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145&local_id=10017216
학생들의 성취도 변화점수에 기초한 학교효과 평가 모형 개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학생들의 성취도 변화점수에 기초한 학교효과 평가 모형 개발 연구 | 2007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성기선(가톨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76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8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성취도변화를 HLM의 성장모형(growth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이 모형은 학생들의 입학당시, 재학 중, 그리고 졸업 당시의 학업성취도 수준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횡단자료에 기초하여 학교의 효과를 분석하고 책무성을 묻는 것은 따라서 매우 비과학적이며 많은 오류를 생산하게 되는 우를 범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정보공시제도와 학교평가에서 적극 이 방법론을 도입하여야 한다. 입학수준이 높은 학교가 좋은 학교로 평가받거나, 명문학교를 입학하는 학생들이 많은 학교가 좋은 학교가 아니라 입학 수준에서 얼마나 성취도 향상을 꾀했는가라는 준거로 학교와 교사를 평가해야 한다면, 마땅이 이러한 성장모형을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취도 자료를 이용하여 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테스트 해 본 결과이다. 단순평균비교, aggreation, disaggreation, 기울기값 등의 점수를 이러한 성장모형과 비교함으로써 평가의 준거에 따라서 얼마나 학교평가와 순위가 변화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 영문
  • In this study, I used HLM growth model to determine the school effect. As a result, this growth model is best method for the evaluating school effect or teacher's efforts. So for the reliable evaluation of school, we have to adopt this model lat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를 통해서 성취하려고 하는 바는, 첫째 학교효과연구(school effect study), 학교 및 프로그램평가(school and program evaluation), 교원평가(teacher evaluation) 및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student achievement testing)를 연결시켜 설명할 수 있는 최신의 계량적인 연구방법론을 탐구하고 이를 학교평가에 실제 적용해 보는 것이다. 최근 교육정보공시제도의 도입과 이를 둘러싼 논쟁에서 학교가 고유하게 학생들을 어느 정도 변화시킬 수 있는가, 이 변화가능성을 어느 정도 객관적으로 측정가능한가,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어떻게 학교평가에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학생들의 성장점수를 고려하게 된다면 충분히 합리적인 방식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보며 이러한 방법에 대한 탐구를 이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둘째는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한국의 교육적 상황을 적합하게 설명할 수 있는 과학적인 학교 및 프로그램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물론 학교평가 모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나가기는 어렵다. 성취도 문제 뿐만 아니라 학교경영 전반을 총괄하고 교장, 교사 및 학생변인을 고려하고 한국적인 학교풍토의 특성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용이한 작업은 아니다. 다만 성취도를 중요한 평가의 준거로 설정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답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연구는 현재 데이타분석 및 해석 작업을 하고 있어 최종 결과가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학생들의 변화점수를 고려한 학교효과 평가가 가장 타당한 방법이라는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학교평가에 적극 도입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학교효과, 학교책무성에 대한 국제적 동향과 새로운 연구방법론 소개를 통해 학교효과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미국의 NCLB와 같은 교육정책의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 교육의 질제고, 책무성 평가 등의 정책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현실적으로 교육정보공시제도에서 학교단위의 성취도를 변화점수를 고려한 점수로 대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단위학교의 교육적 노력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 결과는 학문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도 학교평가와 학교효과 분석에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 색인어
  • 변화점수, 학교효과, 학교평가, HLM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