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250&local_id=10016755
중국소수민족의 生死觀과 葬法에 미친 자연환경의 영향에 대한 연구 -- Silk Road와 Tea Road의 종교문화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국소수민족의 生死觀과 葬法에 미친 자연환경의 영향에 대한 연구 -- Silk Road와 Tea Road의 종교문화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 2006 년 | 김용표(한신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03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1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논문은 모두 6개의 챕터로 구성되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동기와 범위를 밝혔다. [제2장 자연환경과 생각의 패러다임]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인류의 자연환경은 크게 ‘열린 공간’과 ‘닫힌 공간’으로 구분된다. 그 구분은 물론 시각적인 요인도 있지만, 외부로부터의 접근성이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열린 공간’에 거주하는 인류는 모든 것을 현상학적이며 직선적 ․ 분리적 ․ 투쟁적 ․ 배타적인 생각의 틀로 바라보는 ‘시각적 패러다임’이 발달하고, ‘닫힌 공간’에서는 내면적 ․ 곡선적 ․ 결합적 ․ 포용적으로 바라보는 ‘청각적 패러다임’이 발달한다.
    [제3장 실크로드와 티로드의 자연환경과 주검의 처리 방법]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시각적 측면과 외부로부터의 접근성을 고려해볼 때, 실크로드는 ‘열린 공간’과 ‘닫힌 공간’의 복합적 성격을 지닌 자연환경이라고 할 수 있으며, 티로드는 ‘밀폐된 공간’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이렇게 서로 상반된 자연환경을 지닌 실크로드와 티로드에서는 그 주검의 처리방법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주검의 처리방법은 외부의 문명세계와 격리된 지역일수록 자연환경의 요인에 크게 좌우된다. 현재 전 지역이 일률적으로 매장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실크로드 지역의 주검 처리방법은 불교/이슬람교가 전파되기 이전에는 절대적으로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았으나, 실크로드가 본격적으로 개척되어 점차 ‘열린 공간’이 되어가자 인문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다양한 장법을 채택하고 있는 티로드 권역은 아직도 인문환경보다는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보아도 실크로드의 소수민족의 사유방식은 다분히 ‘열린 공간’적인 성격이 강한 ‘복합 공간’으로서의 ‘시각적 패러다임’에 속하며, 티로드의 그것은 ‘밀폐된 공간’의 ‘청각적 패러다임’에 속하는 것임을 짐작할 수 있겠다.
    [제4장 실크로드의 자연환경과 생사관]에서는 실크로드 권역 이슬람문화가 집약된 위수프 하스 하지프의 『복락지혜(福樂智慧)』에서 엿보이는 생사관을 분석 규명하였다.『복락지혜』는 현상을 중시하는 측면과 함께 영적(靈的)인 측면도 동시에 중시하는 ‘복합 공간’으로서의 ‘시각적 패러다임’을 지니고 있다. 예컨대 우주의 구성 원리를 <정신계(영혼) + 중간계 + 물질계(육체)>로 인식하고, 삶과 죽음을 <현세 ⇒ 중간계(죽음) ⇒ 내세>와 같은 일련의 영적 진보과정으로 인식하며, 선/악의 이원론적 사유방식을 보이는 것은 시각적 패러다임에 속한다고 하겠다. 그러면서도 징계와 형벌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영혼의 정화와 치료 과정으로 인식하는 측면은 일정 부분 ‘청각적 패러다임’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제5장 티로드의 자연환경과 생사관]에서는 티베트불교문화의 핵심 문헌텍스트인 빠드마삼바바(連花生)의 『사자(死者)의 서(書)』를 주된 연구대상으로 삼아 ‘밀폐된 공간’에서 탄생한 청각적 패러다임의 면면을 고찰하였다. 책의 원명은『바르도 퇴돌(Bardo Thos -grol)』인 바, ‘Bardo(둘do 사이bar)’는 ‘낮과 밤의 사이’라는 뜻이며, ‘Thos-grol’은 ‘듣는 것으로thos 영원한 자유에 이르다grol’는 뜻이다. 이 책에 담긴 소리를 한 번 듣는 것으로 삶과 죽음 사이에서 영원한 자유에 이른다는 책 이름부터 대단히 청각적이다. 또한 삶과 죽음을 하나로 인식하고 여섯 단계의 바르도가 순환하는 체계로 설명하고 있음은 가장 내면적이고 결합적인 청각적 패러다임의 면모를 확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제6장] 결론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서로 상반된 자연환경을 지닌 실크로드와 티로드에서 주검의 처리방법 및 생사관에 있어서 서로 뚜렷하게 대비되는 현상이 발견된다는 점은, 자연환경이 권역 소수민족의 제반 문화현상에도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추론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사실은 향후 중국학/문화학/종교학의 후속 연구에 있어 중요한 기본 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영문
  • The Influence of Natural Environment upon the Traditional View of Life and Death and the Methods of Funeral of Minorities in China: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Silk Road and The Tea Road

    This study puts its purpose on finding the influence of naturalenvironment upon a view of life and death, and the way of a funeral. For this purpose we have made a selection of most reasonable cases in China. They are the minorities of The Silk Road and The Tea Road, and their natural environments. As you know, the natural environments of The Silk Road is different with ones of The Tea Road, and in the views of life and death of the minorities of two Road’s surroundings we can find some remarkable differences, and also it is very interesting for us to look to a lot ofdiscrepancies in the method of funeral of both areas.
    Then, what is the relation of natural environment to their view of life and death and to the way of funeral in the cases of minority peoples in China. We have tried to discover the relation by two academic methods. One was the analysis to typical literatures of two regions, Hajif’s Knowledge of Happiness(福樂智慧) in case of The Silk Road and Padmasambhava’s(連花生) The Book of Death(死亡之書) in case of The Tea Road. In these books we could find the influences of natural environment upon the view of life and death of minority peoples of two areas. The other was to conduct a spot investigation in field, and in fact we investigated there for two month. It was very informative survey to find the difference in natural environments of two sides and its influence on the view on life and death.
    In the basis of the study through two methods, we have called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Silk Road as ‘Open Space’(OP), that is the area to ease to access from the outside, and one of The Tea Road as ‘Closed Space’(CP), that is the area to difficult to access from the outside. And we could find the fact that the minority peoples of OP are more outwards, more straightforward, more combative, more exclusive and more separable from others, whereas ones of CP are more inwards, more smooth, more peaceful, more inclusive and more integrative in life. Besides, it was very interesting to us the discovering that while the former has showed a marked tendency toward visual sensation, the latter have thought the hearing sense is more important than the visual.
    The influence of natural environment to the minority peoples are come into view in the methods of a funeral. Because of the methods in the peoples of OP are contrasts to ones in the people of CP. We have tried to compare and find the differences of them.
    In conclusion, we could make a paradigm for the rel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to the view of life and death, and the ways of a funeral. We think this paradigm could be useful to the cultural studies in the fields of sinology, the study of religions and ethnology.
    The table of contents is as follows:
    Ⅰ. Introduction
    Ⅱ.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 Paradigm for Thought
    1. Open Space and Closed Space
    2. A Paradigm of ‘Visual’ Thought
    3. A paradigm of ‘hearing’ Thought
    Ⅲ. The Environment of The Silk Road and The Tea Road, and Methods of a Funeral
    1. The environment of Silk Road & Tea Road
    2. Methods of a Funeral in the Silk Road and the Tea Road
    Ⅳ. The Environment of The Silk Road and The concept of Life and Death
    1. The Concept of Life and Death Knowledge of happiness(福樂智慧)
    2. A Paradigm of ‘Visual’ Thought in the Silk Road
    V. The environment of Tea Road & The concept of life and dead.
    1. The Concept of Life and Death in The Book of the Dead
    2. A paradigm of ‘Hearing’ Thought in The Tea Road
    VI. Conclusion

    <Key Words>
    The Silk Road, The Tea Road, the naturalenvironment, the cultural environment, the view of life and death, the method of a funeral, religious culture, ‘open space,’ ‘closed space,’ the minority people in China, religious exchan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중국소수민족이 실크로드(Silk Road)와 티로드(Tea Road, 茶馬古道) 권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사막과 초원 등 ‘열린 공간’인 실크로드와 협곡 및 고원 등 ‘닫힌 공간’인 티로드라는 서로 뚜렷하게 대조적인 자연환경이 그들의 세계관과 우주관 등 ‘생각의 패러다임’에 미친 영향을 비교 연구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계획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고찰해보기 위해 모든 인문학의 가장 중요한 테마 중의 하나인 ‘생사관(生死觀)’과 망자의 주검을 처리하는 행위양식인 ‘장법(葬法)’을 선택하여 소수민족문화의 핵심구조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지답사연구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였다. 이의 시행을 위해서 2개월간의 자료수집과정과 6개월간의 1차 자료검토 및 분석 작업을 거쳐 2007년 6월~ 8월에 현지답사를 실시하였다. 귀국 후 2개월간에 걸쳐 2차 자료검토 및 분석 작업을 마치고, 2개월간 초고를 완성하여 2007년 11월 제84차 중국학연구회 학술발표회(전국 규모)에서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인류의 자연환경은 크게 ‘열린 공간’과 ‘닫힌 공간’으로 구분된다. 그 구분은 물론 시각적인 요인도 있지만, 외부로부터의 접근성이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열린 공간’에 거주하는 인류는 모든 것을 현상학적이며 직선적 ․ 분리적 ․ 투쟁적 ․ 배타적인 생각의 틀로 바라보는 ‘시각적 패러다임’이 발달하고, ‘닫힌 공간’에서는 내면적 ․ 곡선적 ․ 결합적 ․ 포용적으로 바라보는 ‘청각적 패러다임’이 발달한다.
    시각적 측면과 외부로부터의 접근성을 고려해볼 때, 실크로드는 ‘열린 공간’과 ‘닫힌 공간’의 복합적 성격을 지닌 자연환경이라고 할 수 있으며, 티로드는 ‘밀폐된 공간’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이렇게 서로 상반된 자연환경을 지닌 실크로드와 티로드에서는 그 주검의 처리방법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주검의 처리방법은 외부의 문명세계와 격리된 지역일수록 자연환경의 요인에 크게 좌우된다. 현재 전 지역이 일률적으로 매장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실크로드 지역의 주검 처리방법은 불교/이슬람교가 전파되기 이전에는 절대적으로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았으나, 실크로드가 본격적으로 개척되어 점차 ‘열린 공간’이 되어가자 인문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다양한 장법을 채택하고 있는 티로드 권역은 아직도 인문환경보다는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보아도 실크로드의 소수민족의 사유방식은 다분히 ‘열린 공간’적인 성격이 강한 ‘복합 공간’으로서의 ‘시각적 패러다임’에 속하며, 티로드의 그것은 ‘밀폐된 공간’의 ‘청각적 패러다임’에 속하는 것임을 짐작할 수 있겠다.
    이는 실크로드 권역 이슬람문화가 집약된 위수프 하스 하지프의 『복락지혜(福樂智慧)』와, 티로드 권역 티베트불교문화의 핵심 문자텍스트인 빠드마삼바바의 『사자(死者)의 서(書)』에 나타난 서로 상반된 생사관을 통해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다.
    실크로드의『복락지혜』는 현상을 중시하는 측면과 함께 영적(靈的)인 측면도 동시에 중시하는 ‘복합 공간’으로서의 ‘시각적 패러다임’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사자의 서』는 삶과 죽음을 하나로 보는 결합적 사유방식의 ‘청각 패러다임’을 강하게 노출시키고 있었다.
    이렇게 서로 상반된 자연환경을 지닌 실크로드와 티로드에서 주검의 처리방법 및 생사관에 있어서 서로 뚜렷하게 대비되는 현상이 발견된다는 점은, 자연환경이 권역 소수민족의 제반 문화현상에도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추론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사실은 향후 중국학/문화학/종교학의 후속 연구에 있어 중요한 기본 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학술발표회에서는 연구범위의 광대함과 분량의 방대함 때문에 단편논문보다는 책으로 출판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본 연구의 당초 의도를 살리기 위해, 가급적 단편논문으로 연구결과물을 제출하기 위하여 내용을 핵심적으로 압축하기 위한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물은 학술적 차원과 대중적 차원, 교육적 차원으로 활용할 것이다.
    ⑴ 학술적 차원 : ①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연구방법의 틀로 향후 중국소수민족 연구에 이론적 토대로 활용할 것이다.
    ② 중국소수민족의 생사관과 장례방법에 대한 본 연구결과물은 향후 중국소수민족의 상장의례 전체에 대한 후속 연구에 토대로 활용할 것이다.
    ③ 본 연구자가 중국소수민족 지역에 대한 현지답사를 실시할 때, 직접 채취한 이미지와 동영상을 여러 측면에서 활용할 것이다. 먼저 연구논문의 서면 발표와는 별도로, 관련 학회에서의 발표를 통해 보다 생동감 있고 현장감 있는 인문학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상문화를 활용한 인문학 연구는 문화콘텐츠 시대를 맞이한 오늘날 인문학의 실천적 지침을 제시하는 데에 일조할 것이다.
    ⑵ 대중적 차원 : 본 연구자는 과제 수행의 결과 얻어진 일련의 성과물들을 학술적 수준에서 활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대중적 관심사로 확장 적용할 계획이다.
    ① 중국은 비록 한족이 전체 인구의 대다수를 점하고 있지만 소수민족의 인구수도 1억 명을 상회하고 있다. 따라서 소수민족의 세계관과 풍속에 대한 연구결과는 중국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데이터군(群)을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자료는 전문 학자들뿐만 아니라, 소수민족 권역의 상권을 공략하려는 비즈니스 전문가에게 중요한 자료로 제공할 것이다.
    ② 중국 소수민족의 생사관과 장례방법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장례문화에 대한 비교 문화적 통찰의 계기로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환경 및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장사(葬事)의 방법과 의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한국사회의 경우, 매장과 화장을 둘러싼 사회적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 비춰볼 때, 중국소수민족의 장례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제한된 국토로 인해 토장(土葬), 즉 매장이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우리 현실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③ 본 연구의 주제와 내용은 일반인에게도 큰 관심사가 될 수 있다. 이에 연구결과물의 중요 부분을 요약된 형태로 본 연구자의 웹상에 공유함으로써, 이 분야에 관심 있는 대중들에 대한 교육 및 정보교류 차원에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 개시와 함께 별도의 웹 페이지를 구축하여, 본 연구자가 구축한 자료의 디지털 활용 방안을 강구할 것이다. 연구 성과의 디지털 보급은 정보화 시대를 맞이한 오늘날의 인문학이 나아갈 방향 가운데 하나를 제시하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⑶ 교육적 차원 : ① 본 연구자는 연구의 성과물을 바탕으로 향후 중국에 대한 또 다른 시각에서의 이해를 돕는 각종 인문학 텍스트로 개발할 계획이다. 예컨대 『중국소수민족의 이해』․『실크로드 문명탐사』․『티로드 문명탐사』등의 텍스트를 개발하여, 한족(漢族) 중심의 중국문화 교육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자료를 제공하는 계기로 활용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중국문화의 다양성을 인식하게 하고, 졸업 후 진로선택에도 도움이 되는 기회를 부여할 것이다.
    ② 또한 답사 시 채취한 이미지 및 동영상을 현장감 있고 생동감 넘치는 시청각교재로 제작하여 중국 종교 및 문화 관련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가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답사지역의 문화에 대한 영상 자료를 공영 방송 및 지역방송과 연계하여 중국 종교 및 문화 이해의 대중화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③ 위에서 제시한 이미지와 동영상 채취 및 웹상에서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디지털 보급과 관련해서, 학부생들을 연구보조원으로 채용하여 이미지와 동영상 채취 및 영상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실무전문요원으로 육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첫째, 디지털시대․정보화시대․영상문화시대에서의 인문학도의 응용력을 제고시키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며, 둘째, 학부 전체에 미치는 긍정적 파급효과로 인하여 후속 인문학 세대의 양성에 크게 도움을 줄 것이다.
  • 색인어
  • 실크로드, 티로드, 차마고도, 자연환경, 인문환경, 생사관, 葬法, 종교문화, 열린 공간, 닫힌 공간, 중국소수민족, 종교 교섭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