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203&local_id=10015538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동영상 기반 정착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동영상 기반 정착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2006 년 | 허승준(광주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800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0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동영상 기반 정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과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목적 1. 통합학급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영상 기반 정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연구목적 2. 개발된 정착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한다.
    - 연구문제 1: 교사들은 정착수업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 연구문제 2: 정착수업이 학습부진아동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 연구문제 3: 정착수업이 학습부진아동의 자발적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 연구문제 4: 정착수업이 비장애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 연구문제 5: 정착수업이 비장애아동의 수업방해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2. 연구참여자
    연구목적 2를 달성하기 위해 5명의 초등학교 교사가 정착수업을 중재하였고, 5개 학급에서 총 185명의 3학년 초등학생들이 정착수업에 참여했다.

    3. 연구설계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 문화기술적 연구, 단일대상 연구,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 등이 사용되었다.

    4. 연구결과
    가. 문헌분석을 통해 정착수업의 개발 원리를 도출하였다: 동영상 기반 제시 형식, 이야기 형식, 생성적 학습 형태, 내재된 자료 설계, 문제의 복잡성, 교육과정간 연계. 도출된 개발 원리를 적용하여 동영상 기반 정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나. 개발된 정착수업을 적용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정착수업을 통해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시킬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통합학급 수업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또한 학생들도 자신의 능력에 맞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모둠의 문제 해결에 적극 참여하였다.
    둘째, 정착수업에 참여한 학습부진아동들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58%의 수학성취도 향상을 보였다. 특히 이 성취도 향상은 문장제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착수업에 참여하는 동안 학습부진아동들은 기초선 기간 대비 평균 140%의 자발적 수업참여도 향상을 보였다.
    넷째, 정착수업에 참여한 비장애아동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다섯째, 정착수업에 참여하는 동안 비장애아동들의 수업방해행동은 기초선 대비 60% 감소되었다.
  • 영문
  • 1.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ideo-based anchored instruction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 in inclusive classroom. The specific resesrch purposes and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purpose 1. Develop a video-based anchored instrution program.
    Research purpose 2. Analyze the effects of the anchored instruction program.
    - Research question 1: What teachers do in inclusive classroom during implementing anchored instruction
    - Reaesrch qeustion 2: What are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on the math achievement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on the volitional classroom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 Research question 4: What are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 Research question 5: What are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on the classroom interruption behavio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2. Participants
    The paricipants of the study were five elementary teachers and 185 3rd-grade students from five classrooms.

    3. Research desig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employed several research designs such as resrarch analysis, ethnography, single-subject design, an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4. Results
    1) This study achieved several principles of developing anchored instruction such as video-based presentation format, narrative format, generative learning format, embedded data design, problem complexity, and links across the curriculum. The study developed an anchored instruction program acording to these principles.
    2)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were as follows. First,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could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their instruction actively and have self-confidence of implementing instruction in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problem solving with performing their roles in their group activities.
    Second,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who participated in the anchored instruction improved 58% of math achievement compared with the baseline.
    Third, during participating in the instruction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improved 140% of volitional classroom participation compared with the baseline.
    Forth,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anchored instru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ed group.
    Fifth, the classroom interrup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anchored instruction had decreased 60% compared with the baselin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동영상 기반 정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첫 번째 목적은 통합학급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영상 기반 정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두 번째 목적은 개발된 정착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문제 1: 교사들은 정착수업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 연구문제 2: 정착수업이 학습부진아동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정착수업이 학습부진아동의 자발적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4: 정착수업이 비장애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5: 정착수업이 비장애아동의 수업방해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연구목적 2를 달성하기 위해 5명의 초등학교 교사가 정착수업을 중재하였고, 5개 학급에서 총 185명의 3학년 초등학생들이 정착수업에 참여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 문화기술적 연구, 단일대상 연구,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헌분석을 통해 정착수업의 개발 원리를 도출하였다: 동영상 기반 제시 형식, 이야기 형식, 생성적 학습 형태, 내재된 자료 설계, 문제의 복잡성, 교육과정간 연계. 도출된 개발 원리를 적용하여 동영상 기반 정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정착수업을 적용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정착수업을 통해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시킬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통합학급 수업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또한 학생들도 자신의 능력에 맞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모둠의 문제 해결에 적극 참여하였다. 둘째, 정착수업에 참여한 학습부진아동들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58%의 수학성취도 향상을 보였다. 특히 이 성취도 향상은 문장제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착수업에 참여하는 동안 학습부진아동들은 기초선 기간 대비 평균 140%의 자발적 수업참여도 향상을 보였다. 넷째, 정착수업에 참여한 비장애아동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다섯째, 정착수업에 참여하는 동안 비장애아동들의 수업방해행동은 기초선 대비 60% 감소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헌분석을 통해 정착수업의 개발 원리를 도출하였다: 동영상 기반 제시 형식, 이야기 형식, 생성적 학습 형태, 내재된 자료 설계, 문제의 복잡성, 교육과정간 연계. 도출된 개발 원리를 적용하여 동영상 기반 정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정착수업을 적용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정착수업을 통해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시킬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통합학급 수업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또한 학생들도 자신의 능력에 맞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모둠의 문제 해결에 적극 참여하였다. 둘째, 정착수업에 참여한 학습부진아동들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58%의 수학성취도 향상을 보였다. 특히 이 성취도 향상은 문장제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착수업에 참여하는 동안 학습부진아동들은 기초선 기간 대비 평균 140%의 자발적 수업참여도 향상을 보였다. 넷째, 정착수업에 참여한 비장애아동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다섯째, 정착수업에 참여하는 동안 비장애아동들의 수업방해행동은 기초선 대비 60% 감소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통합학급 수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사들에게 효과적인 정착수업 프로그램을 보급하여 통합학급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이 연구는 정착수업 연구자들이 연구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앵커와 정착수업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통합학급 수업 연구 기반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통합학급 교육에 효과적인 수업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현장 통합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넷째, 상황인지와 상황학습의 구체적 실현 형태인 정착수업의 효과 검증을 통해 학문적 성과를 구축하는 데 일조할 것이다.

  • 색인어
  • 정착수업, 통합교육, 앵커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