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194&local_id=10019373
17세기 국어 부정문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17세기 국어 부정문 연구 | 2006 년 | 박형우(한국교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651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0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7세기 부정문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니다’ 부정문에서는 이전의 중세국어 시기나 현대국어의 시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17세기 ‘아니’ 부정문과 ‘못’ 부정문에서는 전반적으로 단형부정문보다 장형부정문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단일어 용언의 경우에도 1:3 정도로 장형부정문이 우세하다는 것은 장형부정문화의 경향이 전체 부정문에서 일반화되어 정착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17세기 부정문의 특징을 중세국어와 비교하면 그 유형의 단순화라고 할 수 있다. 중세국어의 여러 문법 형태가 사라진 것이 이러한 부정문 유형이 단순화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장형부정문화의 비율을 형태적 특징과 관련해 살펴보면 ‘아니’, ‘못’ 부정문에 관계없이 ‘합성어>파생어>단일어’순으로 장형부정문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어간이나 어근에 고유어가 포함된 경우와 한자가 포함된 경우로 서술어를 나눠 살펴보면 한자가 포함된 경우가 고유어 서술어의 경우보다 장형부정문화의 경향이 더 강하다. 그리고 한자 어근을 가진 서술어는 ‘아니’ 부정문보다 ‘못’ 부정문에서 장형부정문화의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중부정문의 경우에도 선후행 형식이 모두 장형부정문을 이룬 경우가 있는데 이는 단형부정문의 형성 제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영문
  •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negative sentences in 17c is as follow.
    Firstl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anita' negative sentences in 17c and previous 'anita' negative sentences
    Secondly, generally long forms were found more than short forms in 17c negative sentences. In any case of 'ani' and 'mos' negative sentences, long forms were found more than short forms. Long forms were three times than short forms in negative sentences which have a single word as predicate. This state show that in negative sentences the tendency of long form was settle down in 17c.
    Thirdly, the another characteristic of Korean negative sentences was that types of negative sentences were simplified in 17c as compared with earlier types. The disappearance of many grammatical forms caused Korean negative sentences to be simplified.
    Fourthly, the tendency of long form is concerned with the morphologic construction of predicates in negative sentences. A degree of the tendency is as follow. "compound words > derivative words > single words".
    Fifthly, when we classify predicates by a kind of root, the tendency of long form is stronger in case of predicates which have a root of Sino-Korean than predicates of Korean native language. And In case of predicates which have a root of Sino-Korean, the tendency is stronger in 'mos' negative sentences than 'ani' negative sentences.
    Finally, in case of double negative sentences, there are some negative sentences which have long forms not only in preceding forms but also following forms. The existence of these double negative sentences seems to be resulted from the restriction on forming short for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characteristics about Korean negative sentences in the 17th century. In this paper used method is to classify and collect statistics of negative sentences in the 17th century Korean literatures, then to reclassify according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edicates.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ani'(don't)' and 'mos(can't)' negative sentences except for 'malta(forbid)' negative sentence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7세기 부정문의 유형을 단형부정문과 장형부정문으로 나누고, 각각의 유형을 다시 서술어로 쓰인 용언의 형태론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그 분포 비율을 통해 17세기 부정문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니다’ 부정문에서는 이전의 중세국어 시기나 현대국어의 시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위군위친통곡가’에 특수한 예가 보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예로 보기는 어렵다.
    17세기 ‘아니’ 부정문과 ‘못’ 부정문에서는 전반적으로 단형부정문보다 장형부정문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비율은 사실 중세국어의 자료와 비교하여 볼 때 큰 차이점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17세기 부정문의 특징은 장형부정문화보다는 유형의 단순화라고 할 수 있다. 중세국어의 문법 형태가 사라지면서 다양했던 이전의 부정문 유형이 단순화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술어에 쓰인 용언을 단일어, 파생어, 합성어로 분류하여 부정문의 유형을 살펴보면 모두 장형부정문이 우세하게 나타나지만 그 비율을 보면 ‘아니’, ‘못’ 부정문에 관계없이 ‘합성어>파생어>단일어’순으로 장형부정문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어간에 고유어가 포함된 경우와 한자가 포함된 경우로 서술어를 나눠 살펴보면 고유어가 포함된 경우에는 ‘못’ 부정문보다 ‘아니’ 부정문에서 장형부정문화가 좀더 강하게 나타나지만, 한자가 포함된 경우에는 ‘아니’ 부정문보다 ‘못’ 부정문에서 장형부정문화의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중부정문의 경우 이전에 나타나지 않던 특이한 유형이 나타나는데 그 분포가 특정 문헌에 한정되고 있어서 실제 언어 생활 속에서 등장하는 부정문 유형이라기보다는 특정 문헌의 문체적 특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선후행 형식이 모두 장형부정문을 이룬 경우가 있는데 이는 단형부정문의 형성 제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색인어
  • 17세기 부정문(negative sentences in the 17th century), 단형부정문(short form negation), 장형부정문(long form negation), 분포 비율(distribution rat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