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230&local_id=10018443
한국 현대 생태소설의 서사적 유형과 텍스트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현대 생태소설의 서사적 유형과 텍스트 분석 | 2006 년 | 전혜자(가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730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0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환경위기 양상의 문학생태학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가 ‘에코시대’임을 절감하고 환경, 생태소설을 통해 생태위기의 현실을 파악하고 한국생태소설의 문제점과 전망을 가늠하기 위한 전초작업이다. 뿐만 아니라 생태비평적 세계관의 양상을 형상화한 텍스트분석을 통해 형식적, 미학적 특성을 조감하고 문학생태적 비평의 의의를 모색한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1970년대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그 이후 현재까지 발표된 소설로 환경오염에서 출발, 생태위기에 이르기까지 총 66편을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와 달리 생태소설의 문학적 가치를 미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것으로 그 서사유형을 아래와 같이 다섯 가지로 나눈다.

    첫째 다큐적 특성과 고발, 비판의식, 둘째 산업화와 문명화의 부작용, 셋째 도시화와 왜곡된 욕망의 분출, 넷째 영혼과 자연의 교감, 다섯째 생태주의자의 표층적 양상과 피상적 의식으로 나눈다. 또한 텍스트분석은 소설의 주요 특성을 중심으로 작가소개, 스토리, 담론, 초점화, 주제의식, 시간과 공간, 인물의 존재방식과 유형, 플롯의 방법과 종류, 문학생태적 비평의 의의 등 9가지 요소로 나누어 텍스트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이 연구는 생태문학을 연구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기초자료의 의미를 지닌다. 특히 다문화시대의 생태담론의 이야기와 이야기하기가 전통적 이야기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점에서 독자의 기대지평과의 관련연구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미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작품 속에 나타난 생태위기현실을 파악하고 그 극복대안과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문학 일반은 물론 사회일반에 생태의식을 환기시켜 환경위기의 현실을 직시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전망을 확보함은 물론 21세기의 새로운 담론으로 한국현대 생태소설이 바람직한 장르로서 확립되는데 기여가 될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is a literary ecological research to represent an aspect of environmental danger in Korean modern fiction. This study is a previous work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ecological crisis and solve the problem in Korean modern ecological novel after deeply realizing the 'Eco Period' that we face.

    At the same time, this study tried to find an aspect from the point of the world through text analysis, and searching for meaning of literary ecological criticism. Specifically, this novel has consisted of 66 works which ranged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to ecological danger since the industrialization of 1970s. Being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nvestiga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literary value of ecology in the aesthetic manner.

    The narrative is classified as five types as follows. First is th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prosecution, and critical consciousness. Second is the harmful side effects of civilization. Third is urbanization and the overflow of distorted desire. Fourth is the mutual response between the spirit and nature. Fifth is the outer aspects and surface consciousness of ecologist. Finally, text analysis intend to investigate nine factor such as writer introduction, story, discourse, focalization, theme, time and space, type and the way character live in, kind and way of plot and the meaning of literary ecocriticism.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fundamental materials to all the researcher who have investigated literary ecocriticism, concerning the technique of storytelling and story in traditional storytelling manner. At the same time, identifying ecological danger appeared in works and suggesting the alternative and prospective plan to overcome it, this study contributes to remind the society and literature in general of ecological consciousness, confront the current environmental crisis and lead to have social prospective in Korean modern Eco-Novel. Futhermor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ettlement of a genre as a new discourse in 21centu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현대 소설에 나타나는 환경위기 양상의 문학생태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생태소설의 이야기와 이야기하기를 내용과 형식적 측면에서, 또한 생태비평이론을 배경으로 문학생태적 비평의 의의를 조감한 것이다.
    대상작품은 총 66편으로 1970년대 산업화에서 출발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각종 문학잡지의 비평, 환경단체가 선정한 작품, 또는 환경문학 수상작 등에 걸친 것이다. 내용과 형식면의 연구는 소설의 주요 요소인 스토리, 담론, 초점화, 주제의식, 인물의 존재방식과 유형, 플롯의 방법과 종류를 중심으로 서사특성을 분석했으며 그 배경으로 생태비평이론 즉 사회생태론, 심층생태론, 생태페미니즘이론을 기준으로 생태소설의 가능성과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그 결과 서사유형은 다음의 다섯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다큐적 특성과 고발, 비판의식으로 강기희의 <동강에는 쉬리가 있다> 외 24편을 들 수 있다. 둘째, 산업화와 문명화의 부작용으로 김영래의 <숲의 왕> 외 16편이며 셋째, 도시화와 왜곡된 욕망의 분출로 서정인의 <붕어> 외 9편을 들 수 있다. 넷째, 영혼과 자연의 교감으로 김성동의 <산난> 외 7편이며 다섯째, 생태주의자의 표층적 양상과 피상적 의식으로 공선옥의 <수수밭으로 오세요> 외 5편을 들 수 있다.
    또한 생태비평론적 측면에서 볼 때 사회생태론적 시각이 지배적이다. 총 66편 중 39편이며 심층생태론적 시각은 19편이고 에코페미니즘 시각으로 비평적 의의를 적응시킬 수 있는 것은 8편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으로 생태위기의 근원이 사회적 요인에 있으며 사회생태주의자들이 주장하듯이 인간이 인간을 지배하고 통제하는 지배와 위계라는 사회적 유형에서 생태위기가 초래됨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와 달리 생태소설의 문학적 가치를 미학적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으로 환경, 생태소설을 통해 생태위기의 현실을 파악하고 한국생태소설의 문제점과 전망을 가늠하기 위한 전초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생태비평적 세계관의 양상을 형상화한 텍스트분석을 통해 문학생태적 비평의 의의를 모색한 연구라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21세기를 대표하는 화두로 문학생태학적 의의를 현대소설에 접맥시킨 점이 학문의 기여도 측면에서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세계성을 가진 환경, 생태소설을 한국문학 속에 정립시킨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효과를 지니기 때문이다.
    둘째, 사회적 기여도의 측면에서 국가적인 차원의 환경정책 수립에 참고가 된다. 생태소설이 제기하는 생태위기의 심각성이 일반대중과의 관계에서 국가차원의 개발사업 계획정책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인력양성 방안의 측면에서 생태담론은 후속연구자들에게 국내 생태비평 담론의 활성화를 가져와 다양한 논의와 연구를 환기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넷째, 교육과의 연계활용 방안의 측면에서 생태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제기된 인간의 탐욕에 대한 경계와 자연과 인간의 공생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간의 인격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문학생태학 강의는 문학의 사회적 기능과 미학적 기능에 대한 숙고를 유도하며 문학의 다양성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 일으켜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킬 수 있는 매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색인어
  • 문학생태학, 생태의식, 생태비평, 심층생태론, 사회생태론, 생태페미니즘, 생태소설, 생태적 전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