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185&local_id=10015767
혼혈의 역공간성과 정신병리: 미국극의 흑백혼혈여성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혼혈의 역공간성과 정신병리: 미국극의 흑백혼혈여성 | 2006 년 | 정병언(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1013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3월 0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미국흑백혼혈인의 역공간은 결코 흑백간의 경험이 자유롭게 교섭되는 공간도 아니며 차별의 경계가 해체된 차별없는 공간이 아니다. 󰡔혼혈아󰡕, 󰡔올빼미가 대답한다󰡕, 그리고 󰡔결혼반지󰡕에서 정신적․물리적 역공간은 경계가 소멸된 공간이 아니라 피부색과 물리적 분할을 기반으로 차별이 끊임없이 작동하는 감금의 공간이다. 그 지점은 여느 흑백의 차별적 공간처럼 사회적 분할(divisions)이 지리적 분할처럼 공간화되어 있다. 에드워드 소자(Edward Soja)가 "공간화되지 않은 사회적 실재란 존재하지 않는다"(There is no unsaptialized social reality)(Urban Interpretations 46)라고 주장하는데, 그에게 있어서 지리적 공간의 분할 및 구획은 사회적 차별을 위한 분할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분할은 단순히 물리적인 분할에만 국한되지 않고 거리를 통한 이분법적 차별에 근거한 "상상적 지리"에도 해당된다.
    인종차별적 공간성 담론을 내면화한 흑인혼혈인의 주체가 위치한 역공간은 결코 바바가 말하는 "문화적 혼성성들을 인정하고자 하는 복합적이며 진행적인 교섭"(a complex, on-going negotiation that seeks to authorize cultural hybridities)(2)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지점이 아니다. 백인이면서 동시에 혼인인 혼혈인이 차지하는 공간은 흑인의 여느 공간과 마찬가지로 혼혈인의 해방의 욕망이 억압되는 곳이다. 실제적이면서 상상적인 공간성의 담론은 공간의 사회생산과 차이의 문화정치, 그리고 그것이 흑백혼혈여성에게 미치는 정신병리학적 현상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간성과 정신병리학적 담론을 기반으로 <혼혈아>, <올빼미가 대답한다>, 그리고 <결혼반지>에서 역공간에 처한 흑백혼혈의 주체가 생산되는 방식을 인종, 권력, 그리고 정신병리학과 연관지어 분석할 것이다. 특히 흑백혼혈여성들이 어떻게 백인의 차별적 공간정치에 의해 정신병리적 증상을 갖게 되며, 또 그러한 증상이 지닌 정치적 의미를 밝혀낼 것이다.
  • 영문
  • Liminality of Miscegenation and Its Mental Pathology:
    Black/White Women in American Drama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spatial liminaility of black/white women has an influence on their mental pathology, by focusing on miscegenation in Langston Hughes's Mulatto, Adrienne Kennedy's The Owl Answers, and Alice Childress's Wedding Band. The liminal space of the mixed race is not a free zone, but a differentiated space on a basis of skin color. This paper duscusses how Black/white women suffers from various kinds of pathological symptom caused by their liminality along with its political mean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문화지리학(cultural geography)의 공간이론과 인종문제의 관계 맺기에서 발생하는 역공간(liminal space)의 개념을 해석하고, 이러한 해석을 바탕으로 미국극작가들의 작품들―디온 부시코(Dion Boucicault)의 󰡔혼혈아󰡕(The Octoroon), 애드리언 케네디(Adrienne Kennedy)의 󰡔올빼미가 대답한다󰡕(The Owl Answers), 그리고 앨리스 차일드러스(Alice Childress)의 󰡔결혼반지󰡕(Wedding Band)―에 나타난 흑백혼혈여성의 역공간의 정치적 함의를 DSM-IV["Schizophrenia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297-344]의 정신병리학적 정의에 입각하여 읽어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흑백혼혈여성의 역공간의 경험을 정신병리학적 개념들―정신분열증, 편집증, 신경증 등―과 연관지어 해석하는 것은 공간생산의 정치적 함의뿐 아니라 문학텍스트를 하나의 문화지리학 및 정신병리학에 입각한 사회학적 텍스트로 접근하는 것이다. 이는 흑인문화와 백인문화 사이에 존재하는 흑백혼혈인의 복잡한 "정신적 풍경"(psychic landscapes)(Brown 17)을 공간과 정신병리의 개념으로 분석하여 미국의 인종차별로 인한 사회병리적 현상을 밝히는 데 의의를 지닌다.
    흑백혼혈여성이 위치한 물리적·정신적 역공간성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샤론 쥬킨(Sharon Zukin)의 "역공간",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사회적 중간상태"(social limbo), 그리고 호미 바바(Homi Bhabha)의 "제 3의 공간"(third space)와 양가성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원용한다. 흑인인 동시에 백인인 흑백혼혈여성들은 "중간적 상태"에 처해 있지만, 그들의 중간적 역공간은 여타 흑인의 공간과 마찬가지로 피부색에 기초한 "구별짓기"(distinction)의 아비투스가 발현되고 백인의 지배를 위한 "상징적 폭력"(symbolic violence)이 끊임없이 가해지는 지점이다[Pierre Bourdieu,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trans. Richard Nice (Cambridge: Harvard UP, 1984) 97-244]. 중간적 존재로서 그들이 경험하는 "이중의식"은 백인의 인종피부색을 기준으로 한 차별적 구별짓기를 법이나 사회관습으로 체계화하는 백인사회에서 정신병리를 생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혼혈아󰡕, 󰡔올빼미가 대답한다󰡕, 그리고 󰡔결혼반지󰡕에서 흑백혼혈여성이 "구별짓기"의 사회적 관습체계가 통용되는 사회에서 겪게 되는 정신병리적 현상의 정치성을 밝히고, 미국의 복잡한 인종갈등의 문화현상을 사회병리의 측면에서 공간성의 개념으로 파악한다. 이들 작품에 대한 기존의 비평은 주로 인물중심으로 정체성의 문제와 흑백간의 갈등을 존재론적 입장에서 분석함으로써 백인의 지배체제를 비판적으로 읽은 것인 반면, 본 연구는 역공간에 처한 흑백혼혈여성의 정신병리적 경험에 주안점을 두어 인종적 "구별짓기"가 어떻게 그들의 정신병리를 생산하는 기제로 작동하는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공간사상가들의 개념들―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의 공간성(spatiality), 앤소니 기든스(Anthony Giddens)의 시공간의 일상화(time-space routinization), 그리고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의 상상적 지리(imaginary geographies)―에 의거하여 흑백혼혈여성들의 역공간성의 정치적 함의 및 정신병리학적 의미를 분석한다. 이는 흑백혼혈여성의 무의식적 욕망과, 넓게는 인종차별이 내재화된 미국문화의 억압적 상황에 처한 흑백혼혈인들의 일상적 삶의 제 조건을 정확히 진단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말하자면, 본 연구는 세 작품을 흑백혼혈여성의 "정신적 풍경"을 담아낸 사회병리학(social pathology)의 텍스트로 해석하고, 이를 통해 미국의 인종차별적 문화현상을 이해하고 진단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삼는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흑인혼혈여성을 그려낸 미국극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는 국내에서도 많이 수행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역공간이론이나 문화지리학적 관점을 이러한 극작품의 해석에 적용하거나 원용한 논문들은 없다. 그러나 서구에서는 참고문헌에서 보듯이 앙리 르페브르, 앤소니 기든스, 데이비드 하비, 에드워드 소자 등 공간이론에 대한 연구가 이미 활발하게 진행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최근들어 󰡔공간과 사회󰡕와 󰡔문화과학󰡕이라는 잡지가 각각 공간이론에 관한 특집을 낸 바 있으며, 그 예로서 전자는 「사회 공간적 갈등과 지역정치」라는 특집제목으로, 후자는 「서울 연구를 위하여」이란 특집제목으로 여러 편의 글을 싣고 있다. 또한 후기 자본주의의 도시를 공간이론으로 분석한 󰡔공간과 비판사회이론󰡕(에드워드 소자 지음, 이무용외 옮김)과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데이비드 하비 지음, 구동회, 박영민 옮김)과 같은 번역서들이 있다. 이와 같이 국내외에서 공간이론에 대한 연구는 행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서구에서는 20세기초부터 사회병리학에 관한 관심의 결과로서 󰡔사회병리학󰡕(Social Pathology)이라는 똑같은 제목으로 D. M. Mann과 S. A. Queen(1925), George Mangold (1932), J. L. Gillin(1939), 또 E. M. Lemert(1951)에 의해 쓰여졌으며, 최근에는 Barones Barbara의 Social Area and Social Pathology(1978), Jerome Braun이 편집한 Social Pathologies in Comparative Perspective(1995)이 있을 정도로 사회병리학에 관한 저서뿐 아니라 이를 실제의 삶에 원용한 수많은 연구 논문이 있다. 그러나 국내외에서 공간이론 및 사회병리학을 문학작품 특히 흑백혼혈인을 그려낸 극작품의 해석에 원용하여 논의한 논문이나 저서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미국극에서 흑백혼혈여성의 역공간성을 정신병리학적인 입장에서 그 정치성을 읽어내는 데 「미국 정신병학회」에서 펴낸 DSM-I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el of Mental Disorders, 4th ed., 2000)를 참고한다. 이 연구는 정신병리학과 현재 서구 학계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공간이론을 문학작품의 해석방법으로 원용하여 문학작품이 하나의 문화지리학적 정신병리학의 텍스트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 작업이다. 이 작업은 문학텍스트를 하나의 사회병리학적 텍스트로 간주하고 사회를 공간 및 정신병리의 측면에서 접근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이 연구는 흑백간의 복잡한 문화현상을 문화지리학과 정신병리학의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미국흑인, 특히 흑백혼혈인의 일상적 공간이라는 역공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하는 데 일조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흑백혼혈인의 일상적 삶에서 공간의 정치나 법 제도가 어떻게 권력이나 이데올로기와 연관되어 "상징적 폭력"으로 기능하며 정신병리를 일으키는가를 밝히는 것으로서, 이는 공간이론과 정신병리학을 통한 극작품의 새로운 읽기가 갖는 가치를 입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셋째, 더 나아가 이러한 접근 방법은 공간의 정치가 실제의 현실 공간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라는 문제로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 점에서 이 연구방법은 극작품을 통해 흑백혼혈인의 역공간성으로 인한 그들의 분열증적 삶뿐 아니라 미국의 복잡한 인종적 문화현상을 예지적으로 추론하고 평가하는 하나의 총체적 접근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이 연구방법은 문학작품의 해석에 국한되지 않고 흑백문제, 더 나아가 21세기의 문화와 사회병리현상의 연구를 위한 중요한 틀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분과학문을 넘어 학제간 연구를 시도하는 방법론이다.
  • 색인어
  • 역공간성, 정신병리, 미국극, 흑백혼혈여성, 공간, 랭스턴 휴즈, 애드리언 케네디, 앨리스 칠드러스, 르페브르, 푸코, 사회적 재생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