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100&local_id=10015797
보충어절과 관계절에 나타나는 that-t 효과에 대한 통시적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보충어절과 관계절에 나타나는 that-t 효과에 대한 통시적 분석 | 2006 년 | 박상수(부산외국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941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1월 0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보충어절과 관계절에 나타나는 that-t 효과에 대한 통시적 분석"의 연구목적은 보충어절과 관계절에서 드러나는 that-t(that-trace) 효과의 변별성을 통시언어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보충어 that은 고대영어와 전기중세영어 시대까지는 C에서 법성자질(mood feature)과 발화력 자질(force feature)을 포함하는 정형성 자질(finiteness feature)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that-t 효과가 적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후기중세영어 시대에 이르러 굴절어미 소실과 더불어 V-2이 사라짐에 따라 C의 that이 발화력 자질을 표시하고 일치자질(phi-feature)과 시제자질(tense feature)을 T에 전이하면서 that-t 효과의 적용을 받기 시작하였다. 보충어 that이 관계사 that으로 그 적용영역을 확장한 것은 굴절어미 소실과 함께 문법성(grammatical gender)으로부터 자연성(natural gender)으로의 변화와 관련된다. 보충어절인 that-절의 주어가 wh-의문사로 이동할 때와 달리 관계절의 주어가 wh-의문사로 이동할 때는 고대영어 이래로 현대영어에 이르기까지 that-t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주어 wh-이동과 관련하여 보충어절과 관계절에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that-t 효과의 비대칭 현상은 통사론적 의미론적 모호성(syntactic-semantic ambiguity)을 회피하게 위한 문법적인 장치이다. 이는 보충어절인 that-절로부터 wh-이동한 주어가 의문발화력 자질(interrogative force feature)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술발화력 자질(declaratve force feature)을 가지고 있는 that과 공존할 수 없어 that이 삭제되어야 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관계절로부터 wh-이동한 주어인 관계사가 서술발화력 자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서술발화력 자질을 가지고 있는 that과 공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that-t 효과는 현대영어 보충어절의 주어 wh-의문사 이동에만 적용되는 특수한 문법규칙인 셈이다.
  • 영문
  • Historical data show that the complementizer þæt began to be used as a finiteness marker along with the diachronic change of grammatical function from a demonstrative to a complementizer long before the OE period. When þæt/þat carried an overt indicative mood feature including a covert declarative force feature in OE and early ME, it did not trigger that-t effect. On the contrary, as þat/that began to carry a declarative force feature which was substituted for a demised indicative mood feature from late ME, it came to trigger that-t effect that was caused by the wh-moved empty subject from a complement clause. The spread of þat/that from a complementizer to a relativizer was related to the loss of inflections and the change of gender system.
    Given the functional extension of þat/that from a complementizer to a relativizer, it is not difficult to prove the historical fact that a relative clause with a wh-moved empty subject has exhibited counter that-t effect from OE through ME to ModE. In case of the internal Merge of a wh-word from the subject of a complement clause in ModE, since the force indicator on C is specified as an interrogative force feature, the complementizer that with a declarative force feature must be deleted to meet the syntactic condition of feature Agree and avoid misinterpreta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internal Merge of a relativized word from the subject of a relative clause and subsequent wh-movement, since the force indicator on C is specified as a declarative force feature, not as an interrogative force feature, the relativizer that with the declarative force feature should be spelled out to avoid syntactic-perceptual ambiguity in the course of feature Agree.
    In conclusion, we propose that that-t effect is not a universal rule but a ModE specific syntactic constraint which is applied to sentences only where the subject of a complement clause undergoes wh-movement by means of EPP.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paper proposes to account for contrastive that-t effect between complement and relative clauses from diachronic perspective. The complementizer that carried a finiteness feature denoted by a mood feature including a force feature in OE and early ME, so it did not trigger that-t effect. But as a force feature was substituted for a demised mood feature from late ME, it came to trigger that-t effect. The spread of that from a complementizer to a relativizer was related to the loss of inflections and the change of gender system. If a subject from a relative clause undergoes wh-movement, the derived structure has exhibited counter that-t effect from OE through ME to ModE. Regarding wh-subject movement, the deletion of that in the complement clause or the retention of that in the relative clause reflects the computational condition to avoid syntactic-perceptual ambiguity. Since a wh-moved subject from a complement clause carries an interrogative force feature, the complementizer that with a declarative force feature must be deleted on C. In case of a wh-moved subject from a relative clause, since the relativizer that carries a [-wh]-declarative force feature, it is compatible with a declarative force feature on C. This means that that-t effect is a specific rule which is applied only to wh-interrogatives in ModE.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 "영어 보충어절과 관계절에서 나타나는 that-t 효과에 대한 통시적 분석"에 대한 연구결과는, 영어사에 기초한 통시언어학적 검증을 통하여 that-t 문장구조의 문법기능 변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생성문법과 같은 공시언어학적 통사구조 연구를 통하여 제시되는 that-t 문장구조의 문법성 판단결과에 원리적인 설명을 가능케 함으로써, that-t 통사구조 변화의 동인과 결과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보충어절의 that-t와 관계절의 that-t의 문법성 설명에 타당성을 제시한다. 겉으로 서로 달라 보이는 보충어절의 that-t 구조와 관계절의 that-t 구조는, 이 두 유형의 통사구조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 특성을 통시적 변화과정을 통하여 설명적 타당성에 기반하여 설명함으로써, 그 언어내적 차이를 자연스럽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공시언어학적 방법으로 설명하는데 상당히 어려운 부분의 현대영어 통사구조나 문법내용이 통시언어학적 연구를 통하여 자연스럽고 원리적인 설명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일깨워줌으로써, 이와 유사한 영역에 있어서 연구내용의 활성화와 연구방법의 외연확장에 일조하게 될 것이다.
    ●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 본 연구결과가 실제 영어교육에 연계되어 활용되면, 보문소 that의 문법기능 변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영어수업 현장이나 영어를 실제로 사용하는 상황에서 that-t 문장과 관련한 문법규칙을 원리적으로 설명하고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that-보충어절과 that-관계절의 용법과 관련하여 교실현장의 영어교육의 학습효과를 높이고,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사용 능력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그러므로 that-t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기존의 가설적 공시적 이론을 발전시켜 보다 원리적이고 통시적인 접근방법을 통하여 that-t 문장구조의 문법성을 설명한 본 과제의 연구결과는 실제 영어학습과 관련된 영어교육으로 환류되는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영어학습의 관점에서 볼 때도 현실적으로 영어를 제2언어로 배우는 영어 학습자들이 that-t효과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의 폭을 높여 영어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를 경험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의 영어교육 목표에서 추구하는 영어사용의 정확성을 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과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that-t effect, complementizer that, relativizer that, indicative mood feature, declarative force feature, feature Agree, OE, ME, Mod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