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964&local_id=10020659
한국과 미국의 국가 수준 학력 평가 방법 비교 -자국어 교과 기초학력 진단 평가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과 미국의 국가 수준 학력 평가 방법 비교 -자국어 교과 기초학력 진단 평가를 중심으로- | 2007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천경록(광주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93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에서는 자국어 교과와 기초학력 진단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과 미국의 국가수준의 학력평가 방법을 비교하였다. 비교의 대상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으로 매년 시행되어온 ‘초등학교 3학년 기초학력 진단평가(이하 줄여서 '초3기초학력진단평가'로 명명)’와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운영하는 평가 프로그램인 ‘ITBS(Iowa Tests of Basic Skills)’이었다. 한국의 초3기초학력 진단평가에서는 ‘읽기, 쓰기, 기초 수학’ 세 영역으로 나누어 평가하고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국어과에 해당하는 ‘읽기, 쓰기’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이 연구는 2002년에 시작되어 도입 초기의 혼란을 극복하고 정착단계에 들어서고 있는 초3기초학력진단평가의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이와 비슷한 외국의 사례를 수집하여 비교하고 시사점을 보고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意義)가 있다. 선행 연구 분석과 연구 요구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확정한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1) 한국의 초3기초학력평가의 특성은 어떠한가
    2) NCLB를 중심으로 한 미국의 국가수준 교육평가 정책 동향은 어떠한가
    3) ITBS에 대한 선행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
    4) ITBS의 전반적인 검사 특성과 개요는 어떠한가
    5) 자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한 ITBS의 검사 내용과 방법은 무엇인가
    6) 주(州) 수준의 ITBS 적용 사례는 어떠한가
    7) 초3과 ITBS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이며, 그것이 한국의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발전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상과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연구 방법은 크게 비교연구와 분석연구를 중심으로 접근하되 문화기술적 연구를 보조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별로 연구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3기초학력진단평가는 도입 초기의 혼란을 극복하고 정착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그러나 대규모 국가수준 학력평가로서 한 단계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 시점에서 초3기초학력진단평가를 전반적으로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국은 NCLB(No Child Left Behind) 법을 중심으로 연방정부가 강도 높게 주 정부의 교육에 개입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교육을 통한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검사 결과에 근거한 책무성 및 교육 개혁 전략으로 이해된다. 전반적으로 주 정부의 교육 자율성을 존중하되 연방 정부의 책임도 강화하는 추세였으며, 학업 성취 결과에 대한 책무성을 교사와 학교에 강하게 부여하고 있었다.
    셋째, ITBS는 80년의 역사를 통해 기초학력 진단평가 및 학업성취도 평가 분야의 대표적 평가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ITBS는 K-8학년이 응시하며 어휘, 읽기, 언어, 수학, 과학, 사회 연구, 정보원천 등의 하위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읽기, 수학 등을 강조하여 표본검사로 사용하고 있으며, 핵심검사, 종합검사 등으로도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었고, 검사결과의 분석과 보고 방법 등이 다양한 청중의 요구에 맞게 개발되어 있었다.
    넷째, ITBS의 어휘 검사, 읽기 검사, 언어 검사 등은 선다형 검사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초기능의 측정과 고등사고 기능 중에서 이해, 추론과 해석, 분석과 종합 등의 측정에 주력하고 있었으며, 쓰기의 고등사고기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성형 검사 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검사의 세부 영역 별로 충분한 문항을 확보하여 검사의 내용타당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다섯째, 미국 연방을 구성하는 하나의 주인 아이오와 주에서 ITBS의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ITBS를 NCLB와 관련하여 모든 학교에서 전집 검사로 사용하고 있었다. 평가 결과는 NCLB와 관련한 교사책무성과 학교책무성을 결정하는 자료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평가 결과가 공중에게 공개되고 있었다.
    끝으로, 초3과 ITBS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공통점은 두 검사 모두 절대적 기초학력관을 채택하고 있었다. 차이점은 초3은 준거지향평가인데 비해 ITBS는 규준지향평가란 점이다. 그리고 기초학력진단의 분할점수 결정 방법, 문항 구성의 틀, 하위검사별 문항의 수와 검사 시간 등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arge scale National Assessment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the Iowa Test of Basic Skills (ITBS). In Korea since 2002, every year Korea diagnostic basic skills test are administrated for 3rd grade students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KICE). In this study, the two testing programs were compared.
    Mostly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were used with interview and observation, focused on the test purpose, item development, test administration, reporting, utilization, and policy under the U.S. NCLB (No Child Left Behind) act.
    As a results, there were many commonalities and differentness between the two tests. The results revealed the weak points of Korea diagnostic basic skills test, and to present new direction of it.
    In conclusion, it is the time to redesign the Korea diagnostic basic skills test for its purpose and new development. Some recommendation are suggeste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be included not only diagnostic test but also achievement test as Korea basic skills test's purpose. The test should be developed based ‘general curriculum’. Many national norm scores, such as percentile rank, national stanine, standards score, and grade equivalent, should be developed also. Items should be developed multiple-choiced test. Number of test items should be increased, and test difficulty should go upward.
    Second, many reading and writing related sub topics were compared, and suggested such as construction of sub tests, item developing processes, item equivalent processes, item framework, reading passage difficulty, deciding cut score, and reading test's content specification.
    Third, many new test relate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such as test administration direction, test interpretative guides, reporting documents for variant audience. Test sampling should be included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alysis of sub group should be changed, teacher and school accountability should be more highly required.
    Finally, the test reports should be more easily assessed to the public, and test data should be assessed to researchers for further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읽기와 쓰기 검사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과 미국의 국가수준 학력평가 방법을 비교 연구하였다. 비교 대상은 한국의 초등학교 3학년 기초학력진단평가(이하 '초3'으로 명명)와 미국의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개발한 ITBS(Iowa Tests of Basic Skills)이였다. 비교의 준거는 검사의 목적과 관점, 검사 내용과 개발 과정, 검사의 시행, 결과 보고, 활용 정도, 검사 정책 등이었다. ITBS의 검사 정책은 NCLB(No Child Left Behind) 법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3과 ITBS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이점을 중심으로 초3의 개선 방향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초3은 기초학력 진단이라는 출범 당시의 고유한 목적을 수행하고는 있으나 대규모 국가수준 학력검사로서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재설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비교 대상인 ITBS는 80년 전인 1928년에 학력경시대회로 시작하였으나 현재 미국에서 국가적 수준의 기초학력 진단 및 학업성취도 평가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이 과정에 ITBS가 여러번에 걸쳐 검사의 성격을 수정해서 현재에 이르렀다.
    초3의 발전을 위해 검사 목적을 다양화해야 한다. 검사 목적을 현재의 기초학력 진단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 평가라는 목적으로 추가하여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검사 내용을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두되 교육과정의 개정과 관련 없는 보편적 내용으로 확립하고, 검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국가규준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문항 유형을 선다형으로 하고, 문항 구성의 틀은 이원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영역 당 문항 수를 현재보다 늘리고, 검사의 난이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기초학력 검사로서 쓰기 검사는 선다형으로 개발하고, 표현 및 구성 능력의 측정은 별도의 구성형 검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읽기 검사에서 문항 구성의 틀로 세부 내용 영역을 ‘사실적 이해, 추론 및 해석, 분석 및 종합’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읽기 검사 지문의 길이를 늘려 완결성을 높이고, 지문 당 문항 수를 늘려 지문의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검사 시행 및 결과 보고와 관련하여 표집 방법 개선, 검사 시행 지침서 개발, 규준점수 개발, 성취결과 기록표의 내용과 방법 개선 등이 필요하다. 국가수준 검사 보고서는 하위집단 분석 방법 개선, 결과 보고 모형 개선, 공중(公衆)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검사 정책과 관련하여 전반적으로 검사의 활용도를 높이고, 학교책무성과 교사책무성을 강화해야 하며, 검사 결과를 토대로 한 정책 수립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첫째, 교육과정평가원과 같은 국책 연구소에서 국가수준의 학력평가를 시행하는데 참고할 수 있다. 한국에서 국가수준의 국어과 기초학력진단평가의 시행은 2002년에 시작되어 아직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80년 전통의 ITBS의 검사 특성, 내용, 방법, 정책 등을 소개하였다. 연구 결과는 한국의 초3기초학력진단평가를 재설계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국학업성취도 평가와 같은 학업성취도 평가의 시행에도 참고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ITBS의 검사 도구 제작, 검사 내용, 검사 결과 해석 방법, 분할점수 결정 방법, 검사 기록표 제작, 검사 보고서 구성 체제 등은 국가수준 학력평가를 정착시키는데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의 초중등학교 교사 양성 및 연수 기관에서 국어과 평가와 관련된 교사의 전문성 신장(professional development)의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사의 전문성은 교수학습의 전문성, 평가의 전문성, 상담의 전문성, 학급 경영의 전문성 등 여러 방면에서 논의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중등학교에서 국어과를 가르치는 교사들을 상대로 외국의 선진화된 평가 기법과 평가 과정, 결과 해석, 활용 방안 등을 가르칠 수 있는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기초학력 진단에 대한 판단 능력, 학력평가 결과에 대한 해석 능력, 수준 구분을 위한 분할점수 결정 능력에 대한 연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교육과정 질 관리와 교육 정책 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규모 평가에 대하여 교사들은 대체로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자신이 담당한 학급이나 학교가 평가에서 다른 지역 학생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성취를 보였다면 그 책무성(accountability)이 모두 교사에게 있는 것처럼 해석한다. 그러나 이것은 옳다고 할 수 없다. 학습자들의 학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학습자, 교사, 지역, 가정, 학교 등 다양한 변인이 관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ITBS에서 사용되는 검사 결과의 해석 방법과 그에 따른 정책 결정 과정을 이해하게 되면, 이를 모델로 하여 한국에서 국어과 교육과정 질 관리와 교육 정책 수립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끝으로, 국가수준 국어과 학력을 향상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ITBS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를 참고로 하여 학생, 학부모, 교사, 교육행정가, 교육정책 결정자 등 다양한 교육 공동체의 구성원과 주체들이 각자 단위 학교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더욱 더 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각 교육의 주체들이 학력 향상을 막고 있는 원인을 규명하고 각자의 역할을 다하고, 서로 협동적인 노력을 하게 되면, 궁극적으로 한국의 국가수준의 국어과 학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자국어 교과, 국가수준, 학력평가, 기초학력, 진단평가, ITBS, 학업성취도 평가, 교육과정, 분할점수, 한국, 미국, 읽기, 쓰기, 문식성, 내용기준, 성취기준, 비교연구, 분석연구,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language arts, National level, ability test, basic skills, diagnostic test, ITBS, achievement assessment, curriculum, cut-off score, Korea, The U.S. reading, writing, literacy, content standard, achievement standard, comparative analysis, ethnography, KICE, ITED, NAEP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