국통계연보를 중심으로 이주 무슬림 전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지역별로 나누어 유입과 현황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연구의 개시와 더불어 한국이슬람교중앙연합회, 이스탄불문화원, 안산 이주민센터 등 여러 관련 단체를 방문하고 관련 인사를 만나 조언을 구하고 도움을 요청하였다. 한편 연구자 각각의 개별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지역별 연구대상자를 물색하고 개인적인 만남을 수행해왔다. 지속적인 만남의 과정을 통해 연구자들은 이주 무슬림의 상담자 역할, 한국어 및 외국어 교사의 역할 등을 수행하기도 하였으며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연구 수행을 뤼해 연구대상자와 라뽀(Rapport)를 형성하였다.

    2) 제 2차년도: 한국 이주 무슬림의 정착
    1차년도의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2차 년도에는 이주 무슬림들의 한국사회 적응을 혼인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개인마다 구별되는 고유한 이주 경험과 사회적 경험을 심층적인 인터뷰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한국사회로의 구조적 편입과 혼인 및 적응, 나아가 정체성 형성에 대한 공통 면접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정기적인 독회를 통하여 이주민의 문화적응 과정에서 이주민이 겪게 되는 사회적 갈등, 포용, 정체성 문제 등을 파악하고 한국사회에 적용될만한 사항을 주제로 삼아 면접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팀의 연구진행과정과 내용은 관련 학계의 연구자들로부터 즉각적인 관심과 호응을 불러일으켰으며, ‘에스닉과 다문화주의’, ‘문화적응과 정체성’과 같은 다양한 차원의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3) 제3차년도 : 코슬림의 정체성: 통합 혹은 주변화
    3차년도의 연구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우선적으로 코슬림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한국인들이 코슬림을 한국사회에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다문화 사회 속 코슬림의 위치를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번째 분야는 권역별 이주무슬림 출신 코슬림의 정체성과 생활세계에 대한 연구이다. 중앙아시아, 남아시가, 동남아시아 출신의 코슬림들이 한국사회에서 어떤 모습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이들이 향후 우리사회에 어떤 모습으로 적응할것인지, 정체성은 어떤 방식으로 형성해 나갈 것인지를 연구하였다. 3차년도 연구의 마지막 분야는 유럽의 이주 무슬림이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무슬림 이민자를 받아들인 유럽국가, 영국, 독일, 프랑스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늘어가는 이주무슬림에 한 정책적 제언을 모색하였다.

    2.활용방안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
    본 연구는 국내 이주 무슬림에 대한 최초 연구로서 향후 국내 이주 무슬림 및 코슬림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국내에 유입된 무슬림과 코슬림의 통계자료를 제시함으로써 국내 이주 무슬림 연구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이주민 연구가 주로 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했다면 본 연구는 국내의 이주민 연구를 문화적, 종교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국내 무슬림과 코슬림 커뮤니티에 대한 사회, 문화적 분삭을 제시함으로써 본격적인 전문학술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들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태도를 연구함으로써 이주 무슬림 관련 정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사회적 기여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사회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이주 무슬림 및 코슬림 커뮤니티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타문화, 특히 이슬람 문화와의 차이를 인정하고 이들과 공존할 수 있는 사회적 인식을 확산시킬 수 있을것이다. 학술기관 및 연구단체 뿐만이 아닌 정부와 시민단체, 특히 관련단체나 이슬람단체 활동가들의 교육과 의식 변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주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은 결과물을 토대로 아랍, 중동,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관련학과, 인류학이나 사회학 관련학과의 전공이나 교양과목을 개발하여 교육프로그램에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학회, 연구소의 국문, 영문 학술지의 특별기획 주제로 기획하여 발표함으로써 후속연구를 자극할 것이다.
  • 색인어
  • 이슬람, 이주 노동자, 외국인 노동자, 이주 무슬림, 다문화, 문화적응, 코시안, 코슬림, 다문화 가족, 한국문화, 이슬람문화, 문화변이, 유학생, 결혼이민자, 이주민, 사회적 조직, 연결망, 집단거주지, 이슬람사원, 문화 변이, 적응, 에스닉집단, 에스니시티, 집단 정체성, 사회적 연결망, 국제결혼, 문화변이, 혼인동화, 아랍 무슬림, 비아랍중동 무슬림, 터키 무슬림, 중앙아시아 무슬림, 동남아시아 무슬림, 남아시아 무슬림, 중앙아시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