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3966&local_id=10014160
개인 또는 남여 사이에서 통증자극에 대한 functional MRI 뇌반응 차이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개인 또는 남여 사이에서 통증자극에 대한 functional MRI 뇌반응 차이 연구 | 2007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재찬(연세대학교& #40;미래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E00049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Ⅰ.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남자 지원자 28명을 대상으로 통증에 대한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했다. 한 구룹 14명은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해서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남자 지원자를 대상으로 했다 (Low Anxiety Group = LAG). 다른 구룹 14명은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해서 불안감을 보통으로 느끼는 남자 지원자를 대상으로 했다(General Anxiety Group = GAG).

    1. 생물리학적 데이터(Biophysical data).

    표 1(원본파일에 탑재)은 GAG와 LAG를 비교한 테스토스테론과 통증 등의 데이터이다.
    테스토스테론 값은 GAG 구룹보다 LAG 구룹에서 통계적으로 높았다. 통증점수와 통증에 따른 불쾌감점수, 불안감점수는 LAG 구룹보다 GAG 구룹에서 높았다(여기서 각각의 점수: 0점은 전혀 통증이나 불쾌감 불안감이 없는 점수이고 100점은 통증이나 불쾌감 불안감이 가장 높은 점수이다).

    2. 통증에 대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데이타.

    표 2(원본파일에 탑재)는 GAG 구룹과 LAG 구룹에서 통증이 가해지기 전(anticipation period), 통증자극(pain stimulation period), 통증자극 후(poststimulation period)에 활성화 된 뇌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데이터이다. 여기서 Region of activation은 활성화 된 뇌의 부위이며, Talairach coordinate (X Y Z)는 이때의 뇌 좌표이며, Number of voxels는 활성화 된 voxel 수이고, SPM{t}는 활성화된 voxel의 최대 t값이다.

    표 3(원본파일에 탑재)는 GAG 구룹과 LAG 구룹에서 통증자극 시 상태불안감점수와 특성불안감점수와 뇌의 parameter estimates와의 상관계수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들어 첫 번째 값+0.790은 GAG구룹에서의 상태불안감점수와 왼쪽 posterior cingulate의 활성화된 parameter estimate값이 양으로 79%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때 P값는 0.001이다). 여기서 -는 음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4(원본파일에 탑재)는 GAG 구룹에서 통증자극 후에 얻은 parameter estimates와 테스토스테론치, 상태불안감점수, 특성불안감점수와의 상관계수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들어 첫 번째 값+0.900은 GAG구룹에서의 테스토스테론치와 오른쪽 중뇌의 활성화된 parameter estimate값이 양으로 90%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때 P값은 0.001보다 적다). 여기서 -는 음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5(원본파일에 탑재)는 LAG 구룹에서 통증자극 후에 얻은 parameter estimates와 테스토스테론치, 상태불안감점수, 특성불안감점수와의 상관계수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들어 첫 번째 값+0.835은 LAG구룹에서의 테스토스테론치와 왼쪽 superior frontal gyrus의 활성화된 parameter estimate값이 양으로 83.5%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때 P값은 0.001보다 적다). 여기서 -는 음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Ⅱ. 연구결과 활용 계획

    본 연구에서, 생물물리학적 데이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습니다. 그러나, 기능적 자기공명 데이터의 통계 값은 낮게 나왔습니다. 특히 기능적 자기공명 데이터를 구룹 별로 비교한 수치(표2)는 통계 값이 낮아서 저널에 투고하기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그래서 통증자극에 대한 개개인의 플라시보효과의 functional MRI 뇌반응 차이 연구를 지금 다시 시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4명 정도 더 실험을 시행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 영문
  • BACKGROUND: The changes in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ignal during anticipation, pain stimulation, and the poststimulation period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whether anxiety levels of male subjects affect brain activity.

    METHODS: Fourteen normal young volunteers were recruited from the low anxiety population (low anxiety group = LAG) and other fourteen normal young volunteers were recruited from the general anxiety population (general anxiety group = GAG).

    RESULTS: The pain and pain-related unpleasantness and anxiety rating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AG group than in the LAG group. Testosteron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G group than in the GAG group.
    During the anticipation of pain,the left cingulate gyrus and prefrontal gyrus and right anterioer cingulate were activated in the GAG group. During the pain stimulation period, the left middle temporal gyrus and right postcentral gyrus were activated in the GAG group, while the right frontal lobe and left superior temporal gyrus were activated in the LAG group. During post-pain stimulation period, the left medial frontal gyrus and right precuneus were activated in the GAG group.

    CONCLUSIONS: Pain ratings and fMRI responses to pain stimul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AG group than in the LAG group.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consider the effects of the anxiety levels in men when designing clinical or neuroimaging studies or when treating patients for pain and pain-related unpleasantness.

    were During surgical and medical procedures, requirements of anesthetic and analgesic and anxiolytic drugs may be reduced during the follicular phase and increased during the luteal phase.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consider the effects of the sex hormones in women when designing clinical or neuroimaging studies or when treating patients for pain and pain-related unpleasantnes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Ⅰ. 연구 목적 및 방법

    1. 당초 연구의 목적, 필요성 및 연구목표
    여성이 남성보다 더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더 자주 통증이 발생하며, 통증이 더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남녀 간에 또는 개인 간에 통증의 차이가 있다면 통증환자를 치료하는데 이를 반영함으로써 통증환자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통증을 좀 더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RI)를 사용해서 남녀사이의 또는 남녀 개개인의 통증의 차를 측정해 이를 임상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2. 당초 연구내용, 범위 및 방법
    통증자극에 대한 개개인의 반응은 개개인 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또한 진통제를 투여할 때도 진통제에 대한 반응이 각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남녀 간에 또는 개인 간에 통증의 차이를 좀 더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사용해서 남녀 사이의 또는 남녀 개개인의 통증의 차를 측정할 수 있다면, 이를 임상에 적용하므로서 통증치료에 큰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Ⅱ.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남자 지원자 28명을 대상으로 통증에 대한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했다. 한 구룹 14명은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해서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남자 지원자를 대상으로 했다 (Low Anxiety Group = LAG). 다른 구룹 14명은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해서 불안감을 보통으로 느끼는 남자 지원자를 대상으로 했다(General Anxiety Group = GAG).

    1. 생물리학적 데이터(Biophysical data).

    표 1(원본파일에 탑재)은 GAG와 LAG를 비교한 테스토스테론과 통증 등의 데이터이다.
    테스토스테론 값은 GAG 구룹보다 LAG 구룹에서 통계적으로 높았다. 통증점수와 통증에 따른 불쾌감점수, 불안감점수는 LAG 구룹보다 GAG 구룹에서 높았다(여기서 각각의 점수: 0점은 전혀 통증이나 불쾌감 불안감이 없는 점수이고 100점은 통증이나 불쾌감 불안감이 가장 높은 점수이다).

    2. 통증에 대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데이타.

    표 2(원본파일에 탑재)는 GAG 구룹과 LAG 구룹에서 통증이 가해지기 전(anticipation period), 통증자극(pain stimulation period), 통증자극 후(poststimulation period)에 활성화 된 뇌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데이터이다. 여기서 Region of activation은 활성화 된 뇌의 부위이며, Talairach coordinate (X Y Z)는 이때의 뇌 좌표이며, Number of voxels는 활성화 된 voxel 수이고, SPM{t}는 활성화된 voxel의 최대 t값이다.

    표 3(원본파일에 탑재)는 GAG 구룹과 LAG 구룹에서 통증자극 시 상태불안감점수와 특성불안감점수와 뇌의 parameter estimates와의 상관계수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들어 첫 번째 값+0.790은 GAG구룹에서의 상태불안감점수와 왼쪽 posterior cingulate의 활성화된 parameter estimate값이 양으로 79%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때 P값는 0.001이다). 여기서 -는 음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4(원본파일에 탑재)는 GAG 구룹에서 통증자극 후에 얻은 parameter estimates와 테스토스테론치, 상태불안감점수, 특성불안감점수와의 상관계수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들어 첫 번째 값+0.900은 GAG구룹에서의 테스토스테론치와 오른쪽 중뇌의 활성화된 parameter estimate값이 양으로 90%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때 P값은 0.001보다 적다). 여기서 -는 음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5(원본파일에 탑재)는 LAG 구룹에서 통증자극 후에 얻은 parameter estimates와 테스토스테론치, 상태불안감점수, 특성불안감점수와의 상관계수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들어 첫 번째 값+0.835은 LAG구룹에서의 테스토스테론치와 왼쪽 superior frontal gyrus의 활성화된 parameter estimate값이 양으로 83.5%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때 P값은 0.001보다 적다). 여기서 -는 음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색인어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통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