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162&local_id=10028018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를 통한 효과적인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멘토 특성의 적합 모형에 기초하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를 통한 효과적인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멘토 특성의 적합 모형에 기초하여 | 2007 년 | 김민정(전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56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1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이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의 심리적 특성과 멘토들의 심리적 특성 간의 적합 문제를 탐구하고자 한다. 둘째,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의 선행요인 및 효과에 대해 탐구한다.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이란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연결관계를 인식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셋째, 비공식 멘토링의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공식 멘토링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소수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거나, 공식 멘토링에 참가 중인 개인은 비공식 멘토링 관계가 없다는 가정하 에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 네트워크 이론 및 멘토링 이론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개인이 보유한 공식 멘토링과 비공식 멘토링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멘토링 관계 구도를 보다 광범위하게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0개 조직에서 사회 네트워크 자료 및 인지정확성, 개인 속성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사회 네트워크 분석, 다차항 회귀분석, 반응표면방법론, MRQAP 등의 분석방법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과제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테제와 멘토들의 긍정적 정서는 멘토링 네트워크 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들 둘 간의 부합에 대한 연구 결과 이들이 독립적으로 멘토링 기능을 예측하고 있음을 밝혔다. 둘째,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은 자기감시성향과 네트워크 관계교체 의향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그러나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과 개인의 성과 간에는 예측과 달리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 관계는 조직에서 실시하는 공식 프로그램의 수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으로 이어진다. 또한 비공식 멘토들에 대한 만족은 개인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공식 멘토링이 늘 양질의 기능만을 제공해주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멘토 성격의 영향을 받아 부정적 경험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이러한 부정적 경험은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특성에 의해 조절된다. 다섯째, 비공식 멘토링 기능을 통제하고도 공식 멘토링 기능은 개인의 태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개인은 동시에 공식 멘토와 비공식 멘토들로부터 효과적인 멘토링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끝으로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 수와 같은 네트워크 특성은 멘토의 태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 결과는 멘토링 및 사회 네트워크 연구계, 그리고 공식 및 비공식 멘토링에 관심이 있는 기업체 및 관리자들에게 주로 제공될 계획이다. 또한 조직 내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일반 조직구성원에게도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개인 수준에서 효율적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개인의 멘토링 네트워크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조직 내부에 펼쳐진 타인들 사이의 사회적 세상을 정확하게 지각하는 역량, 즉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을 배양하는 데에도 본 연구 결과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아울러 본 연구 결과는 대학, 기업체, 공공기관 등 다양한 조직들이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할 경우에도 역시 구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research project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formal mentoring and informal mentoring networks.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how a protege's and his or her mentors' positive affectivity combine to affect the mentoring network functions. Second, we investigated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accuracy in perceiving mentoring networks in the organization. Third,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formal mentoring as well as its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mentoring network. In addition, we suggested that there can be negative aspects to mentoring relationships and that formal mentoring program characteristics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i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gative experiences in mentoring. We collected network data, cognitive map, and attribute data from 10 organization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MRQAP, and polynominal regression analysis, we tested related hypotheses and have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ormal mentoring network characteristics, formal mentoring program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iveness. Ou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reas the protege's positive affectivity positively affects mentoring network functions, the mentors'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ly influences mentoring network effectiveness. Regarding the combined effects, the protege's PA and the mentors' PA independently predicted mentoring network functions. Second, the self-monitoring and the intention to leave relationships with current mentors affect positively the accuracy in mentoring network perception. However, the predicted relationship between the accuracy in mentoring network perception and individual performance was not supported. Third, in controlling the effects of informal mentoring network, formal mentoring functions explain the variances in individual attitud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In addition, we also found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informal mentoring affects the acceptance of formal program developed by the organization and that it affects individual behaviors such as OCB in interacting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mbining mentoring theory with social network theory, social cognitive theory, and psychology, this project contributes to extend the realm of mentoring research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both types of mentoring together. It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rs and organizations who need to create successful formal mentoring program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이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의 심리적 특성과 멘토들의 심리적 특성 간의 적합 문제를 탐구하고자 한다. 둘째,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의 선행요인 및 효과에 대해 탐구한다.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이란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연결관계를 인식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셋째, 비공식 멘토링의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공식 멘토링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소수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거나, 공식 멘토링에 참가 중인 개인은 비공식 멘토링 관계가 없다는 가정하 에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 네트워크 이론 및 멘토링 이론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개인이 보유한 공식 멘토링과 비공식 멘토링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멘토링 관계 구도를 보다 광범위하게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조직들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자료 및 인지정확성, 개인 속성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사회 네트워크 분석, 다차항 회귀분석, 반응표면방법론, MRQAP 등의 분석방법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프로테제와 멘토들의 긍정적 정서와 멘토링 기능 간, 자기감시성향 및 네트워크 관계교체 의향과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그 밖에도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와 공식 멘토링 간의 상호작용 및 효과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Drawing on mentoring theory and social network theory, this research project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formal mentoring and informal mentoring networks.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how a protege's and his or her mentors' positive affectivity combine to affect the mentoring network functions. Second, we investigated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accuracy in perceiving mentoring networks in the organization. Third,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formal mentoring as well as its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mentoring network. In addition, we suggested that there can be negative aspects to mentoring relationships and that formal mentoring program characteristics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i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gative experiences in mentoring.
    We collected network data, cognitive map, and attribute data from various organization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MRQAP, and polynominal regression analysis, we tested related hypotheses and have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ormal mentoring network characteristics, formal mentoring program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iveness. The result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rs who meed to create successful formal mentoring program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과제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테제와 멘토들의 긍정적 정서는 멘토링 네트워크 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들 둘 간의 부합에 대한 연구 결과 이들이 독립적으로 멘토링 기능을 예측하고 있음을 밝혔다. 둘째,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은 자기감시성향과 네트워크 관계교체 의향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그러나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과 개인의 성과 간에는 예측과 달리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 관계는 조직에서 실시하는 공식 프로그램의 수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으로 이어진다. 또한 비공식 멘토들에 대한 만족은 개인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공식 멘토링이 늘 양질의 기능만을 제공해주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멘토 성격의 영향을 받아 부정적 경험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이러한 부정적 경험은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특성에 의해 조절된다. 다섯째, 비공식 멘토링 기능을 통제하고도 공식 멘토링 기능은 개인의 태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개인은 동시에 공식 멘토와 비공식 멘토들로부터 효과적인 멘토링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끝으로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 수와 같은 네트워크 특성은 멘토의 태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 결과는 멘토링 및 사회 네트워크 연구계, 그리고 공식 및 비공식 멘토링에 관심이 있는 기업체 및 관리자들에게 주로 제공될 계획이다. 또한 조직 내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일반 조직구성원에게도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개인 수준에서 효율적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개인의 멘토링 네트워크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조직 내부에 펼쳐진 타인들 사이의 사회적 세상을 정확하게 지각하는 역량, 즉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을 배양하는 데에도 본 연구 결과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아울러 본 연구 결과는 대학, 기업체, 공공기관 등 다양한 조직들이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할 경우에도 역시 구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ur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reas the protege's positive affectivity positively affects mentoring network functions, the mentors'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ly influences mentoring network effectiveness. Regarding the combined effects, the protege's PA and the mentors' PA independently predicted mentoring network functions. Second, the self-monitoring and the intention to leave relationships with current mentors affect positively the accuracy in mentoring network perception. However, the hypothesi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uracy in mentoring network perception and individual performance was not supported. Third, in controlling the effects of informal mentoring network, formal mentoring functions explain the variances in individual attitud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In addition, we also found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informal mentoring affects the acceptance of formal program developed by the organization and that it affects individual behaviors such as OCB in interacting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mbining mentoring theory with social network theory, social cognitive theory, and psychology, this project contributes to extend the realm of mentoring research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both types of mentoring together. It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rs and organizations who need to create successful formal mentoring programs.
  • 색인어
  • 사회 네크워크; 공식 멘토링;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 Social networks; Formal mentoring; Informal mentoring; cognitive accuracy in network percep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