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4312&local_id=10017907
'밀크 우드 아래서'의 시적 언어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 #39;밀크 우드 아래서& #39;의 시적 언어 | 2006 년 | 박재열(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984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11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밀크 우드 아래서』(Under Milk Wood)는 딜런 토마스(Dylan Thomas)가 심혈을 기울여 써서, 죽은 후 방송된 라디오극 형식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두 명의 화자가 하루 동안 웨일즈의 ‘싸레깁’(Llareggub)이라는 도시를 돌아다니면서 여러 등장인물을 만나는, 이른 바 ‘목소리 드라마’이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 작품의 언어의 밀도가 『율리시즈』의 그것에 못 미친다고 지적했지만, 토마스는 자신의 작품은 낭송용임을 누차 이야기하면서, 온갖 효과적인 장치를 고안했다고 암시했다.
    그는 낱말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이 작품에 나오는 낱말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단음절 낱말로, 일상생활과 연관되어 있되, 어린아이가 일차로 배우는 친숙한 낱말이었다. 따라서 추상적인 개념을 거의 갖지 않으며, 대부분 감각적 체험 특히 시각적 · 청각적 체험에 기반을 둔, 짧은, 앵글로색슨 계열의 낱말이었다. 그는 이런 낱말로 사물의 물질성을 충실하게 전하도록 노력했다.
    한편 그는 오랫동안 낱말을 습관적으로 쓴 나머지, 그것이 지시하는 사물의 물질성이 전해지지 않는 불만에서 여러 가지 장치를 고안했다. "오래된 책략(old tricks), 새로운 책략(new tricks), 펀(puns), 합성어(portmanteau-words), 파라독스, 인유(allusion), 패러노메이시아(paranomasia), 패러그램(paragram), 용어의 오용(catachresis), 속어(slang) . . . 낱말의 찌그러뜨리기(twistings)와 감아넣기(convolutions), 창안물(inventions)과 고안물(contrivances)"이 그것이며 이 작품에서 이런 기법이 확인되었다. 한편 그는 연상적 의미가 덕지덕지 붙은 언어를, 빛이 나도록 닦고, 다른 낱말과 새로이 결합 · 배열하여, 최초의 낱말만큼 신선하게 만들려고 평생 고심했다. 그가 노린 것은 글의 물질성 즉 "thingness"이다.
    그는 낱말의 ‘개념’에 의존한 만큼 낱말의 ‘소리’에도 의존했다. 그 소리의 미적 음향을 위해 그는 두운(alliteration), 자운(consonance), 유운(assonance), 내운(internal rhyme), 스프렁 리듬(sprung rhythm), 의성어, ‘음운 교차대구법’(phonemic chiasmus) 등을 썼다.
    이 작품의 음악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하루 중 오전, 오후, 밤, 세 때를 묘사한 글을, 자수로 따져 같은 길이로 예시하고는, 각각의 글에 어떤 음향적 특징이 있는지를 살폈다. 오전의 활기차고 밝은 분위기는 연구개파열음(velar plosive) /k/음과 /g/을 저전모음(low front vowel) /æ/음과 후전모음 /ɔ/음과 결합되어 가능했고, 리처드 버튼(Richard Burton)이 낭송할 때 강세는 87번이나 들어갔고, 41초만에 읽어서 활기와 속도감이 넘쳐났다. 오후의 묘사에는 부드러운 치경측음(alveolar lateral), 연구개측음(velar lateral)을 고후모음(high back vowel)인 /u:/과 배합하여 나른한 감이 제시됐으며, 강세는 81번 들어갔고, 그가 읽는 시간도 66초나 걸렸다. 한편 밤의 은밀한 바람과 어둠의 흐름은 계속음(continuant)인 /v/음, /s/음, /z/음을 장모음인 /i:/음과 결합하여 그려냈으며, 강세는 71번 들어갔고, 읽는 시간도 71초나 걸렸다.
    이처럼 토마스는 이른 바 "소리의 미학"을 창안했는데, 이것은 시의 의미에 상응하는 "청각적 상관물"(auditory correlative)을 찾으려는 노력 끝에 가능한 것이었다. 일정한 주제나 플롯을 가지지 않는 『밀크 우드 아래서』가 예술품으로서 가지는 생명력은, 그것의 ‘내용’이 아니라, 이런 유기적인 ‘형식’인 것이다.

  • 영문
  • Dylan Thomas' Under Milk Wood is a radio play in which all the verbal devices, contrivances, inventions, and tricks he experimented with in his poetry are successfully integrated in a masterful dramatic work. Particularly attractive is the vivid and poetic description of the ways people in a small Welsh town talk, behave, and think. Thomas was concerned with poetic language during his life, and especially with refurbishing the stereotypical words and phrases that are often taken for granted. He therefore devised a number of methods of retrieving the original and fresh meanings of words: paradox, allusion, paranomasia, catachresis, slang, etc. In addition, he sometimes twists, reshapes, and combines words and phrases to deliver the ‘immediacy’ of things, or ‘thingness’. Finally, he also uses a variety of symbolic devices: assonantal rhyme, sprung rhythm, consonance, and alliteration. These techniques are all found in Under Milk Wood and contribute greatly to the overall poetic effe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밀크 우드 아래서』(Under Milk Wood)는 딜런 토마스(Dylan Thomas)가 심혈을 기울여 써서, 죽은 후 방송된 라디오극 형식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두 명의 화자가 하루 동안 웨일즈의 ‘싸레깁’(Llareggub)이라는 도시를 돌아다니면서 여러 등장인물을 만나는, 이른 바 ‘목소리 드라마’이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 작품의 언어의 밀도가 『율리시즈』의 그것에 못 미친다고 지적했지만, 토마스는 자신의 작품은 낭송용임을 누차 이야기하면서, 온갖 효과적인 장치를 고안했다고 암시했다.
    그는 낱말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이 작품에 나오는 낱말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단음절 낱말로, 일상생활과 연관되어 있되, 어린아이가 일차로 배우는 친숙한 낱말이었다. 따라서 추상적인 개념을 거의 갖지 않으며, 대부분 감각적 체험 특히 시각적 · 청각적 체험에 기반을 둔, 짧은, 앵글로색슨 계열의 낱말이었다. 그는 이런 낱말로 사물의 물질성을 충실하게 전하도록 노력했다.
    한편 그는 오랫동안 낱말을 습관적으로 쓴 나머지, 그것이 지시하는 사물의 물질성이 전해지지 않는 불만에서 여러 가지 장치를 고안했다. "오래된 책략(old tricks), 새로운 책략(new tricks), 펀(puns), 합성어(portmanteau-words), 파라독스, 인유(allusion), 패러노메이시아(paranomasia), 패러그램(paragram), 용어의 오용(catachresis), 속어(slang) . . . 낱말의 찌그러뜨리기(twistings)와 감아넣기(convolutions), 창안물(inventions)과 고안물(contrivances)"이 그것이며 이 작품에서 이런 기법이 확인되었다. 한편 그는 연상적 의미가 덕지덕지 붙은 언어를, 빛이 나도록 닦고, 다른 낱말과 새로이 결합 · 배열하여, 최초의 낱말만큼 신선하게 만들려고 평생 고심했다. 그가 노린 것은 글의 물질성 즉 "thingness"이다.
    그는 낱말의 ‘개념’에 의존한 만큼 낱말의 ‘소리’에도 의존했다. 그 소리의 미적 음향을 위해 그는 두운(alliteration), 자운(consonance), 유운(assonance), 내운(internal rhyme), 스프렁 리듬(sprung rhythm), 의성어, ‘음운 교차대구법’(phonemic chiasmus) 등을 썼다.
    이 작품의 음악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하루 중 오전, 오후, 밤, 세 때를 묘사한 글을, 자수로 따져 같은 길이로 예시하고는, 각각의 글에 어떤 음향적 특징이 있는지를 살폈다. 오전의 활기차고 밝은 분위기는 연구개파열음(velar plosive) /k/음과 /g/을 저전모음(low front vowel) /æ/음과 후전모음 /ɔ/음과 결합되어 가능했고, 리처드 버튼(Richard Burton)이 낭송할 때 강세는 87번이나 들어갔고, 41초만에 읽어서 활기와 속도감이 넘쳐났다. 오후의 묘사에는 부드러운 치경측음(alveolar lateral), 연구개측음(velar lateral)을 고후모음(high back vowel)인 /u:/과 배합하여 나른한 감이 제시됐으며, 강세는 81번 들어갔고, 그가 읽는 시간도 66초나 걸렸다. 한편 밤의 은밀한 바람과 어둠의 흐름은 계속음(continuant)인 /v/음, /s/음, /z/음을 장모음인 /i:/음과 결합하여 그려냈으며, 강세는 71번 들어갔고, 읽는 시간도 71초나 걸렸다.
    이처럼 토마스는 이른 바 "소리의 미학"을 창안했는데, 이것은 시의 의미에 상응하는 "청각적 상관물"(auditory correlative)을 찾으려는 노력 끝에 가능한 것이었다. 일정한 주제나 플롯을 가지지 않는 『밀크 우드 아래서』가 예술품으로서 가지는 생명력은, 그것의 ‘내용’이 아니라, 이런 유기적인 ‘형식’인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논문은 이 작품이 아직 국내에 많이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토마스의 『밀크 우드 아래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작품은 언어의 아름다움이나 소리의 재미만으로 쓰여진 듯한 곳이 있어 우리처럼 외국어로서 읽을 경우, 직관적으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그러한 곳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기 때문에 이 작품의 즐거움을 밝히고 그것의 새로운 특성을 보여줄 것이다.
    또 그의 시적 언어에 대한 견해와 나아가서 그의 문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의 시적 언어는 종전의 의미를 비우고, 새 의미를 채워 넣는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김춘수 시인의 시적 언어와 유사성이 있다. 이 점은 앞으로 한국의 시인이 새로운 시적 실험을 하도록 길을 열거나 자극을 줄 것이다.
    또 전체적으로 소리의 아름다움을 일깨운 데도 도움을 줄 것이다. 이 공연작품은 소리가 아름다워 많은 사람을 매료시키는데 그 이유를 밝힐 것이다. 특히 부분적으로 아름다운 대화나 노래 등은 그대로 발췌하여 중·고등학교 부교재나 참고 교재로 활용해도 좋을 것이다. 대사는 빛나는 이미지로 된 것이 많아 아름다운 문장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 노래는 아름다운 시이면서 우리나라 전통 민요 같은 감을 주어, 영어교육용으로나 음악교육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시 낭송문화가 그리 발달되어 있지 않으나,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그 작품을 읽고 공연 녹음을 감상하여, 우리나라에도 시 낭송 문화를 부흥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 새로운 낭송용의 작품을 쓰는 데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밀크 우드 아래서』(Under Milk Wood), 딜런 토마스(Dylan Thomas), 방송극, 시적 언어(poetic language), 시적 표현, 낱말의 재생(refurbishing words), 음운적 상징(phonemic symbolism), 시적 장치(poetic verbal device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