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253&local_id=10015326
개방형 공립학교 모델 : 프랑스의 프레네 학교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개방형 공립학교 모델 : 프랑스의 프레네 학교 | 2006 년 | 황성원(건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711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4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프레네 교육학은 프랑스 초등학교에서의 소집단 협동학습과 같은 그룹 조직과 운영, 학교 프로젝트(projet d'établissement)에도 영향을 주었다. 중등교육기관에는 프레네 교육운동이 매우 제한적으로 실시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적은 수의 자율고등학교(lycée auto-géré)가 파리와 생 나제르(Saint-Nazaire)에 있으며, 이 학교들은 교육부로부터 인정받은 4개의 학교에 포함된다. 자율고등학교는 프레네 교육학의 한 부류로서 노동자-노조원들이 자치적인 운영을 통해 책임의식을 키워나가는 운영 방식을 도입한 학교이기 때문에 학교운영의 주체로서 교사와 학생의 책임과 권한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 밖에 프레네 교사들 사이에서도 서로의 교육관에 따라 다른 경향을 갖는 교사들이 나타났다. 첫째, 프레네 교육학의 원칙을 지키면서, 교사 자신이 처해 있는 학교와 교실 상황, 아동의 특성, 지역사회에 따라 프레네 수업도구를 조금씩 상황에 맞게 변화시켜가는 교사 집단이 있다. 프레네 교육학을 실천하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프레네 교육학과 프레네 기술에서 출발하였으나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학생 집단과 제도의 관계에는 갈등이 내재해 있다고 보고, 이러한 갈등에 대해 심리분석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페르낭 우리(Fernand Oury)와 아이다 바스케즈(Aïda Vasquez)의 관점에서 출발한 그룹이 있다. 그들은 학교와 교실에서의 무의식 세계를 다루는 교육학을 "제도적 교육학(pédagogie institutionnelle)"이라 불렀다. 이 교육학은 교실이라는 한 장소에서 행동과 언어의 제한선 아래 규칙과 법을 지키면서 생활하는 학급의 구성원들이 어떻게 물리적이고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무의식을 통제하고 표출하는가에 관심을 갖는다.예를 들어 동시를 배울 때, 프레네 교사는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글쓰기(texte libre) 활동을 촉진하면서 학생들이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권하지만 "제도적 교육학(pédagogie institutionnelle)"에 가까운 교사들은 프레네의 자유로운 글쓰기 활동이 아동의 심리와 감정의 정화를 도와주는 활동이라고 본다. 프레네 교육학과 제도적 교육학의 차이는 프랑스 현대학교 교사협의회(ICEM) 소속 교사들 사이에 내재되어 있으나 그들의 교육방법이나 수업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고 한다(M. Boncourt, 2003).

  • 영문
  • Cette étude consiste à savoir l'histoire et l'évolution de la pédagogie Freinet, comme une pédagogie très française. La pédagogie Freinet s'est élaborée pendant les années 1920 et 1930, dans une France encore massivement rurale. Elle a été construite par un réseau d'instituteurs attachés à des utopies sociales d'inspiration socialiste. Il serait vraisemblable de penser que cette pédagogie est obsolète. Mais la pédagogie Freinet s'est actuellement diffusée en Europe, en Amérique latine, en Afrique, en Asie notamment au Japon et en Corée. Elle est récemment présentée, en Corée, par les chercheurs, par l'école alternative et les enseignants.
    La première originalité de la pédagogie Freinet, c'est qu'elle est l'oeuvre de ce que l'on appellerait aujourd'hui des acteurs de terrain. La seconde originalité c'est que, dès ses premières années, elle a été portée et implusée par un réseau coopératif d'éducateurs et que ce réseau s'est renouvelé au fil des générations. Enfin, la troisième originalité c'est qu‘elle est constituée d'ensemble d'idées et de techniques, ouvert et susceptible de se renouveler.
    Ainsi la pédagogie Freinet est une pédagogie ouverte aux autres, aux autres écoles et classes et aux systèmes scolaires publiques en évolution.
    En conclusion, la pédagogie Freinet mérite d'être présentée et pratiquée dans l'école publique sud-coréenne. Elle permet aux élèves d'être autonomes dans leurs travaux scolaires et dans la vie scolaire. Elle va aider les enseignants à refléchir sur leurs méthodes et à avoir une idée précise de la réforme de l'enseignement et de l'éco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프랑스의 개방형 공립학교 모델로서의 프레네 학교에 대한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셀레스탱 프레네의 생애와 프레네 교육학의 탄생 배경, 1920년대부터 1966년 그의 타계이후 2000년대 현재에 이르기까지 프레네 교육학이 차지하고 있는 국제적 위상과 현재적 관점 및 실태에 관한 연구를 문헌 연구 중심으로 수행한다. 둘째, 프레네 교육학을 실천하는 프랑스 프레네 학교를 초등학교 중심으로 학교와 학급 운영 사례와 수업 실천 사례를 다룬다. 학교의 전반적인 운영의 특징과 학교 운영의 방향에 대해 프랑스 해당 학교 및 한국 교육현장의 교장 및 교사와 심층 면담하여 프레네 학교의 자율적 운영 특징을 분석한다. 셋째, ‘프레네 테크닉’을 적용하는 학교의 교육과정 문서 분석 및 수업 관찰, 학생들의 학습 활동 및 학습 결과물 자료를 관찰하고 내용을 분석한다. 프레네 학교에서의 교장, 교사, 학생의 교육활동 참여 정도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정도를 분석한다. 프랑스 프레네 학교의 개방성과 융통성을 분석한다. 넷째, 프랑스의 프레네 학교의 실천사례가 우리나라의 개방형 학교 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프랑스 프레네 학교의 한국적 모형을 개발하도록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계에서의 기대효과
    산발적으로 수행되어 왔던 프레네 교육학에 관한 연구는 새로운 교육철학과 교육과정의 담론을 형성할 것이다. 프레네 자신이 이론가에서 출발하지 않았고 초등학교 교사로서 출발해 실천가로 자청했기 때문에 이론과 실천을 절충한 프레네의 교육학을 새로운 학교운영 모델로 삼을 기회가 될 것이다.
    2) 학교 현장에서의 기대효과
    프랑스 교육현장의 변화처럼 우리나라에서도 프레네 학교를 통해 자율학교의 운영 방안 정립, 교사주도의 학교 개혁, 교실 수업 개선, 학생 생활지도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직교사들의 연구회 소속 구성원들과 지속적인 공동 세미나를 개최하여 프레네 교육학과 프랑스 학교 운영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의 실천 가능성을 탐색하고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공교육 개혁에 일조할 것이다.
  • 색인어
  • 프랑스, 셀레스탱 프레네, 프레네 교육학, 프레네 초등학교, 교육과정, 학교개혁, 공립학교, 학교운영 모델, 학급의회, 학교협동체, 프레네 테크닉, 개방형 학교, 교사주도의 학교개혁, 교사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